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499&local_id=10014948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시설 및 이용 만족도 비교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시설 및 이용 만족도 비교 분석 | 2006 년 | 전용배(동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38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용성 및 접근성에 대한 가치관 및 의식을 정확히 파악하여 지역의 근린공원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제하에 근린체육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의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은 물론 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성격을 파악하여 지역주민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과 이용성 및 시설수준이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의 계획과 개발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과 변수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지는 2007년 부산에 조성되어 있는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3개소(금정체육공원, 백운포근린공원, 강서체육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공원은 지역주민의 여가선용을 위해 체육시설 및 다목적 복합시설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산시의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8월에서 9월까지 3차의 현장 답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항목과 특성을 분류하였다. 2007년 10월 2회(주중, 주말)에 걸쳐 3개소에서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그 자리에서 회수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총 4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 49부를 제외한 총 351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표집한 전체 표본 총 400부의 설문지 중 3문항 이상 체크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는 49부의 설문을 제외한 총 351부(응답율: 87.75%)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 자료를 가지고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SPSSWIN Ver. 12.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위해서 LISREL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설수준은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시설, 특히 운동중심의 시설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동네 근린공원과 달리 체육기반시설로의 근린공원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현대화된 시설 및 유지관리가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접근성은 체육기반시설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상대적으로 의미성은 낮았다. 접근성은 이용성과 시설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이용성은 체육시설로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가 모든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을 대표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표본의 대표성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타 시도 등을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대상으로 연구하여 보다 다양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변수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결과 만족도에 관련된 다수의 연구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연구의 변수들 중에서 한정된 변수들만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한정된 변수 이외에 많은 변수들을 이용하여 세분화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in sports and recreational park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nd variables that affect user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park leisure facilities as sports infrastructure in Busan .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s from 351 samples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analysis of the data were taken two steps. The first method involv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identify major factors involved in satisfaction with leisure facilities and area access in the community park as sports infrastructure.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four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open space variable, area access and facilities levels. Second step tested the causal model of LISREL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is analysis showed that facility level related to sports was most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with availability of the facility in the community park as sports infrastructure. All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correlation analysis. The facility levels and space variable had positive effect on total satisfa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용성 및 접근성에 대한 가치관 및 의식을 정확히 파악하여 지역의 근린공원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제하에 근린체육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의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은 물론 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성격을 파악하여 지역주민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과 이용성 및 시설수준이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의 계획과 개발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과 변수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설수준은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시설, 특히 운동중심의 시설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동네 근린공원과 달리 체육기반시설로의 근린공원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현대화된 시설 및 유지관리가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접근성은 체육기반시설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상대적으로 의미성은 낮았다. 접근성은 이용성과 시설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이용성은 체육시설로서의 근린공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가 모든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을 대표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표본의 대표성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타 시도 등을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대상으로 연구하여 보다 다양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변수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결과 만족도에 관련된 다수의 연구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연구의 변수들 중에서 한정된 변수들만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한정된 변수 이외에 많은 변수들을 이용하여 세분화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의 시설 및 이용 만족도 모형의 전체적 적합도는, χ2 값이 254.1(df=116, p=.000)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χ2 값은 표본크기와 자료 분포의 정규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Kang, 2002)예 따라 다른 적합도 기준을 통해서 적합도를 판단하였다. 즉 GFI는 .911, AGFI는 .902, RMR은 .021로 나타나 모형이 비교적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χ2 값은 표본수가 큰 경우에는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데 효과적인 척도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Hyun, 1986), 또 다른 방식인 Wheaton, Beier, Alwin과 Summers(1977)의 χ2 /df의 값을 적용한 결과 2.18로서 5 이하이고, 임계 N 값이 251.44로 200보다 크므로 모형이 비교적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1>에 나타나듯, 부분 구성 적합도는 각 매개변수의 표준화된 계수와 t 값에 의해 평가되어지며, 표준화된 λ값은 잠재적 인자( π)에 대한 측정의 타당성을 나타내고, t 값은 매개변수의 추정치를 표준오차로 나눈 값으로 1.97보다 클 때 그 매개변수는 α= .05 수준에서 유의함으로 적합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Hoelter, 1983). 부분 구성 적합도는 β2를 제외하고 모든 매개 변수가 =.05 수준에서 유의함으로 적합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λ매개변수의 값이 .612에서 .881까지 분포함으로 측정의 타당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이용자들의 시설 및 이용 만족에 관한 분석은 근린공원의 시설수준으로부터 오는 만족(η4)과 이용 및 편의성(η2)이 근린공원 이용의 전체 만족(η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이용성 및 편의성으로부터의 만족(η2)과 근린공원이용의 전체 만족(η1)의 관계는 표준화된 β1 값에 의해 나타난다. β1 의 값이 .311로 이는 근린공원의 이용성 및 편의성이 표준오차 1 단위만큼 변할 때 전체 만족도(η1)는 η1의 표준오차의 0.5 단위만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이용성으로부터 오는 만족(η2)의 요인에 미치는 유의한 변인은 개방시간(λ2=.701), 이용편의성(λ3=.631), 예약수월성 및 가격(λ4=.692) 등의 내재적 변수로 구성되고, 이 중에서 예약수월성 및 가격이 체육공원 이용성에 상대적으로 높은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활용방안
    1) 근린공원은 시민이 이용하는 개방된 공간으로서 다양한 사회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지역사회의 구심점으로 작용하여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공원 녹지에 대한 시민의 의식 및 가치관을 바탕으로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2) 우리나라의 공원은 지역주민의 스포츠활동을 보장해주는 평지형이 아닌 산지형이며 미국의 근린공원은 지역주민의 스포츠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평지형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인데, 평지형 근린공원이 고비용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이유를 규명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3) 주민들이 저비용으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근린체육공원은 주 5일제의 실시로 더욱 기능과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학문적 뿐만 아니라 실제 정책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 우리나라 근린공원의 특성중 하나는 체육기반시설로서 인지되는 것이 아니라 녹지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제고에 이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이 연구는 외재적인 요인으로 이용성과 접근성 그리고 내재적인 요인으로 시설 이용만족도 등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분석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신도시 개발이나 도시재개발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을 조성할 경우, 필요한 시설이 어떤 것인지를 고려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체시설수준의 만족(η4)과 전체 만족도(η1)의 관계를 나타내는 β3 계수의 값은 .623으로 β1 의 값인 .311보다는 크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할 수 있다. 체육기반시설로서의 근린공원 시설수준으로부터 오는 만족이 표준오차 1 단위만큼 변화함에 따라 전체 만족도는 η1의 표준오차 .623 단위만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설수준으로부터 오는 만족요인의 내재적 변수로는 옥외운동시설(λ10=.814), 옥내운동시설(λ9=.737), 주차시설(λ8=.652), 편의시설(λ7=.642)이며, 기술한 순서대로 시설수준의 만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유의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색인어
  • 만족도, 체육기반시설, 근린공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