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68&local_id=10013950
현대 예술가 소설의 변용 -- 제임스 조이스의 ꡔ스티븐 히어로ꡕ와 ꡔ젊은 예술가의 초상ꡕ의 개작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현대 예술가 소설의 변용 -- 제임스 조이스의 ꡔ스티븐 히어로ꡕ와 ꡔ젊은 예술가의 초상ꡕ의 개작 연구 | 2006 년 | 오길영(충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100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고전 교양소설의 특성과 현대 예술가 소설의 위상 분석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내용은 고전적 교양소설과 현대 교양소설의 공통점과 차이, 그리고 이 차이가 가져온 시민사회의 변화과정과 예술가 소설의 등장이 갖는 의미를 검토하는 것이다. 시민문화로 대표되는 사회현실과의 화해를 통해 이루어지는 고전 교양소설의 주인공의 성숙은 예술가적 성장을 다루는 현대 예술가 소설에서는 얼마나 가능한가 이런 질문들이 이 연구에서 주로 논의되는 질문이다. 고전 교양소설에서는 한 개인의 시민적 교양의 완성이 그가 속한, 이제 태동하는 시민사회라는 사회적 현실에서 조화롭게 이루어진다. 조이스가 ꡔ초상ꡕ이나 ꡔ히어로ꡕ에서 다룬 현실은 더 이상 손쉬운 화해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아일랜드 식민지 현실이다. 아일랜드의 독특한 상황은 근대시민문화가 제시한 새로운 유럽문명의 가능성이 심각한 한계에 봉착했음을 말해준다. 20세기 교양소설이 대체로 예술가 소설의 형태를 취하는 데는 이런 이유가 깔려 있다. 개인과 사회 사이에서 발생하는 혼돈과 갈등의 성격을 파헤치는 데는 어떤 인물보다 예술가가 가장 걸맞는 인물이다. 20세기 초에 예술가 소설이 대거 등장한 세 가지 배경을 꼽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적 교양소설의 토대를 이루었던 시민사회의 역동성이 점차 그 활력을 잃어간다. 둘째, 그와 함께 시민대중은 점점 경직되어 가는 사회체계에 순응한다. 셋째, 경직된 사회 문화적 현실에 가장 강력하게 저항하는 이들이 시민사회의 주류에서 점점 밀려나는 사람들, 특히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주변적 존재들인 예술가들이다. 이 시대의 가장 강력한 문학운동인 모더니즘 운동의 대가들, 대표적으로 조이스나 로런스(D.H. Lawrence)가 예술가 소설을 쓴 데는 이런 사회문화적 배경이 깔려 있다.

    (2) 개작을 통해 드러난 ꡔ히어로ꡕ와 ꡔ초상ꡕ의 서술방식 연구.

    이 연구에서는 ꡔ히어로ꡕ의 개작을 통해 탄생한 ꡔ초상ꡕ의 달라진 측면들, 작품 개작의 득실을 살펴본다. ꡔ초상ꡕ과 그 전작(前作)인 ꡔ히어로ꡕ에는 흥미로운 차이가 존재한다. 기존의 ꡔ초상ꡕ 연구에서는 이 두 작품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해왔다. ꡔ히어로ꡕ에서는 university college에 입학한 스티븐(Stephen)의 지적 성장과정, ꡔ초상ꡕ으로 보면 작품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시기가 다루어진다. ꡔ초상ꡕ은 스티븐의 성장과정을 유년기부터 청년기에 이르기까지 포괄한다. 그리고 과거가 현재의 관점에서 서술된다. 서술에는 1인칭과 3인칭 시점이 혼합된 자유간접스타일(free indirect style)이 능숙하게 사용되면서 뒤에 언급할 극적 아이러니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ꡔ초상ꡕ의 서술자/작가의 시선과 스티븐 사이에는 공감과 비판이 겹쳐 있는 미묘한 긴장관계가 존재한다. 그런 긴장관계에서 극적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ꡔ초상ꡕ은 ꡔ히어로ꡕ에 비해 분명 훨씬 절제된 작품이다. 따라서 독자는 서술자와 주인공 사이에 존재하는 공감과 비판의 복합적인 시선을 놓치기 쉽다. ꡔ히어로ꡕ에서는 훨씬 직접적으로 스티븐의 미숙함이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난다. 그러나 ꡔ초상ꡕ은 스티븐이 걸어갈 ‘수업’의 험난함을 극적 아이러니를 통해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극적 아이러니의 효과 분석을 위해 스티븐이 펼치는 예술형식론의 작품 내적 역할, 작품 끝 부분에 사용된 일기 형식의 의미, 스티븐의 미학론과 종교적 상징 사이의 관계 등을 검토한다.

