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48&local_id=10018189
집중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을 위한 인지기술 및 과제수행력 증진 음악치료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집중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40;ADHD& #41; 아동을 위한 인지기술 및 과제수행력 증진 음악치료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2006 년 | 정현주(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1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가정이나 학교에서 아동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진단, 원인, 치료 등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고 있다. ADHD에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ADHD가 정신지체나 정서장애와 같은 장애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부적응행동이며, 최근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당면한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로서 학생들의 주의력이 계속 낮아지고 있고 크게 산만해지고 있는 현상을 꼽고 있기 때문이다.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악을 사용한 연구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다양한 음악활동이 ADHD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증진했는지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들을 제시하였다(Cripe, 1986; Jackson, 2003; Montello & Coons, 1998) ADHD 아동들의 경우 환경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전경과 배경(figure and ground)을 구분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작은 자극에도 주의력이 분산되어 과제 작업에 한계가 있다(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5).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음악활동을 이용함으로써 소리의 시간적 배열을 그룹핑하고 여러 소리정보 중에서 선율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는 인지기술 훈련을 통해 선택적 주의력을 강화한 실험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Madsen, 1981; Morton, Kershner, & Siegel, 1990; Pratt, Abel & Skidmore, 1995; Sloboda, 1985). 여기서 선택적 주의란 전경과 배경을 구분하는 것으로 수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한다. 정현주(2005)는 템포(빠르기)를 비롯한 리듬관련 요소들 뿐 아니라 음고로 구성된 선율 구조와 형식은 소리의 전경과 배경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선택적 집중력을 강화시켜준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론에 추가되어 연구된 이론이 음악게쉬탈드(music gestalt)이론이다(Sloboda, 1985). 음악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소리 하나 하나를 듣는 것이 아니라 음들이 모여서 구성된 역동성을 인식하고 전체를 구성하는 청각적 게쉬탈트(gestalt)를 이해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정보처리와 관련된 음악인지기술훈련을 통해 ADHD 아동들의 음악인지기술의 향상되는지와 이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변화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중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을 각 반 담임교사와 학교 상담교사로부터 모두 38명의 아동들을 추천받았다. 모두 23 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1명은 통제집단으로 분류하고 12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FAIR 주의집중력 검사와 음악지각인지기술 검사(MPC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실시된 음악인지훈련 프로그램은 총 16주 동안 주 2회 실시되었으며 세션은 45분으로 구성되었다. 각 세션은 음악적 과제 수행을 통해 타 학습 영역에 전이될 수 있는 인지기술 및 집중력을 강화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주 활동으로 제시된 음악과제는 발달적으로 8-10세의 연령에 적합한 인지기능에 맞는 음악 과제를 구성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리듬 및 선율 구성과 전개의 난이도, 그리고 음악활동의 시간적 길이를 단계적으로 체계화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음악 프로그램은 모두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는 4주 동안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음악인지기술검사는 실험처치 전후에 실시되었으며 통제집단에도 시기적으로 동시에 실시되었다. 검사는 개별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조건을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리듬과제 및 선율과제에서도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경우는 리듬과제(p=.017)와 선율과제(p=.043)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FAIR 주의력겸사에서는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사전사후검사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집중한 작업량인 P 치수와(p=.002), 작업의 정확도을 의미하는 Q 치수(p=.019), 그리고 집중의 지속성을 의미하는 C 치수(p=.014) 모두에 각각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실험처치를 통해 통제집단과 실험집단간에 주의집중력 변화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선택능력치수인 P 값(p=.007) 과 C 값(.041)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영문
  •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e Disorder has been a increasing problem for children in school setting and families. There are numerous research studying and examining effective assessment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ADHD.Among many treatment strategies, music intervention has been implemented from 1980s. The primary premise behind for using music for children with ADHD is that various cognitive skills required for musical tasks utilize substantial amount of attention span and attentive skills. Since music is composed of various elements such as rhythm, melody and harmony, the listener requires selective attention to follow through the musical contour by discriminating musical figure and ground.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rted to find out if music cognitive skills training program can enhance not only cognitive skills in musical tasks, but also overall attention span and attentive skills.
    For this study a total of 23 students participated who are attending first and second grade at elementary school. Eleven of them are assigned in control group and 12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The music cognitive training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16 week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32 sessions. Tools for assessing the changes in music cognitive skills and attention were Music Perception and Cognition Skills Test(MPCST) and FAIR attention skills test.
