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24&local_id=10014052
영규대사 설화의 연구 - 설화의 지역적 전승양상과 서사문법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규대사 설화의 연구 - 설화의 지역적 전승양상과 서사문법을 중심으로- | 2006 년 | 강현모(한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9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임진왜란 3대 승병장인 기허당 영규대사에 관한 설화를 중심으로 전승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인물전설의 지역적 전승양상과 의승장 설화에 나타난 민중 영웅의 서사적 문법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허당 영규대사는 임진왜란 3대 승병장의 하나이다. 임진왜란 초기에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을 탈환하는 혁혁한 공을 세웠음에도, 영규대사에 결구된 설화는 빈약하였다. 이는 사명당의 탁월한 업적과 능력으로 인하여 승병장의 설화가 사명당에 결합 귀착되면서 다른 승병장들 설화의 전승이 단절되었다고 보인다,
    임진왜란 3대 승병장인 기허당 영규대사에 대해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우선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지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특성과 성격을 파악하여 인물전승의 지역적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기허당 설화에 나타난 승병장 혹은 종교적 민중 영웅담에 나타나는 서사문법의 특성을 밝히는 검토는, 2정을 배경으로 진행된다. 수집된 설화자료들의 삽화들을 기허당의 생애에 맞추어 일대기(탄생담, 성장담, 활동담, 최후담, 후일담)로 재구하여 삽화 단락이 지닌 의미를 화소 분석적 방법으로 구조 분석하겠다. 그때 민중영웅담의 서사구조와 의미를 검토하여 기허당 설화의 영웅적 성격과 특성을 통해 서사문법을 밝힐 것이다. 기허당은 금산전투에서 패배하여 꿈을 이루지 못하고 억울하게 죽은 점에서 비극적인 영웅서사담의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다만 어릴 때 버림을 당하는 기아모티프에서 일반 비극적 영웅설화와는 달리 종교적으로 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 일생담도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승려에 차별을 극복하는 영웅상을 보여주도록 결구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폭넓은 현지조사를 통한 기허당 영규대사의 설화에 대해 종합적이고 본격적 최초의 연구라 하겠다. 더욱이 오늘날 독창적인 지방문화의 발굴과 개발이란 점에서 소외된 지역적 인물의 발굴을 통해 지역문화콘텐츠개발의 자료 제공과 지향 의미를 제시하여 인문학의 실용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밝히게 된다.
  • 영문
  • This study Focusing in the Aspects of local-tradition and the Narration-grammar of the Yeong-gyu Daesa‘s(영규대사) Folktales. and investigatedtales of Resistence against Wae ‘Japan’ focusing on the Cheongju region(청주지역), Geumsan region(금산지역), Gongju-Nonsan region(공주논산지역). There are two important tales of resistance such as the story of Yeong-gyu Daesa(영규대사) ‘great Buddhist monk’ and the tale with Ichi-gogae(이치고개) ‘pass’ (Baetijae;배티재) as its back ground: The former shows Yeong-gyu Daesa’s prominent abilities as the head of a monk troop as well as his limits as such, and the latter is about a victory which overcame the national hardship and kept the national spirit of pride by using geographical advantages of Ichi-gogae.
    Yeong-gyu Daesa,who had Park(박) as his original family name and Giheodang(기허당) as his Buddhist name, became a Buddhist monk at Cheongnyeon-am(청련암) in Gapsa(갑사), Gongju(공주), and a pupil of Seosa Daesa’s(서산대사). He died with Jo Heon(조헌) defeated at the second Geumsan battle after he rose as the head of a monk troop at Gapsa, Gongju and then retook Cheongju Castle(청주성). While his life is obscure, oral traditions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tales on Yeong-gyu Daeso in Geumsan is centered on his activities in the fighting against the enemy Wae. To mention the tale’s properties, first, Yeong-gyu Daesa had prominent abilities and outstanding insights, but had limits as the head of a monk troop. Second, his outstanding insights and abilities were a result of his meticulous observation of and scrutiny into the reality.
