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70&local_id=10013908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수행 실태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수행 실태 분석 | 2006 년 | 송현종(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75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상담교사의 역할과 준비와 역할수행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조사의 대상은 전국의 중ㆍ고등학교와 시ㆍ군ㆍ구 교육청에 배치된 전문상담교사 131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Milsom(2002)이 학교상담자의 준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질문지개정판(The School Counselor Preparation Survey-Revised: SCPS-R)과 Wood Dunn과 Baker(2002)가 장애학생 지도를 위한 학교상담자의 준비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질문지를 토대로 하여, 이 연구의 문제 규명에 적합한 질문을 추가하여 통합적으로 제작한 ‘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 수행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들은 통합교육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을 상담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준비는 아직 많이 미흡하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이 매우 낮다. 셋째, 장애학생을 위한 상담교사, 특수교사, 담임교사 간 협력 체제의 구축이 미약하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 상담의 활성화와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e of school counselors' prepa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131 school counselors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school counselor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their level of preparation for counse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as a big gap between the perceived levels of their role performance as school counselors and their actual levels for counse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only a few school counselors worked in coope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classroom teac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school counseling and future studies.

    Key words: counse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chool counselor, school counseling, inclusive educa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상담교사의 역할과 준비와 역할수행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조사의 대상은 전국의 중ㆍ고등학교와 시ㆍ군ㆍ구 교육청에 배치된 전문상담교사 131명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들은 통합교육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을 상담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준비는 아직 많이 미흡하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이 매우 낮다. 셋째, 장애학생을 위한 상담교사, 특수교사, 담임교사 간 협력 체제의 구축이 미약하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 상담의 활성화와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와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 수행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전문상담교사들의 준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과 현직 연수 활동에서 장애학생 상담과 관련된 교과목과 내용을 더욱 보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을 더욱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의 양성 과정과 현직 연수 활동을 통해 장애학생 상담에 관한 전문상담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 변화와 행동 실천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장애학생을 위한 상담교사의 역할에 관한 인식 수준과 실제 역할 수행 수준간의 괴리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정 수의 전문상담교사를 추가 배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 체제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각급 학교 또는 시군교육청 단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장애학생 지도를 위한 협력팀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또 상담교사 역시 장애학생에 대한 책임감을 더욱 인식하고 팀 접근을 통한 지도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노력이 한층 더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일반학생을 위한 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 수행 실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장애학생을 위한 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수행 실태 결과와 비교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색인어
  • 전문상담교사, 장애학생 상담, 특수아상담, 통합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