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15&local_id=10015295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과 문학적 인상주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과 문학적 인상주의 | 2006 년 | 임혜영(서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1228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문학적 인상주의의 근본특성을 분석 틀로 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파스테르나크의 경우 강렬한 인상 및 감지의 순간들을 중심내용으로 한 슈젯은 해체되고 에피소드적 구성을 지녔는 바 바로 인상주의적 시간구조인 베르그송과 현상학적 시간의 병합이 그 토대가 되었다. 언어인식과정이란 중심테마와 관련하여, 미지의 대상을 지각할 때 아이에게 드러난 생생한 상상력, 창조적 잠재력의 강조는 여타 서구 문학에 비해 러시아 산문에 두드러지는한 경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바로 모호하고 비결정적인 세계제시를 넘어 예술의 본질을 제시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러한 점은 이미지와 상징을 통해 구조화됐다. 바로 작품의 파편들의 중심축이 되는 상징적인 형상에 대한 실체인식을 끝으로 주인공은 정체성을 확립하며, 나아가 인상 및 미의 탐닉의 열정에는 희생적 도덕적 의무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도덕적 각성에 이르게 된다. 올례샤에게도 앞 두 층위는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난다. 단지 과거 및 어린 시절 묘사는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고 현재묘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이점을 엿보인다. 이는 신세계에서 명성을 얻으려는 주인공의 욕구와 관련되는 바, 올례샤의 경우는 시간구조 이외에 창조적 개인과 공리주의적 세계 간 마찰의 해결이란 사회적 테마까지도 아우르는 작가의 세계감지 및 인식이 구성의 통일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주인공의 지각양상에서도 반영되었는 바 그에게는 순수한 지각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사회학적" '상호작용" 및 접촉 속의 개인적 인상이 적잖게 다뤄지는데, 이는 헨리 제임스의 "현재순간의 즉시성"에 다름 아닌 것이다. 올례샤의 경우 이미지와 상징체계도 신구세계의 본질 구현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인다. 양 세계의 본질은 특히 동화 및 환상세계의 적극적인 도입을 통해 구현되었는데 이는 환상은 현실과 "대립"지어지지 않고 확장된 영역이라는 인상주의자들의 '단일한' 세계관을 반영하였다. 주변 아침세계에 대한 신선한 지각으로 올례샤의 주인공이 최종적으로 정체성을 확립, 암시적으로나마 삶의 전환을 결심하는 모습은 체홉의 주인공으로부터 일보 전진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올례샤의 독특성이 드러나기도 하는데 이는 프루스트의 미학적 입장과 상응하는 것이다. "삶의 기쁨의 예술가"이자 "다른 사람들이' 자신처럼 세계의 '빛나는 미를 즐거워하길 원했"던 그에게 예술은 "해방시키는 기능'을 가졌던 것이다. 그러나 주인공을 통해 도덕적 비전과 진실을 제시하는 데에 이르지 않았다는 점에서 콘라드 및 파스테르나크와는 달리 "수동적 유미주의"의 입장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My conclusion is induced from analysis frame of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literary impressionism. In case of Pasternak, the plot on moments of the strong impression and perception is deconstructed and episodic structures are included, which is based on impressionistic time structure, that is, the combination of Bergson's duree and phenomenological time.
    In relation to the central theme of the process of language cognition, the emphasis on the vivid imagination and creative potential conceived by a child who perceives the unknown is a conspicuous aspect of Russian prose compared to that of western literature. It is to represent the essence of art far beyond the ambiguous and indecisive world representation, which is structured through image and symbol.
    A heroine doesn't establish her identity until she recognizes substantially the symbolic image functioning as a central axis of fragments and she further reaches the point of the moral awakening, in which sacrificial moral duty should be necessary for enthusiasm of indulgence in impression and beauty.
    As for Olesha, these two strata (structure and theme) appear the same in essence. Difference is that the description of the past and childhood plays a minor part and that of the present plays more. It is related to hero's desire to get a fame in a new world. In case of Olesha, author's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the world guarantees the structural unity, in which a writer puts together the social theme of the solution of conflict between a creative individual and the utilitarian world, in addition to time structure.
    This structural characteristic is reflected on the perception of a hero, to whom not only pure perception happens. Also quite a few "sociological" interactions and personal impressions within contact are also treated, which is very similar to Henry James's "Present moment's immediacy".
    In case of Olesha, image and symbol system focus on the essence representation of the old and the new. The essence of these two worlds is represented by the active introduction to fairy tales and the world of fantasy, in which fantasy is not opposition to the reality but is an expanded area of the reality.
