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32&local_id=10020332
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 모형 개발 - 당사자주의적 관점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 모형 개발 - 당사자주의적 관점으로 | 2006 년 | 김경숙(한국체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55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체육의 지원체계가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기대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들이 원하는 생활체육의 지원체계는 어떠한 것인지 분석한 후 당사자주의 관점에서 생활체육 활성화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전체적으로 5단계의 진행과정으로 구분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연구계획 및 문헌수집 단계로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 사회적 주류,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등의 통하여 연구문제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준거 틀과 최적의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2단계 예비조사 및 설문조사에서는 예비조사를 실시 한 후 연구의 참여 대상자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특수체육 전문가 회의 후 실태조사 설문지를 확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cording)하여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3단계 기관조사에서는 먼저 현장조사를 하고 기관의 방문 및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를 기관별로 분석하였다.
    4단계 면담조사에서는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보다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들을 예비 면담 질문지를 작성한 후 장애인 당사자들에게 예비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질문지를 확정한 뒤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검토 과정을 거친 후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5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는 전문가와의 회의를 거쳐 모형 도출 및 보고서 작성에서는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면담자료를 토대로 활성화 모형을 도출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위와같은 연구의 진행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생활체육 비참여자들은 생계를 꾸려가기 위하여 바빠서 생활체육에 불참하고 있지만 생활체육에 참여할 의사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참여자들이 참여를 원하는 종목으로는 개인종목을 선호하고 있었고 생활체육을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활체육 시설의 확충 및 개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은 생활체육에 참여하기 위한 시설까지의 이동거리가 멀고 대부분 자가용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측면으로는 대부분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고 현재 이용하는 생활체육 시설에는 대부분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탈의실이나 샤워실 사용이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체육시설을 선택하는 것에는 이동거리가 가장 많은 요인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체육시설은 장애인 전용체육시설로 나타났다. 지도자 측면에서는 지도자들의 장애인식이 부족하여 생활체육 참여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측면으로는 스포츠 수준의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었지만 운동 장소와 시설이 장애인들이 운동하기에 부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홍보측면에서는 정부기관의 주도적인 홍보를 원하고 있었으며 대중매체를 이용한 홍보를 원하고 있었다. 인식측면에서는 생활체육의 참여는 신체적 재활과 자신감 향상, 대인관계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당사자들은 생활체육을 활성화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의 확충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관련 기관의 체육활동 실태조사 결과 장애관련 체육기관에서는 몇 가지의 획일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기관이 특수체육 전공지도자의 배치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적어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기위하여 대기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 및 전문가 집단의 면담조사 결과 장애인의 생화체육 참여에 있어 시설부족, 홍보부족, 프로그램 부족, 전문지도자 부족, 접근성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다고 나타났다.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은 형태와 내용과 진행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하고, 시설들은 일반사설시설을 리모델링과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을 확대하고 비영리 시설을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들은 프로그램 운영측면과 내적 측면을 강화해야하며 국가적인 지도자 양성체제를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 모형은 정부의 적극적인 행정지역을 통하여 장애인 생활체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의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 주어 참여율을 높이고 환경적인 측면으로 시설, 프로그램, 지도자의 질적인 향상을 통하여 생활체육은 활성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tivation model of Sport for all for the disabled on consumerism.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Sport for all for the disabled, we've been given questionaries from the disabled. In addition, we've interviewed with the disabled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employees working in Sport for all establishment, and the specialist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What has been used to achieve this goal including plan, participants,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was as follows;
    Firstly, non-participants of Sport for all answered they had been so busy(25.5%), so they couldn't take part in Sport for all. However the results have been showed that 70.1% of non-participants wanted to join in Sport for all. Also 64.5% person of non-participants wanted personal events.
    Secondly,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have answered they felt hard to go to the gymnasium, because it is located far from their home. Also, many gym didn't set up the convenient facilities, so people with disabilities felt uncomfortable. Distance between gym and hom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they chose the place of Sport for all. Moreover, they have answered instructors didn't have knowledge of disabilities enough, and it caused many problems. They wanted to take part in the program to develop their physical strength. Additionally, a campaign of publicity by the government was needed.