    (3) 예술과 삶, 여성, 그리고 극적 아이러니

    자신이 꿈꾸는 예술가적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들인 가족, 교회, 식민지 통치 등의 억압적 현실에서 모색되는 스티븐의 내적 욕망은 왜 그런 현실과 조화로운 화해를 이루지 못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내용 중 하나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이런 질문들과 관련하여 예술과 삶의 관계, 그리고 어머니, 여동생들 등의 여성 인물들과 스티븐이 맺는 관계의 문제성을 아일랜드 식민지 현실의 억압성과 연관해 분석한다. 젊은 예술가 스티븐의 초상 뒷면에는 음화처럼 새겨진 아일랜드 여성의 어두운 삶이 있다. 그 관계의 문제성이 독자로 하여금 스티븐의 자기성찰, 망명의 결심에 거리를 두게 만들며 극적 아이러니를 발생시킨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어머니와 누이동생 이사벨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reading comparatively James Joyce's Stephen Hero and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Bildungsroman.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given on the narrative distance between the author and Stephen, the would-be young artist in both fictions. The difference of the 20th century Bildungsroman(the novel of development) from classical ones is the unbridgeable spiritual distance which replaces the more literal exclusion of the hero from society in earlier examples. Stephen's break-up with his agonizing situation of colonial Ireland is a crucial difference from the protagonist's final adjustment to the world in the classical Bildungsroman. Stephen refuses to be incorporated into this world of the oppressive social voices. He tries to retain the spiritual distance.

    A critical commonsens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ephen Hero and A Portrait is to regard the former as a unaccomplished forerunner to the latter. This argument is both right and wrong. A Portrait is surely more balanced and stucturized than Stephen Hero. But Joyce loses the effects of the more realistic dramatization of characters in Stephen hero in getting benefits of narrative economy in highlighting Stephen's consciousness and his gradual growth as a young artist in A Portrait. In a sense drama has retired before soliloquy in A Portrait. The narrative inappropriateness is noticeable when compared with Dubliners, A Portrait and Ulysses. Every event is basically filtered though all-important Stephen's consciousness. The more skillful use of free indirect style in A Portrait is effectively instrumental in making of the aspiring young artist's self-consciousness and his development as an artist. A crucial change come into being from the wealth of detail which incidents and people are described of Stephen Hero to a ruthlessly monologic narrative of A Portrait. If we do not catch the narrator's rare, but delicate detachment from Stephen in A Portrait, we remain with a wide-spread but problematic interpretation of this novel as a good illustration of 20th century Bildungsroman. His problematic engagement with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 cast some convincing lights on the narrative distance between the author and the protagonis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극적 아이러니(dramatic irony) 개념을 통해 18, 19세기 고전 교양소설과 구별되는 20세기 예술가 소설(the novel of artist)의 변용과 현재적 위상을 점검해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의 ꡔ스티븐 히어로ꡕ(Stephen Hero, 이하 ꡔ히어로ꡕ)와 ꡔ젊은 예술가의 초상ꡕ(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이하 ꡔ초상ꡕ)을 중심으로 고전 교양소설(Bildungsroman, the novel of development)과 구분되는 현대 예술가 소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ꡔ히어로ꡕ와 ꡔ초상ꡕ의 주인공 스티븐(Stephen Dedalus)의 예술가적 성장의 의의와 한계를 작품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특히 고전 교양소설과 비교 연구를 통해 현대 예술가 소설의 고유한 특질을 탐구한다. 