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91&local_id=10017573
이중 언어 현상으로 본 18·19세기 야담의 구연·기록·번역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이중 언어 현상으로 본 18·19세기 야담의 구연·기록·번역 | 2006 년 | 이강옥(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7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3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조선시대 이야기판은 문화를 전승하는 중요한 매체 노릇을 하였다. 각 계급과 가문은 독자적인 이야기판을 만들어 일상 중에서 획득한 경험들과 정신을 공유하고 전승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이야기판은 통합되기도 하여, 여러 계급 구성원들이 같은 이야기판에 모여 새로운 시대 문화와 정신을 형성하였다.
    이야기판의 이야기는 사대부에 의해 한문으로 기록되었다. 사대부는 세계관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결을 활용했다. 사대부계급은 평민계급과 소통하기 위하여 경험자의 자기 경험 진술이라는 서술방식을 적극 활용했다.
    구연 야담을 문어적 속성이 매우 강한 한문으로 기록했기에 독특한 문체가 나타났다. 한문이면서도 구어적 속성을 살린 한문본 󰡔청구야담󰡕과 문어적 속성을 강화시킨 한문본 󰡔동야휘집󰡕이 공존하게 되었다. 특히 󰡔동패락송󰡕d에서 ‘구연→기록’, ‘기록→기록’, ‘기록→구연’라는 이중언어 현상을 발견한다.
    한문 야담집은 한글로 번역되었다. 한글 야담은 한문 야담의 긍정적인 가치들을 어느 정도 양도받을 수 있다. 한글 야담은 번역 과정에서 여성 독자층을 위한 세심한 배려를 하였다.
    이야기판에서 야담은 계속 구연되고 있었지만, 한글 야담집 필사본에 대한 낭독과 묵독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야기판 야담 구연 → 한문 야담집 묵독 → 한글 야담집 낭독 → 한글 야담집 묵독’의 순서는 크게 보면 집단성에서 개인성이 강화되고 구연성에서 문식성(literacy)이 강화되는 순서이지만, ‘한문 야담집 묵독 → 한글 야담집 낭독’의 과정은 그 반대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 영문
  • The Storytelling and Writing of Yadam in the 18․19th century

    Lee, Kang-ok

    Yadam was orally performed at the storytelling scenes. The storytelling scenes naturally reflected the class values of the house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ransferring experience and wisdom of the house. Gradually the storytelling scenes chang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stead of accidental opening, the storytelling scenes were created on purpose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and lasted longer. They grew more open and diverse.
    The Sadaebu(士大夫) class could command excellent Hanmun and had a keen sense of responsibility of recording the special events and transmit them to posterity. They not only recorded stories performed at the Sadaebu storytelling scene but also recorded stories performed at the commoner’s storytelling scenes in Hanmun. In the latter case, they sometimes suffered from self-conflict in recording stories that they could not wholeheartedly accep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y introduced judgement into their recording.
    In the process of recording Yadam in Hanmun, a method of narrating one’s own experience was foregrounded, through which its inherent values and wisdom were shared and communicated. While judgement tended to accentuate the class difference surrounding the contents of the stories, it helped promote communations between classes.
    Literary style of Hanmun of Haksanhanueon(鶴山閑言), Gyeseoyadam(溪西野談), and Chungguyadam(靑邱野談) is simple, while that of Chunyerok(天倪錄) and Dongyawhigip(東野彙輯) is complicate and uses many quotations. The simple style is good for transcribing simple narrative of oral story. The style with many quotations is good for stressing its nature of record literature. These two opposite tendencie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orally performed and transcribed Yadam had been recorded in literary Hanmun.
    Hanmun Yadam was later translated into Hangeul Yadam. So far five Hangeul Yadam anthologies such as Ieouyadam(於于野談), Dongpaeraksong(東稗洛誦), Chunyerok, Haksanhanueon, and Chungguyadam are known. In this period, records show that women were mesmerized by the professional Yadam reciters. For women audience and Yadam reciters, Yadam was translated into Hangeul. Chungguyadam kept delicate balance between consideration of its female readers’ tendency and Hanmun version’s original form. It adapted stories to stress female characters’ mind and feelings. It also adapted stories to create more positive female images. Hangeul Yadam clarified narrative lines of the stories that got a little muddied and distracted in the process of Hanmun translation. Hangeul Yadam eliminated after stories, Judgement, and editor’s intervention attached to the Hanmun anthologies in order to foreground main storylines. Instead of Hanmun style, Hangeul Yadam tried to use literary style that could recouperate its unique colloquial style. Efforts to create four-meter couplet were strongly palpable. Verse style of Gasa(歌辭) helped express character’s inner thoughts and feelings naturally, while its verse style was suitable for reciting. The fact that metered verse style was incorpora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Chungguyadam into Hangul partly explains reintroduction of Yadam’s public recitation.
    Since Hanmun Yadam anthologies were translated into Hangeul versions, while Yadam had been kept performing at the storytelling scene, both reading and reciting of Yadam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Transition from oral performance at the storytelling scene to reading of Hanmun Yadam to reciting Hangeul Yadam to reading Hangeul Yadam appears to intensify literacy over orality and individual reader over commnunal reading. But the transition from reading Hanmun Yadam to reciting of Hangeul Yadam proves the opposite.
    Diglossic phenomenon in recording Yadam continued until the early twentieth centu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선시대 이야기판은 문화를 전승하는 중요한 매체 노릇을 하였다. 각 계급과 가문은 독자적인 이야기판을 만들어 일상 중에서 획득한 경험들과 정신을 공유하고 전승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이야기판은 통합되기도 하여, 여러 계급 구성원들이 같은 이야기판에 모여 새로운 시대 문화와 정신을 형성하였다.
    이야기판의 이야기는 사대부에 의해 한문으로 기록되었다. 사대부는 세계관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결을 활용했다. 사대부계급은 평민계급과 소통하기 위하여 경험자의 자기 경험 진술이라는 서술방식을 적극 활용했다.
    구연 야담을 문어적 속성이 매우 강한 한문으로 기록했기에 독특한 문체가 나타났다. 한문이면서도 구어적 속성을 살린 한문본 󰡔청구야담󰡕과 문어적 속성을 강화시킨 한문본 󰡔동야휘집󰡕이 공존하게 되었다. 특히 󰡔동패락송󰡕d에서 ‘구연→기록’, ‘기록→기록’, ‘기록→구연’라는 이중언어 현상을 발견한다.
    한문 야담집은 한글로 번역되었다. 한글 야담은 한문 야담의 긍정적인 가치들을 어느 정도 양도받을 수 있다. 한글 야담은 번역 과정에서 여성 독자층을 위한 세심한 배려를 하였다.
    이야기판에서 야담은 계속 구연되고 있었지만, 한글 야담집 필사본에 대한 낭독과 묵독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야기판 야담 구연 → 한문 야담집 묵독 → 한글 야담집 낭독 → 한글 야담집 묵독’의 순서는 크게 보면 집단성에서 개인성이 강화되고 구연성에서 문식성(literacy)이 강화되는 순서이지만, ‘한문 야담집 묵독 → 한글 야담집 낭독’의 과정은 그 반대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중언어현상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관심을 촉구하여 새 영역을 발전시킬 수 있다.
    국어교육 과정 중,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이야기판, 한글, 한문, 이중언어현상, 세계관, 자기경험 진술, 청구야담, 노명흠, 동패락송, 구연, 기록, 여성 독자, 낭독, 묵독, 구연성, 문식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