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83&local_id=10017246
일반학교에 통합된 고등부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e-Learning지원체계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반학교에 통합된 고등부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e-Learning지원체계 개발 | 2006 년 | 이정은(대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05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서의 전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2차에 걸친 연구에 의해 진행되었다.

    1차 연구에서는 특수학급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환교육에 대해 실태를 파악하고,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전략과 요구되는 지원욕구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하에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 10 인과의 심도깊은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1) 특수학급교사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2) 전환교육 실행에 대한 특수학급교사들의 경험, (3) 특수학급 전환교육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들(4)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들의 진로 현황이라는 4개의 주제에 대해 교사들의 생각과 인식을 정리할 수 있었다. 향후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전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결과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전국의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중인 특수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전환교육주제와 이러닝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1) 교수학습자료 개발이 필요한 전환교육주제 영역을 확인하였으며, (2) 이 중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영역을 순위화할 수 있었으며, (3) 각각의 전환교육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목적(프로그램 유형)과 자료유형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4) 이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할 경우 교사와 학생에게 기대되는 효과와 필수요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어떤 방식으로 전환교육을 위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영문
  • In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transition education, and the strategies and the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ors, through interviewing with them for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high school settings. A total of nine special educators participated and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scripts of interview were analyzed and the four themes and twelve subthemes were emerged. The themes emerged were (1) the perception of transition education, (2)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education, (3) support needs for the improving implement of transition education (4) the situation of carrier education. Finally, several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s and programs of transition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In the second step of this research,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need to be developed into e-Learning program were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total 200 special educators participated in survey about needs for e-Learning program of transition education. In results, categories of transition education that need to be developed into e-Learning program were identified. In additon, the ranking of needs for developing e-Learning program,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Learning, and expected effects 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founded. Finally, several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programs of transition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서의 전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2차에 걸친 연구에 의해 진행되었다.
    1차 연구에서는 특수학급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환교육에 대해 실태를 파악하고,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전략과 요구되는 지원욕구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하에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 10 인과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1) 특수학급교사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2) 전환교육 실행에 대한 특수학급교사들의 경험, (3) 특수학급 전환교육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들(4) 고등학교 특수학급학생들의 진로 현황이라는 4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향후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전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결과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전국의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중인 특수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전환교육주제와 이러닝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1) 교수학습자료 개발이 필요한 전환교육주제 영역을 확인하였으며, (2) 이 중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영역을 순위화할 수 있었으며, (3) 각각의 전환교육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목적(프로그램 유형)과 자료유형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4) 이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할 경우 교사와 학생에게 기대되는 효과와 필수요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어떤 방식으로 전환교육을 위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크게 1차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전환교육 실태와 다양한 지원에 대한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2차 연구를 통해서는 1차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전환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욕구와 관련 변인들에 대하여 조사연구를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지원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겠다.
    이 연구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는 일반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전환교육 이론의 정교화와 현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e-Learning 적용을 위한 이론의 수립이라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의 전무로 인해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장애학생을 위한 e-Learning"에 대해 체계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보다 많은 연구와 실제를 양산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도로서는 연구결과를 통해 전환교육 e-learning 교육과정이 개발된다면, 장애학생을 평생교육체계로 영입하는 계기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성인으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준비시켜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성과를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는데 있다. 이는 장애학생이 성인기에 이 사회에 진정으로 통합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면에서 더욱 사회적 기여도를 찾을 수 있다.
    셋째, 교육현장에서의 연계활용 방안을 살펴보면, 이 연구의 실제적인 기여도가 가장 잘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로 e-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까지는 다루지 않을 것이나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양질의 컨텐츠 개발의 지침과 지원체계를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e-Learning을 장애학생에게 적용하고자 하는 교사나 교육행정가, 그리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업체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내용전문가에 의해 제대로 구성된 전환교육 컨텐츠를 장애학생들에게 수준별, 내용별로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장애학생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잠재능력과 학습능력과 인지적 특성 및 동기적 특성에 적합하게 맞춤형 학습과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게 되며, 개별적인 노력으로 전환교육을 실시하기에는 열악한 상황에 있는 특수교사들을 지원 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교육받을 수 있어 학습자 중심의 전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전환교육, 중등기 장애학생, 중등기 특수교육, 고등학교특수학급, 이러닝 프로그램 교수자료개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