연구의 주요목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전 교양소설의 주인공이 보여주는 특징, 즉 방황과 성숙을 통한 주인공의 사회와의 화해(reconciliation)와 구별되는 현대 예술가 소설의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새로운 자기인식과 그를 통한 성숙의 의미를 ꡔ초상ꡕ과 ꡔ히어로ꡕ의 주인공 스티븐의 인물형상화를 통해 분석한다. 괴테(Johann W. Goethe)의 ꡔ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ꡕ(Wilhelm Meisters Lehrjahre)로 대표되는 고전 교양소설의 특징, 그리고 그와 구별되는 현대 교양소설, 특히 예술가 소설의 등장의 토대를 이루는 변모된 사회문화적 배경의 검토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달라진 근대시민사회의 변화가 주인공의 내적 욕망과 성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ꡔ초상ꡕ과 ꡔ히어로ꡕ의 개작과정에 대한 비교검토를 통해 두 작품에서 작가가 어떤 달라진 서술기법과 인물 형상화를 시도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시도를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은 무엇인지 등을 연구하였다. 두 작품의 개작의 의미에 대한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의 공백지점을 메우는 연구목표를 갖는다. 특히 이 연구는 ꡔ초상ꡕ 그리고 ꡔ초상ꡕ의 미완성 습작으로 치부되어온 ꡔ히어로ꡕ에서의 서술기법의 차이를 검토한다. 제기되는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ꡔ초상ꡕ에서 사용되는 극적 아이러니 기법이 서술자/작가와 스티븐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 즉 이들 사이의 공감과 거리감을 동시에 보여주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가 극적 아이러니 기법이 고전 교양소설과는 구분되는 새로운 현대 예술가 소설의 탐색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런 질문들은 ꡔ초상ꡕ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교양소설의 특징이라는 작품의 표면적 서술구조에 집착하면서 스티븐의 예술가적 성숙의 함의를 고전 교양소설의 그것과 같은 것으로 손쉽게 치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고전 교양소설과 구분되는 점, 특히 스티븐이 이룩하는 예술가적 교양의 습득과 성장의 의미를 고전교양소설의 토대를 이루는 시민사회의 역사적 변모과정 속에서 제대로 천착하지 못한다.
    고전 교양소설과 구분되는 스티븐의 갈등과 고뇌, 그를 통한 예술가적 자기인식과 성숙은 무엇보다 그가 살고 있는 아일랜드 식민지 현실에서 비롯된다. 이 새로운 현실에서 스티븐은 고전 교양소설의 주인공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는 화해와 조화가 아니라 그가 서 있는 현실에서 심한 갈등과 혼란을 겪는다. 그는 현실과의 화해가 아니라 오히려 현실의 탈출을 통해 예술가의 길을 찾으려 한다. 스티븐에게 탈출은 ꡔ초상ꡕ의 결론이 보여주듯이 자발적 망명(self-exile)의 길이다. 이 연구에서는 스티븐의 자발적인 망명을 통한 예술가적 성장의 길이 고전 교양소설의 화해와는 어떤 다른 양상을 드러내는지를 분석한다. 그 분석을 통해 현대 예술가 소설의 위상과 곤경을 좀더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 중 하나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현대 예술가 소설의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효과
    이 연구는 고전 교양소설과 구별되는 현대 예술가 소설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해명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연구에서도 ꡔ초상ꡕ의 교양소설적 면모를 다룬 연구는 있었으나 ꡔ초상ꡕ에서 드러나는 고전 교양소설과 구별되는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간 주목되지 못한 ꡔ히어로ꡕ와 ꡔ초상ꡕ의 비교연구, 특히 현실과의 화해로 종결되는 고전 교양소설과는 다른 현대 예술가 소설의 특징, 특히 주인공과 서술자의 거리에서 발생하는 극적 아이러니의 역할을 새롭게 밝힘으로써 기존 ꡔ초상ꡕ 연구의 공백 지점을 메울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ꡔ초상ꡕ 연구에서도 서술자/작가와 스티븐의 거리 문제를 다루어오긴 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이 거리를 인정하는 입장이든 그렇지 않은 입장이든, 고전 교양소설과 구별되는 현대 예술가 소설의 사회문화적 위상에 대한 고찰이 빠져있다. 왜 고전적 교양소설에서는 찾기 힘든 작가/서술자와 주인공 사이에 거리가 존재하게 되었는가 그것은 고전 교양소설의 토대를 이루는 근대시민사회의 변모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서술자/작가가 스티븐에게 드러내는 공감과 비판의 공존에서 발생하는 극적 아이러니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리고 극적 아이러니는 현대 예술가 소설의 주인공들이 보이는 새로운 차원의 성숙과 자기 인식에 어떻게 연결되는가 이런 질문들에 대한 탐구가 기존 연구에서는 매우 미흡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시도함으로써 현대 예술가 소설의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모색하는 연구효과를 기대한다.