    In chapter 3, the structure of the hero's tales in the Yeong-gyu Daesa's folktales. The submergibie meaning of the illustration on a birth, growth, activity and death are submerged. The fables of heros shows as the structure of consecutive circulation, and in the way of casting, the lower, unknown and mysterious people are hilightes besides a protagonist.
    This study make a important step to understund hero's folktales with the new viecopoint. Because there are three reason -first, the study has the full definition of hero's floktales. Second, the study include setting surbordinate types and representative charactrers up. Third is the marking the heoric image perpectly. Through those above three points. I achieve more or less pursuing the signification of the Tragic hero's folktal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임진왜란 3대 승병장인 기허당 영규대사에 관한 설화를 중심으로 전승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인물전설의 지역적 전승양상과 의승장 설화에 나타난 민중 영웅의 서사적 문법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허당 영규대사는 임진왜란 3대 승병장의 하나이다. 임진왜란 초기에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을 탈환하는 혁혁한 공을 세웠음에도, 영규대사에 결구된 설화는 빈약하였다. 이는 사명당의 탁월한 업적과 능력으로 인하여 승병장의 설화가 사명당에 결합 귀착되면서 다른 승병장들 설화의 전승이 단절되었다고 보인다,
    임진왜란 3대 승병장인 기허당 영규대사에 대해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우선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지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특성과 성격을 파악하여 인물전승의 지역적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기허당 설화에 나타난 승병장 혹은 종교적 민중 영웅담에 나타나는 서사문법의 특성을 밝히는 검토는, 2정을 배경으로 진행된다. 수집된 설화자료들의 삽화들을 기허당의 생애에 맞추어 일대기(탄생담, 성장담, 활동담, 최후담, 후일담)로 재구하여 삽화 단락이 지닌 의미를 화소 분석적 방법으로 구조 분석하겠다. 그때 민중영웅담의 서사구조와 의미를 검토하여 기허당 설화의 영웅적 성격과 특성을 통해 서사문법을 밝힐 것이다. 기허당은 금산전투에서 패배하여 꿈을 이루지 못하고 억울하게 죽은 점에서 비극적인 영웅서사담의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다만 어릴 때 버림을 당하는 기아모티프에서 일반 비극적 영웅설화와는 달리 종교적으로 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 일생담도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승려에 차별을 극복하는 영웅상을 보여주도록 결구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폭넓은 현지조사를 통한 기허당 영규대사의 설화에 대해 종합적이고 본격적 최초의 연구라 하겠다. 더욱이 오늘날 독창적인 지방문화의 발굴과 개발이란 점에서 소외된 지역적 인물의 발굴을 통해 지역문화콘텐츠개발의 자료 제공과 지향 의미를 제시하여 인문학의 실용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밝히게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인물전설의 지역적 특수성에 따른 전승요인을 찾아내고, 종교적 인물의 민중적 영웅 서사담의 특징을 찾아내어 설화 교육을 담당하는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종교 인물의 영웅 서사담을 발굴하는 전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지조사에서 얻어진 200여편의 자료들은 후에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유용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학문적 기여를 보면, 본 연구는 설화문학에 관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각 분야별 연구 영역의 기초 이론과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인문학 분야는 물론이고 사회과학이나 교육학 분야, 종교, 역사 등 다양한 학문의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리라 본다.
    본 연구의 성과에 대한 기대되는 효과와 활용 방안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설화에 대한 지역적 전승 양상의 특성을 파악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소외된 지역적 인물설화의 학문적 연구에 보편화를 이룰 수 있다. 셋째, 종교적 영웅담의 서사문법을 발굴할 수 있다. 넷째, 지역․종교 인물자료의 발굴로 인문학의 지평을 넓힐 수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다섯째, 새로운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소재를 제공하여 인문학의 실용화를 추진할 수 있다.
  • 색인어
  • 영규대사, 지역적 전승, 설화, 서사적 문법, 전승양상, 임진왜란, 승려, 승병장, 영웅, 활용, 종교적 인물, 인물전설, 공주, 논산, 금산, 청주, 체험학습, 지역문화, 관광자원, 문화산업, 문화콘텐츠, 특수성, 환경,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