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97&local_id=10017345
12-13세기 한어에 대한 알타이어의 영향 연구 - 원대 자료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2-13세기 한어에 대한 알타이어의 영향 연구 - 원대 자료를 중심으로 | 2006 년 | 문성재(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819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6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2-13세기 한어에 대한 알타이어의 영향 연구 - 원대 자료를 중심으로

    하나의 민족이나 주민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화적・정치적・경제적 접촉은 서로 다른 문화의 접촉을 야기하며,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언어들의 접촉을 유도하기 마련이다. 아울러 어떠한 언어이든 주변 민족의 언어나 상호교류하는 민족의 언어와 접촉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형태로든) 상호간에 교류와 영향을 주고 받게 되는데, 이같은 "사회적 상호행위(social interaction)"의 결과, 개인의 언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 과정에서 외국어의 언어요소가 일부 차용되어, 어휘는 물론 문형・문법 등, 해당 국가 언어공동체의 언어체계를 변화시키게 된다. (조생리의 언어접촉 실례)
    원대 몽골어는 역사상 지금의 북경인 대도(大都)를 중심으로 하는 북방 중국어와 1215년부터 1368년까지 약 100여년동안의 대규모적인 접촉을 가졌으며, 때문에 자연스럽게 원대 중국어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것임은 두 말 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람들은 이 시기의 언어접촉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구체적 양상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중국이 전통적으로 비한어적인 언어환경에 포위되어 있다시피 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수민족 출신의 학자나 일부 무명의 소장학자들에 의해 산발적・간헐적으로 이에 대한 문제의 제기가 이루어졌으나, 중국의 주류 학계에서는 중국어가 주변민족의 언어에 미친 영향들을 강조하거나 과장하면서도 반대로 정작 주변민족의 언어가 중국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간과하거나 애써 축소하려고 애쓰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러나, "한아언어"의 존재 가능성은 정통 한어의 문법체계와는 이질적인 요소의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차년도 연구에서는 단순히 몽골어의 한어에 대한 영향은 일부분의 어휘에만 한정되며 그 이상의 영향은 없었다고 선을 그어왔던 기존의 그릇된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기존의 중화주의적 연구경향을 지양하고 13세기에 발생했던 몽골어의 중국어 언어환경에의 진출과 양자간의 언어적 접촉과정에서 수용자의 입장에 있던 중국어의 어법체계에 어떠한 변이들이 나타났고 그것들이 궁극적으로 중국어의 언어환경에서 어떠한 형태로 진화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문제들을 통사론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영문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Altaic upon the 12-13C Chinese
    - Focusing on the Materials of the Yuan Period 1st year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contacts between two races lead to a contact of their cultures or language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ourse, some interchange and reciprocal influence between the two is certain to be made in any form or way. As a result of such "social interaction", there occurs a change not only in individual language, but also in the linguistic system of the concerned nation's linguistic community after the partial borrowing of external linguistic elements in process of the said individual linguistic change.
    Mongolian in the Yuan period made a large-scale contact with northern Chinese used in the region centering the present Beijing for about 100 years from 1215 to 1368. Thus, needless to say it must have affected the Yuan period's Chinese. But, till now, many people don't know the detailed phases of linguistic contact in that period. Moreover, only some scholars of the minority race or a part of the unknown young scholars sporadically raised a question about this, even though China was traditionally surrounded by a non-chinese linguistic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mainstream of the academic world in China unilaterally stressed or exaggerated the effect of Chinese on neighboring races' languages, while neglecting or minimizing the effect of these languages on Chinese. However, the fact that there might exist the "Haner language(漢兒言語)" suggests the possibility of being influenced by any elements of a different nature from the grammatical system of original Chinese.
    In this study, we questioned about the wrong understanding that Mogolian had no more effect on Chinese except a part of its vocabulary.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at refraining from past sinocentrismic researches and examining the matters, in a syntactic aspect, as to what changes the grammatical system of Chinese as an acceptor underwent in process of the entry of Mogolian which appeared in the thirteenth century into the linguistic environment of Chinese and a contact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what form they ultimately evolved into in the Chinese linguistic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두 민족 사이에 발생하는 사회・정치・경제적 접촉은 서로 다른 문화 또는 언어간의 접촉을 야기하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서로 교류와 영향을 주고받기 마련이다. 이같은 “사회적 상호행위(social interaction)”의 결과, 개인의 언어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그 과정에서, 외적인 언어요소가 일부 차용되어, 해당 국가 언어공동체의 언어체계를 변화시킨다.
