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78&local_id=10014918
학습자 중심의 초등사회과(지리) 내용 구성을 위한 모형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습자 중심의 초등사회과& #40;지리& #41; 내용 구성을 위한 모형 개발 연구 | 2006 년 | 김재일(대구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4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난 100여 년 동안 초등지리 내용구성의 원리로 자리매김해온 지평확대법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공간범위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학습공간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차단하고 사고의 폭을 한정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시대적 변화와 흐름을 수용하지 못한 채, 100여 년 전의 논리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경험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평확대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수정 및 대안의 필요성을 밝히고, 경험적 연구를 통해 탈 지평확대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평확대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먼저 지평확대법의 기원과 발달과정, 그리고 발달심리학적, 경험주의적 측면에서의 이론적 토대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탈 지평확대로의 모색을 위한 논의에서는 지평확대법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이상을 통해 지평확대법은 세계스케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하지 못했음을 파악했다.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를 통한 탈 지평확대로의 방향 모색을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논리적 근거로 스케일, 지식, 흥미, 경험 및 생활 요인 등을 고려했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스케일은 무엇인지, 스케일에 따른 내용선호도는 어떠한지, 선호도의 경향성은 어떠한지 등의 문제를 학년과 관련지어 해석했다.

    조사 결과 첫째, 모든 학년에서 세계스케일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고장스케일은 고학년일수록 관심과 흥미가 조금씩 나타나는 정도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스케일에 따른 내용선호도와 텍스트 선호도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인 공간범위는 세계스케일을 중심으로 하되 고학년으로 가면서 국가스케일과 고장스케일에 관한 내용들을 늘려야 할 것이다.

    둘째, 선호하는 스케일을 결정하는데 있어 저학년일수록 흥미, 고학년일수록 흥미 외에 지식과 경험 및 생활 요인의 영향이 컸다. 이는 세계스케일에 대해서는 호기심과 흥미의 영향이 크지만 고장스케일로 갈수록 지식을 쌓고 싶어 하고, ‘나’, ‘우리’와 관련지어 생각하려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학년에서는 세계스케일에 관한 내용들을 흥미 중심으로 구성하고 고학년으로 가면서 국가스케일과 고장스케일에 관한 내용들을 흥미 외에 지식, 경험 및 생활 요소들을 가미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초등학생들은 세계스케일에 대해 가장 많은 관심과 흥미를 보였다. 그러므로 스케일 선호도를 토대로 학습내용을 구성한다면 지평확대법에서의 공간계열은 유효하지 않다. 세계스케일을 중심으로 내용을 다루면서 국가스케일과 고장스케일에 대한 부분을 가미해야 할 것이다. 결국 스케일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한다면 탈 지평확대로의 모색은 초등지리 내용구성에 있어 의미 있는 논의가 될 것이다.
  • 영문
  • For the past 100 years this instruction method has solidified its positi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for content development in elemental geography. However, restricting the range of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has actually served to turn off students’interest in geography and to limit their scope of thinking. Despite this fact, the widening horizons persists to this day, even as it fails to accommodate the changes in and trends of the current times, and even though it features outdated logic from about 100 years ago. Critical reflection on and empirical studies of this type of curriculum has therefore become essential.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need for revising the widening horizons and also on the need to find alternatives to it, by discussing the theoretical principles behind the curriculum. This study also aims to search for ways to move beyond the widening horizons approach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ory discussi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widening horizons are first examined, and then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empirical aspects of the curriculum’s theoretical foundations are considered. Next, in an attempt to search for ways to move beyond the widening horizons approach, existing studies that criticize and suggest alternatives to the widening horizons are presented. Through all of the above, it became clear that the widening horizons has failed to adequately reflect students’ interest concerning the global scale.

    Next, surveys were carried ou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effort to search for ways to move beyond the widening horizons through empirical research. Scale, knowledge, interest, experience and life factors were considered as our logic basis. Based on these factors, issues such as which scal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what the content preference rates were for each scale, and any tendencies evident in such preference rates were interpreted with respect to grade level in school.

    Results of our survey showed that first, interest in the global scale appeared highest across all grades. In contrast, a little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scale began to appear in the higher grade-levels. Such tendencies appeared uniformly in both the content preference and text preference according to scale as well. Therefore, the global scale should be the centerpiece in the overall spatial environment, but contents for the national scale and local town scale should be increased gradually with higher grade-levels.

    Secondly, in terms of deciding on scale preference, the interest factor was more important in the lower grade-levels, whereas factors other than interest, such as knowledge, experience and life factors were more influential in the higher grade-levels. This was because for the global scale, curiosity and interest exert a significant interest, but on moving toward the local community scale, students wish to acquire more knowledge, and they want to think in relation to ‘me’ and to ‘us’. Therefore in the lower grade-levels, content related to global scale should be developed around interest, and in the higher grade-levels, content related to national scale and local community scale must be developed by considering additional factors other than interest, such as knowledge, experience and life factors.