    Thirdly, to activate Sport for all for the disabled, all the elements like publicity, instructor, facility and program must ha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under the initiative of gover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현 장애인 생활체육의 지원체계가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기대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들이 원하는 생활체육의 지원체계는 어떠한 것인지 분석한 후 당사자주의 관점에서 생활체육 활성화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전체적으로 5단계의 진행과정으로 구분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연구계획 및 문헌수집 단계로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 사회적 주류,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등의 통하여 연구문제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준거 틀과 최적의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2단계 예비조사 및 설문조사에서는 예비조사를 실시 한 후 연구의 참여 대상자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특수체육 전문가 회의 후 실태조사 설문지를 확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cording)하여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3단계 기관조사에서는 먼저 현장조사를 하고 기관의 방문 및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를 기관별로 분석하였다.
    4단계 면담조사에서는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보다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들을 예비 면담 질문지를 작성한 후 장애인 당사자들에게 예비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질문지를 확정한 뒤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검토 과정을 거친 후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5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는 전문가와의 회의를 거쳐 모형 도출 및 보고서 작성에서는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면담자료를 토대로 활성화 모형을 도출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체육 프로그램은 실태조사 결과, 프로그램의 실시기관 부족, 다양성부족, 프로그램의 질적인 미향상 등이 주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생활체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당사자들의 입장 반영이 최우선이다. 당사자들은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인식, 홍보,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 측면의 발전을 가지고 올 수 있다고 생각 하고 있었다.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을 참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이 생활체육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홍보이다. 당사자들이 생활체육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져야 생활체육에 참여할 생각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장애인들을 생활체육 현장까지 고민 없이 건너갈 수 있는 든든한 징검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여건상 장애인 당사자들이 원하는 시설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골라 운동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사실 장애인들에게 상대적인 박탈감을 줄 수 있으며 생활체육 참여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지금 당장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을 늘리고 프로그램 수를 늘리기는 힘들기 때문에 일반체육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하여 그곳에서 장애인들이 다양한 생활체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시설적인 측면만 해결된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분명 아니다. 편의 시설이 갖춰진 시설에서 장애인들 당사자 한명 한명의 장애특성과 정도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지도자가 필요하다. 이 또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장애인 당사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수체육 전문지도자를 양성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톱니바퀴처럼 잘 맞물려 돌아갈 때 장애인들의 생활체육이 활성화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생활체육 비참여자들은 생계를 꾸려가기 위하여 바빠서 생활체육에 불참하고 있지만 생활체육에 참여할 의사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참여자들이 참여를 원하는 종목으로는 개인종목을 선호하고 있었고 생활체육을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활체육 시설의 확충 및 개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은 생활체육에 참여하기 위한 시설까지의 이동거리가 멀고 대부분 자가용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측면으로는 대부분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고 현재 이용하는 생활체육 시설에는 대부분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탈의실이나 샤워실 사용이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체육시설을 선택하는 것에는 이동거리가 가장 많은 요인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체육시설은 장애인 전용체육시설로 나타났다. 지도자 측면에서는 지도자들의 장애인식이 부족하여 생활체육 참여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측면으로는 스포츠 수준의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었지만 운동 장소와 시설이 장애인들이 운동하기에 부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홍보측면에서는 정부기관의 주도적인 홍보를 원하고 있었으며 대중매체를 이용한 홍보를 원하고 있었다. 인식측면에서는 생활체육의 참여는 신체적 재활과 자신감 향상, 대인관계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당사자들은 생활체육을 활성화하기위하여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의 확충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관련 기관의 체육활동 실태조사 결과 장애관련 체육기관에서는 몇 가지의 획일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기관이 특수체육 전공지도자의 배치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적어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기위하여 대기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 및 전문가 집단의 면담조사 결과 장애인의 생화체육 참여에 있어 시설부족, 홍보부족, 프로그램 부족, 전문지도자 부족, 접근성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다고 나타났다.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은 형태와 내용과 진행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하고, 시설들은 일반사설시설을 리모델링과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을 확대하고 비영리 시설을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들은 프로그램 운영측면과 내적 측면을 강화해야하며 국가적인 지도자 양성체제를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 모형은 정부의 적극적인 행정지역을 통하여 장애인 생활체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의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 주어 참여율을 높이고 환경적인 측면으로 시설, 프로그램, 지도자의 질적인 향상을 통하여 생활체육은 활성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체육의 정부 소관부처에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장애인 체육관련 서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시대 흐름을 반영하는 현실적인 체육 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장애인 스스로 선택하는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장애인 생활체육 현장 적용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다섯째,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
  • 색인어
  • 장애인, 생활체육, 당사자주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