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52&local_id=10018006
『交隣須知』에 나타난 한국어 교육의 양상 - 말뭉치 구축을 통한 계량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交隣須知』에 나타난 한국어 교육의 양상 - 말뭉치 구축을 통한 계량적 분석을 중심으로- | 2006 년 | 김유정(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52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交隣須知』의 교재 말뭉치 구축을 통해 언어 교재로서의 특징을 계량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고어 말뭉치 구축, 주제․기능 범주 등이 태깅된 말뭉치 구축을 통해 한국어 교재로서의 언어학적 특징과 언어 교육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의 대상이 된 것은 京都大本(苗伐川本), 初刊本(명치14년본), 再刊本(명치16년본), 宝迫本 각 4권 총 16권이었다. 언어 교재로서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Ek and Trimm의 논의를 바탕으로 주제와 기능 등을 태깅하였다. 이러한 교재 말뭉치 구축은 『交隣須知』의 언어교재로서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looks into a feature as the language teaching material through KYORIN SUJI(Japanese KFL Textbook) teaching material language corpus build-up with a metrical. For this, the linguistic feature and language educational feature as the Korean teaching material could be looked into through the language corpus build-up in which the Old Korean language corpus build-up, the notion and function category, and etc. are tagged. It is the Kyoto university edition, the first edition, the ash published book, and the Bobak each 4 volume total 16 volume that it becomes subject of a research. The Notion and Function, and etc. were tagged based on the argument of the EK & Trimm in order to examine a feature as the language teaching material. This teaching material langauge corpus work amplitude looked into a feature as the langauge teaching material of the KYORIN SUJI(Japanese KFL Textbook).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交隣須知』의 교재 말뭉치 구축을 통해 계량적으로 언어 교재로서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교린수지가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용 교재로서 서지학적으로 분석된 바와 같은 특성을 지녔는지를 살펴보고자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어 말뭉치 구축, 주제․기능 범주 등이 태깅된 말뭉치 구축을 통해 한국어 교재로서의 언어학적 특징뿐 아니라 언어 교육에서 지향하고 있는 바를 살펴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결과와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交隣須知』의 서지적 분석을 통하여 교린수지 자체에 대한 문헌의 가치와 다른 한국어 교재와의 비교가 가능해졌다. 이는 비슷한 시기의 한국어 교육의 모습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交隣須知』의 말뭉치 구축이 되었다. 이 말뭉치는 고어 말뭉치로서 당시 고어 형태소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교재적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주제, 기능 등 언어 교육적 양상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다. 이러한 자료의 활용은 문헌 자체의 서지적 분석에 한걸을 더 나아가 객관적인 교재 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전산언어학적인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 국어학 분야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량적 연구의 하나로 모범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재 부각되고 있지 못하는 한국어 학습서 말뭉치 구축 연구를 활성화 하여 한국어 교육의 연구 분야를 확장시키게 될 것이다.
    셋째, 『交隣須知』의 학습서 말뭉치 구축과 분석 자료를 공개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 공개는 『交隣須知』를 연구하고자 하는 국내외 국어학자들과 한국어 교육학자들에게 공유되고 활용되어 다양한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넷째,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과 한국어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 최근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찾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한국어 교육이 학문으로서의 면모를 갖기 위해 필요한 점은 객관적인 연구 방법론과 총체적인 연구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交隣須知』를 말뭉치 자료로 구축하고 여기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교육의 양상을 살펴 과거와 현재를 잇는 것은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交隣須知, 교린수지, 교재 말뭉치, 한국어 교재, 조선어 학습서, 京都大本, 苗伐川本, 初刊本(명치14년본), 再刊本(명치16년본), 宝迫本, 고어 말뭉치, 형태소 분석, 주제, 기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