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18&local_id=10014073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및 교수효과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및 교수효과 연구 | 2006 년 | 황해익(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73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연구1) 에서는 수세기, 패턴, 기하, 측정의 4가지 수학의 내용영역의 과제를 활용하여 유아의 현재 수학적 능력 및 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개발을 위하여 역동적 평가와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시안을 작성한 후 1차,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 시안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시안은 사전․사후 검사 38문항, 훈련검사 18문항, 전이검사 18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유아 수학학습잠재력 평가도구의 문항 양호도(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와 검사 양호도(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학습능력 및 잠재력을 측정하는 역동적 평가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연구2)는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를 통해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현재 수행능력을 의미하는 사전 수학능력 점수와 수학학습잠재력 점수를 이용하여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기초선 수준을 진단하고 역동적 평가가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미치는 교수효과성을 4가지 수학영역별로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적절한 교수방법에 시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제시된 체계적 단서들을 통해 4가지 수학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증진이 일어났다. 또한 유아가 현재수행능력과 잠재력 수준을 고려하여 진단한 각 영역별 수학능력의 기초선 수준에 따른 역동적 평가과정의 각 단계에서 획득한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훈련과 전이, 사후검사 단계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유아들의 기초선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잠재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현재 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얻어진 점수들의 프로파일을 통하여 개별유아의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개별화 지도의 기초를 마련해야 할 필요를 시사해 준다.
  • 영문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ynamic assessment tool for the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of preschoolers by applying tasks about four areas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counting, pattern, geometry and measurement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current mathematical ability and learning potentiality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research tasks were as follows:
    1. Develop a draft of a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2. Examine the item adequacy of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3. Investigate the test adequacy of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develop a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earlier studies on dynamic assessment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capabilities of preschoolers were analyzed to draw up a draft, and that was finalized after primary and secondary pilot tests were conducted.
    The final draft consisted of three segments: pretest/posttest with 38 items, training test with 18 and transfer test with 18. When the assessment tool was checked in terms of item adequacy(passing rate and item discrimination) and test adequacy(reliability and validity), that turned out to be one of appropriate dynamic assessment tools to rate the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and potentiality of preschoolers.

    Teaching Effect of Dynamic Assessment and the Relationship of Baseline Level to Assessment Results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in Preschoo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hematical abilities of preschoolers in four areas of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ies of preschoolers at a different baseline level as possible future learning potentialities, and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dynamic assessment on thei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ies in each area. It's basically meant to pave the way for determining what to teach to step up their improvement in mathematical ability, and to make a suggestion about the application of dynamic assessment as one of teaching method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found that dynamic assessment had a teaching effect on preschoolers investigated in all the four fields of mathematic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several groups of the preschoolers divided by baseline level got different scores in dynamic assessment in each area, intergroup gaps were found in all the training, transfer and posttest periods. But there was no gap among them in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which indicated that the baseline level of the young children couldn't predict their learning potentialities. Their learning potentialities were different as well according to the level. Therefore individual guidance should be provided to them after their scores in every assessment stage are profil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연구1)에서는 수세기, 패턴, 기하, 측정의 4가지 수학의 내용영역의 과제를 활용하여 유아의 현재 수학적 능력 및 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개발을 위하여 역동적 평가와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시안을 작성한 후 1차,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 시안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시안은 사전․사후 검사 38문항, 훈련검사 18문항, 전이검사 18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유아 수학학습잠재력 평가도구의 문항 양호도(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와 검사 양호도(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학습능력 및 잠재력을 측정하는 역동적 평가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연구2)는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를 통해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현재 수행능력을 의미하는 사전 수학능력 점수와 수학학습잠재력 점수를 이용하여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기초선 수준을 진단하고 역동적 평가가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미치는 교수효과성을 4가지 수학영역별로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적절한 교수방법에 시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제시된 체계적 단서들을 통해 4가지 수학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증진이 일어났다. 또한 유아가 현재수행능력과 잠재력 수준을 고려하여 진단한 각 영역별 수학능력의 기초선 수준에 따른 역동적 평가과정의 각 단계에서 획득한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훈련과 전이, 사후검사 단계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유아들의 기초선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잠재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현재 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얻어진 점수들의 프로파일을 통하여 개별유아의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개별화 지도의 기초를 마련해야 할 필요를 시사해 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는 사전검사-훈련검사-전이검사-사후검사 4개의 검사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수세기, 패턴, 기하, 측정의 영역의 수학교육의 하위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전․사후검사 36문항, 훈련검사 18문항, 전이검사 18문항과 영역별 특성을 반영한 훈련, 전이검사에 제공 되어지는 5단계의 단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의 문항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하통과율과 문항별별도 내용 단일성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문항 통과율의 범위는 과제 수준의 위계에 따라 변화하였는데, 사전검상에서의 통과율은 훈련과 전이를 거치면서 사후검사에서는 전체 문하의 통과율이 상승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훈련검사의 문항통과율은 10.1%-68.6%, 전이검사는 7.7%-57.2%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의 검사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사의 문항 내적 합치도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문항내적합치도는 각각의 검사 단계별로 .89-.91 사이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수학능력에 따른 역동적 평가의 교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영역에 따른 학습 증진량을 사전-사후 증진량 점수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영역별 증진량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수학의 4가지 영역, 즉 수세기 영역과 패턴영역, 기하영역, 측정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역동적 평가과정의 훈련과 전이과정이 수학의 4가지 영역 모두에서 교수과정으로의 효과가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다섯째, 유아의 기초선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 잠재력 측정점수와 교수효과(학습증진량 점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사전 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구분되어진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유아의 기초선 수준에 따라, 역동적 평가과정에서의 획득 점수 및 학습 증진 량에서 모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들의 활용방안으로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진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는 현재의 유아의 각각의 수학영역에 대한 발달 수준 뿐 아니라 각 영역에 대한 앞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미래의 잠재적 발달 수준 및 전체적인 수학능력과 전체적인 수학에 대한 미래 유아의 잠재적 발달수준의 정도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데 큰 특징이 있다.
    둘째,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산출되어지는 검사 단계별 점수와 영역별 획득점수들은 역동적 평가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유아의 실제적 발달 수준을 알 수 있도록 해 줄 뿐 아니라 잠재적 발달수준까지 가늠해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색인어
  • 수학학습잠재력(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수학학습능력(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역동적 평가(dynamic assessment), 기초선수준(baseline level)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