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79&local_id=10018104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의 영어말하기 능력에의 전이가능성 연구: 코퍼스와 엔비보 분석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의 영어말하기 능력에의 전이가능성 연구: 코퍼스와 엔비보 분석을 중심으로 | 2006 년 | 한종임(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37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의 전이가능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은 서울 소재의 여자대학교 1학년 영어교육전공생 23명으로, 이들은 통제집단과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을 한 실험집단으로 나뉘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은 학습자들이 주어진 주제에 대해 평소 생각하고 있는 의미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어휘를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데 효과적일 뿐 아니라, 보다 길고 복잡하며 정확한 문장 구조로 발화를 하는데 도움이 교량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은 발화의 주제 전개 및 면 대 면 발화 상황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및 의미협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이러한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의 긍정적 효과는 영어 능력이 우수한 상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영어 능력이 낮은 하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말하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에게 문자기반 채팅 활동을 면 대 면 발화의 사전 과제로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사전 활동 과제는 영어 구사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에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erability of productive skills from synchronous text-based CMC activity to face-to-face oral conversation. A total of twenty three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synchronous text-based chatting group).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ased chatting activity proved to be effective in transferring the participants' ideas, lexical use, syntactic structures, and interactive skills to face-to-face oral conversations. Second, the text-based chatting activity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o low-proficiency group participants than to high-level proficiency group participants in transferring their propositions, words, and struc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are made on effective ways of using the synchronous text-based activity as a pre-task of oral conversations in order to improve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skil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erability of productive skills from synchronous text-based CMC activity to face-to-face oral conversation. A total of twenty three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synchronous text-based chatting group).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ased chatting activity proved to be effective in transferring the participants' ideas, lexical use, syntactic structures, and interactive skills to face-to-face oral conversations. Second, the text-based chatting activity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o low-proficiency group participants than to high-level proficiency group participants in transferring their propositions, words, and struc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are made on effective ways of using the synchronous text-based activity as a pre-task of oral conversations in order to improve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skill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연구한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CMC) 활동이 면 대 면(face-to-face) 발화 상황에서의 영어 말하기 표현에 전이되는 정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이 면 대 면 상황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영어 말하기 능력이 우수한 상위학습자의 경우에는 면 대 면 회화의 사전 활동으로 실시되는 문자기반 채팅 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영어 말하기 능력이 낮은 하위학습자들에게는 유의하게 효과적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이 의미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과제에서 발화로 전이된 명제 전이도를 측정해 본 결과, 영어 능력이 우수한 상위집단의 경우에는 전이된 명제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이 어휘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내용어 사용 및 전이된 어휘 수에 관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언어 능숙도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 상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 집단의 하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사전 과제에서 사용한 어휘를 면 대 면 발화시에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동일 및 유사 어휘 전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전이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외에 주제 관련 핵심어 사용에 대한 코퍼스 분석 결과 실험 집단 학생들이 핵심 내용어를 통제 집단 학생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이 통사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 집단의 하위 학습자들은 종속절과 복문이 포함된 복잡한 문장 구조를 사용하면서 발화를 길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문장 구조 측면에 있어서 실험 집단이 어휘군 위주의 간략한 표현을 사용하는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복잡하고 긴 문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기반 표현 활동이 상호작용적 명제 수 및 의미협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주제 전개 및 대화 유지, 말바꿈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면 대 면 발화의 사전 과제로서 동시성 채팅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 학습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의미와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어휘 및 문장 구조를 보다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면 대 면 발화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경험적 자료로, 말하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에게 문자기반 채팅 활동을 면 대 면 발화의 사전 과제로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이러한 동시성 문자기반 채팅 활동은 영어 능력이 우수한 상위 학습자보다는 하위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므로, 영어 구사 능력이 낮은 학생들에게 영어 회화를 가르칠 때 수업의 사전 과제로 동시성 컴퓨터 매개 문자 표현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 동시성 문자기반 의사소통 과제에 사용된 영어 자료와 면대면 구두상황에서 사용된 영어 전사의 실증자료에 근거하여 질적 연구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학습자의 의미, 어휘 및 통사의 언어학적 측면과 주제 전개 및 상호작용과 같은 사회언어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적으로 처음으로 시도된 질적 연구 자료이므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와 Nvivo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문자채팅과 면대면 구두발화 상황의 영어 사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는바, 이러한 본 연구의 질적 연구 방법 및 새로운 분석 기법의 적용은 향후 CMC와 관련된 연구에 이와 유사한 연구 분석 방법이 파급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3)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동시성 문자기반 표현 활동에 대한 모형은 영어 교수 및 학습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과 동시에 CALL(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기관 및 CALL 관련 연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전이가능성,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문자 채팅, 영어 말하기, transferability,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ext-based chatting, English speaking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