    Results showed that after administering music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rhythm(p=.017) and melody(p=.043) tasks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experimental group. However in contro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For FAIR attention skills tes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duration of attention P(p=.002), quality of attention Q (p=.019) and continuity of attention C (p=.014). Data were further analyzed to examine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For FAIR attention skills test, only in the scores for duration for task engagement P (p=.007) and continuity of attention C (.04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 study gives meaningful implications that music cognitive skills training can enhance one's attention span and attentive skills which are required for task engagement.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music cognitive skills for rhythm and melody tasks. The non-significance between groups may be due to firstly the small sample size, secondly participants' pre-conditioned knowledge for test tools for post testing, and lastly, exposure to music activities provided in the classroom sett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정보처리에 필요한 인지기술 강화를 위한 음악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의 주의집중력과 과제수행력이 증진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총 23명의 아동들이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11명과 12명씩 나뉘었다. 음악인지훈련 프로그램은 총 16주 동안 주 2회씩 제공되었으며 모두 4 단계로 구성되었다. 음악인지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기 위해 음악지각인지기술검사와 FAIR 주의집중력 검사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리듬과제(p=.017)과 선율 과제p=.043)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FAIR 검사에서도 집중의 양을 의미하는 선택능력치수(p=.019)와 집중의 정확성을 의미하는 질통제치수(p=.019) 그리고 집중의 연속성 치수(p=.014)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통제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FAIR 검사 중 선택능력치수(p=.007)와 연속성 치수(p=.041)에서만 보였으며 질통제치수와 음악지각인지검사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FAIR검사에서 보여진 선택치수와 연속성 치수에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는 음악적 과제에 요구되는 소리 지각과 인지, 전개예측, 재생산 작업이 음이 가지고 있는 시간적 및 공간적 특성 모두를 인식하는 집중의 폭(attention span)과 관련이 있는 만큼 음악작업이 과제 수행에 있어 집중의 폭과 집중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지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국내 연구의 활성화
    연구의 필요성에서 언급되었듯이 우리나라 학교교육 환경에서 아동들의 ADHD 문제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약물치료의 부작용과 부적절성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를 포함한 다매개체적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시점에서 음악은 기본 학습 기술과 과제수행력 증진의 주 도구는 물론 정서적 매개체로 활용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을 지각인지기술 훈련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지만, 이 연구를 시작점으로 음악을 더욱더 과학적인 치료교육 도구로 활용하는 계속연구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음악 분야, 특수교육 분야, 교육학 분야에서도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주제이므로 국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들과의 협력 연구 과제들로 계속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나. 일반아동의 ADHD 예방 및 치료교육
    학교 현장에서 일반 학급에서는 어려움이 있고, 특수 학급에 배정되기엔 적절하지 않은 성향을 가지고 있는 소위 경계선에 있는 ADHD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병원과 같은 의료 기관이 아닌 학교 환경 내에서 제공될 수 있는 효율적이며 적절한 치료교육프로그램이 필요시 되는 실정이며 이는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아동들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예방차원에서 간접적인 개입으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교육부지원의 반과 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아동들이 다양한 예술치료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지만, 실제 아동들의 문제와 제공되고 있는 치료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교사의 전문성 등에 대한 많은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일반 수업 외에 학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동들의 학습 관련 인지 기술 및 과제 수행력, 그리고 그룹활동 내에서 사회성 기술이 강화되고, 음악이 가지고 있는 비언어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감정영역을 자극함으로써 정서가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프로그램은 교육적으로는 학습과정에 필요한 인지 기술향상과, 치료적으로는 정서함양 및 행동 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으며 예방을 위한 조기교육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 일반 및 특수 교사 연수에 활용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직에 있는 일반 및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학교 현장에 수업시간에 집중력이 약하고 산만한 아동들이 증가하면서 학습의 능률이 저하됨으로 인해 학교 교사들이 학교 적응 및 학습 증진에 필요한 다양한 접근과 치료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에 힘쓰고 있다. ADHD 아동 외에도 학습 장애나 정서 장애 아동들을 교육하는 일반 학급의 교사나 특수 교사들을 위한 연수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훈련한다면 학교 현장 내에서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활발히 활용될 것이다고 사료된다.
  • 색인어
  • ADHD, Music Therapy, Cognition, Perception, Rhythm, Melody, Task Engagement, Attention Spa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