    In this wa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in the global scale. Therefore if academic content is developed based on scale preference rate, the spatial system used in the widening horizons is not valid. Instead, content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global scale as the centerpiece, and national scale and local community scale as additional features. Finally, if students’ interest in scales is considered, a discussion of ways to move beyond the widening horizons will be meaningful to content development in elementary geograph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난 100여 년 동안 초등지리 내용구성의 원리로 자리매김해온 지평확대법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공간범위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학습공간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차단하고 사고의 폭을 한정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시대적 변화와 흐름을 수용하지 못한 채, 100여 년 전의 논리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경험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평확대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수정 및 대안의 필요성을 밝히고, 경험적 연구를 통해 탈 지평확대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평확대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먼저 지평확대법의 기원과 발달과정, 그리고 발달심리학적, 경험주의적 측면에서의 이론적 토대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탈 지평확대로의 모색을 위한 논의에서는 지평확대법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이상을 통해 지평확대법은 세계스케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하지 못했음을 파악했다.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를 통한 탈 지평확대로의 방향 모색을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논리적 근거로 스케일, 지식, 흥미, 경험 및 생활 요인 등을 고려했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스케일은 무엇인지, 스케일에 따른 내용선호도는 어떠한지, 선호도의 경향성은 어떠한지 등의 문제를 학년과 관련지어 해석했다. 조사 결과 첫째, 모든 학년에서 세계스케일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고장스케일은 고학년일수록 관심과 흥미가 조금씩 나타나는 정도였다. 둘째, 선호하는 스케일을 결정하는데 있어 저학년일수록 흥미, 고학년일수록 흥미 외에 지식과 경험 및 생활 요인의 영향이 컸다.

    이처럼 초등학생들은 세계스케일에 대해 가장 많은 관심과 흥미를 보였다. 그러므로 스케일 선호도를 토대로 학습내용을 구성한다면 지평확대법에서의 공간계열은 유효하지 않다. 세계스케일을 중심으로 내용을 다루면서 국가스케일과 고장스케일에 대한 부분을 가미해야 할 것이다. 결국 스케일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한다면 탈 지평확대로의 모색은 초등지리 내용구성에 있어 의미 있는 논의가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 및 예상되는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지평확대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먼저 지평확대법의 기원과 발달과정, 그리고 발달심리학적, 경험주의적 측면에서의 이론적 토대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탈 지평확대로의 모색을 위한 논의에서는 지평확대법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이상을 통해 지평확대법은 세계스케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하지 못했음을 파악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지리 내용구성의 중요한 원리가 되고 있는 지평확대법은 학습대상인 초등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했고, 오히려 초등지리내용을 직접 구성하는 일을 담당했던 일부 학자들의 견해를 교육내용으로 결정한 바가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잘 활용하여 앞으로는 교육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수요자인 초등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대한 고려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도 강과 인구를 사례로 초등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대해 조사한 바 있으나, 보다 폭넓은 주제와 범위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를 통한 탈 지평확대로의 방향 모색을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논리적 근거로 스케일, 지식, 흥미, 경험 및 생활 요인 등을 고려했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스케일은 무엇인지, 스케일에 따른 내용선호도는 어떠한지, 선호도의 경향성은 어떠한지 등의 문제를 학년과 관련지어 해석했다.

    조사 결과 첫째, 모든 학년에서 세계스케일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고장스케일은 고학년일수록 관심과 흥미가 조금씩 나타나는 정도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스케일에 따른 내용선호도와 텍스트 선호도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인 공간범위는 세계스케일을 중심으로 하되 고학년으로 가면서 국가스케일과 고장스케일에 관한 내용들을 늘려야 할 것이다.

    둘째, 선호하는 스케일을 결정하는데 있어 저학년일수록 흥미, 고학년일수록 흥미 외에 지식과 경험 및 생활 요인의 영향이 컸다. 이는 세계스케일에 대해서는 호기심과 흥미의 영향이 크지만 고장스케일로 갈수록 지식을 쌓고 싶어 하고, ‘나’, ‘우리’와 관련지어 생각하려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학년에서는 세계스케일에 관한 내용들을 흥미 중심으로 구성하고 고학년으로 가면서 국가스케일과 고장스케일에 관한 내용들을 흥미 외에 지식, 경험 및 생활 요소들을 가미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구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초등지리 주제와 관련지어 강과 인구 이외에 다른 많은 주제들로도 이와 같은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관심과 흥미의 원인을 학년별로 좀 더 구체화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즉 고학년과 저학년이라는 막연한 분류가 아닌, 3~6학년까지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것이 본 연구를 교육과정에서 현실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진다.
  • 색인어
  • 탈 지평확대, 지평확대법, 스케일, 선호도, 초등지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