    This conception reflects impressionists' single view of the world. The hero in Olesha establishes his identity by fresh perception of the morning, and allusively decides to change his life, which tells us he steps forward from Chekhov's heroes.
    In contrast, Olesha's uniqueness is revealed, which corresponds to Proust's esthetic point of view. To Olesha, arts have a function of liberating himself, who is an artist of life pleasure and wants others to be pleased with brilliant beauty like himself. In contrast to Conrad and Pasternak, he takes a stand of "passive estheticism" because he doesn't reach the representation of moral vision and trut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파스테르나크와 올례샤의 산문을 문학적 인상주의차원에서 조명하였다. 지면상 논문(I)에서는 파스테르나크의 경우를, 논문(II)에서는 올례샤를 살펴본 바, 궁극적으로 각 경우를 비교함으로써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의 특성을 종합제시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러한 방식은 모더니즘 산문 경향 전체를 좀더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문학적 인상주의는 서구 모더니즘 산문의 연관성 속에서는 이미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러시아 문학의 경우 모더니즘 산문을 하나의 단일한 체계 인상주의 미학으로 조명함은 지연된 바, 1920년대 전후 작품에 있어 인상주의 경향 연구는 본격적인 분석이 수반되지 않은 문제제기에 그쳤다고 할 수 있다. 연구에서 문학적 인상주의는 모더니즘의 "가장 중요한 특징들"을 예견한 인상주의의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 전반적인 특징을 드러내는 근본개념과, 연구에서 두 작가에게 공히 적용한 분석의 층위(3)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학적 지각, 리얼리티의 세분화, 인과성의 무력화, 귀납적 세계인식, 베르그송의 지속과 현상학적 시간의 양자와 같은 순간들의 병합; 1구성과 구조, 2.언어인식 혹은 세계감지의 테마, 3.이미지와 상징.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파스테르나크의 산문을 문학적 인상주의와의 연관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미 연구 분야였던 시인의 새로운 산문으로서 "예술적" 산문 이해에 대한 하나의 기초가 된다. 즉 문학적 인상주의의 원리 및 개념을 통해 파스테르나크의 메토니미적 특징의 시학이 좀더 규명됨은 물론 벨르이를 비롯한 시인의 산문의 혁신성이 규명되게 된다. 둘째, 올례샤의 산문의 분석을 통해 20년대 장식주의 산문에 대한 이해의 확장과 함께 단일체계로서의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의 근본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된다. 이는 무엇보다도 장식주의 대표적 산문작가의 하나로서 올례샤의 예술체계 및 세계관이 철학적 및 세계관적 측면에서의 당시의 전 세계적인 모더니즘의 주요 특성과 상응한다는 점과 연관 있다. 셋째, 모더니즘 예술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와 같은 연구는 러시아 문학사에서 시 장르와 나란히, 20세기 초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의 균등한 위상 구축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지만 20세기 전후의 서구유럽의 작가들 및 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를 통해 러시아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문학에서의 상징주의, 미래주의, 기타 다른 예술 영역에서의 인상주의 및 큐비즘, 표현주의 등이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작가의 시학 및 세계관의 규명과 관련하여 간접적으로나마 조명된다. 넷째, 20세기 초 모더니즘 문화 및 20세기 러시아 문학 전반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까지 한국에서 러시아 문학교육의 비중은 주로 고전, 즉 19세기까지로 놓여져 왔고 20세기의 경우 단지 시 중심으로 한 20세기 초 "은세기" 만이 간략히 언급되는 정도로 20세기 문학은 다소 소홀히 다뤄져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20세기 문학 연구의 양이 국내적으로나 국외적으로 상대적으로 뒤떨어짐과도 무관하지 않은데, 앞으로의 20세기 초에 대한 이러한 연구들은 20세기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이해는 물론 러시아 문학 전체를 올바로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과정이라 하겠다. 다섯째, 서구 모더니즘 문학 및 문화와 연계를 통해 타 과 - 영문, 불문, 독문, 철학 등 - 와 비교 문학 및 학제간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서구 문학과는 달리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문학적 인상주의를 통한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의 분석은 이제까지 거의 부재하였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성과물은 학문 후속 세대에게 서구 모더니즘 문학 및 문화와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 및 문화를 비교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 그럼으로써 각 문학 및 문화의 모더니즘 경향을 깊이 이해하는데도 일조를 한다.
  • 색인어
  • 현상학적 지각, 현상학적 시간, 베르그송의 지속, 문학적 인상주의, 파스테르나크의 <<류베르스의 어린시절>>, 러시아 모더니즘 산문, 프루스트, 올례샤, <<질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