    원대 몽골어(Yuan period mongolian)는, 지금의 북경(Beijing)을 중심으로 하는 북방 중국어와, 1215년부터 1368년까지 약 100여년동안, 대규모 접촉을 가졌다. 때문에, 원대 중국어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것임은 두 말 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은 이 시기에 언어접촉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구체적 양상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중국이 전통적으로 비-중국어적인() 언어환경에 포위되어 있다시피 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수민족 출신의 학자나 일부 무명의 소장학자들만, 산발적으로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을 뿐(이다); (반면에,) 중국의 주류 학계는, 중국어가 주변민족의 언어에 미친 영향만 일방적으로 강조 또는 과장하면서도, 정작 주변 언어가 중국어에 미친 영향은 간과 또는 축소하기에 바빴다. 그러나, “한아언어(Haner language)”가 존재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은, 정통 중국어의 문법체계와는 이질적인 요소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순히 몽골어가 중국어에 끼친 영향이 일부 어휘에만 한정되며, 그 이상의 영향은 없었다고 선을 그어왔던 기존의 잘못된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중화주의적) 연구경향을 지양하고, 13세기에 발생했던 몽골어의 중국어 언어환경으로의 진출과 양자간의 언어적 접촉과정에서, 수용자의 입장에 있던 중국어의 문법(체계)에 어떠한 변화들이 나타났고, 또 그것들이 궁극적으로 중국어의 언어환경에서 어떠한 형태로 진화되었는지, 등등의 문제들을 통사론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漢族과 알타이계 주변민족 상호간의 언어적 접촉과 그 영향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개발과 연구 시각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그 활용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중국을 중화주의적 이데올로기가 강요하는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민족・지역・계층・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국을 연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중국에 대한 고급 정보의 원천으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중국은 이미 우리의 현실을 구성하는 기본 인자의 하나로 우리의 삶 속에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그 당연한 결과로 중국에 관한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정보가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의 위기"라는 사회현상이 시사하듯, 우리 학계의 학문적 성과의 사회적 환원이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사회적 활용 가능성은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기대되는 학술적 성과의 사회적 환원을 통해 중국에 관한 보다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기간 종료를 즈음하여 연구결과를 논문이나 단행본의 형태로 출간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연구 수행 기간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그 성과를 온라인 공간에서 공유하거나, 대학 내 관련 강좌 및 교수법의 개발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여건이 허락된다면, 연구 결과를 응용하여 교재로 편찬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관련 사항을 모아 사전을 편찬할 수도 있으며, 연구 결과와 관련된 전문 저술서를 출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야의 출판은 중국에 진출하려는 개인이나 단체에 실제적인 정보 및 생생한 현장성과 풍부한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적인 중화주의적인 시각에만 속박되어 문헌을 이해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기존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의 사회와 역사와 문화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역사학・철학・미학・사회학・인류학 등 인접 학문 분야에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연구가 관심을 두는 시기인 12-13세기는 철학에서 인류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들에 걸쳐 방대한 자료와 정보들이 축적된 시기였고, 때문에 그 많은 정보들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언어 상황을 파악・활용할 수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색인어
  • 외부영향설, 고유한어설, 像X似的형 비교문, "S+V+O"형 언어, 한어, "S+O+V"형 언어, 알타이어, 제궁조, 잡극, 산곡, 불교어록, 돈황변문, 江藍生, 李思明, 黑維强, 근대한어, 陝北方言, "ia是的"형 비교문, 宋元白話, 비교연쇄, 也似, 似, 似的, 선진, 위진남북조, 당송대, 원대, 비의조사, 상의동사, 相似, 一般, 如X相似, 似X相似, 猶X相似, 如X然, 若X然, 似X者, N似N, N也似N, V也似N, 元刊雜劇, 元曲選, 元曲選外編, 全元散曲, 朴通事, 西廂記諸宮調, 天寶遺事, 老乞大, 三朝北盟會編, X-metu, X-adali, X-sig, 강남, 화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