    (2) ꡔ히어로ꡕ와 ꡔ초상ꡕ의 비교연구 효과
    기존의 ꡔ초상ꡕ 연구에서는 단지 완결된 작품으로 ꡔ초상ꡕ만을 연구하면서 그것의 초고작품인 ꡔ히어로ꡕ는 단지 미완성 습작으로 치부해버리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ꡔ히어로ꡕ가 조이스 연구에서 지니는 의미는 초상의 습작이라는 위상에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ꡔ히어로ꡕ는 ꡔ초상ꡕ과 관련해서, 혹은 이 작품 자체의 별도 연구를 요구하는 예술적 성취를 자랑한다. ꡔ히어로ꡕ의 개작이 지니는 함의에 주목하는 ꡔ초상ꡕ과의 비교연구는 ꡔ초상ꡕ 연구만이 아니라 현대 예술가 소설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에서도 긴요하다. 그런데 아쉽게도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런 점에 주목하면서 ꡔ히어로ꡕ와 ꡔ초상ꡕ의 비교 연구를 시도한 것은 매우 찾기 힘든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 두 작품의 비교연구를 통해 두 작품의 관계나 개별 작품의 새로운 이해에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작가/서술자와 주인공의 거리를 다루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두 작품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ꡔ히어로ꡕ에서는 스티븐에 대한 서술자/작가의 거리가 드러나는 방식이 ꡔ초상ꡕ과는 다르다. ꡔ히어로ꡕ에서는 고유한 개성을 지닌 인물들로 그려지는 스티븐 주위 인물들, 그의 가족, 친구 등이 스티븐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 스티븐에 대한 작가/서술자의 거리가 제시된다. 반면에 스티븐의 의식에 서술의 초점이 맞춰지고 다른 인물들은 뒷전으로 밀려나는 서술구조를 지닌 ꡔ초상ꡕ에서는 다른 인물들이 스티븐에게 보이는 태도가 아니라 그의 주위 사람들과 억압적인 아일랜드 식민지 현실을 대하는 스티븐 나름의 비판적 입지에 대한 서술자/작가의 공감과 비판이 어우러진 극적 아이러니가 부각된다.
    (3) 극적 아이러니의 역할과 현대예술가 소설의 위상 연구 효과
    기존 ꡔ초상ꡕ 연구에서는 작품의 주제 연구와 형식 연구가 분리되는 경향을 보인다.
    ꡔ초상ꡕ의 형식연구는 작품의 서술방식의 문제, 스티븐의 예술형식론과 ꡔ초상ꡕ의 형식과의 관계문제, 작가/서술자와 주인공의 거리 문제 등이 주로 논의된다. 그러나 이런 주제연구와 형식연구는 서로 결합되지 못하고 따로 이루어진다는 인상이 짙다. 이 연구에서는 서술자의 역할, 서술자/작가와 주인공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와 거기서 생기는 극적 아이러니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 주목하는 형식 연구와 ꡔ초상ꡕ의 주제적 연구들과의 결합에 주목한다. 특히 스티븐과 식민지 아일랜드 여성들의 관계를 탐색하는 페미니즘, 탈식민주의적 읽기와 결합될 수 있음을 예시함으로써 새로운 작품 읽기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제임스 조이스, 교양소설, 예술가소설, 극적 아이러니, 젊은 예술가의 초상, 스티븐 히어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