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578&local_id=10018020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명사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명사구 | 2006 년 | 홍용철(성신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1061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언어 유형이 다른 두 언어인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명사구에 대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가능한 한 보편문법적 차원에서 그 이유를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구조차원에서 두 언어 모두 명사구는 기능요소를 포함하는 명사 확장범주를 형성하고 있다. 명사구 내부에서 논항구조는 두 언어 모두에서 동일하다.
    반면 명사구의 기능범주들에 있어 두 언어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프랑스어의 경우 NumP, (AgrP), DP 등이 일반적으로 설정되는 반면, 한국어의 경우는 NumP, PP, DelP, KP 등이 설정된다.
    명사구 내부에서의 이동 또한 두 언어는 차이를 보인다. 우선 기능범주로의 논항의 이동은 한국어에서는 가능하나 프랑스에서는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프랑스어의 경우 명사 또는 명사를 포함하는 최대투사범주가 기능범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나 한국어의 경우는 명사를 포함하는 최대투사범주의 이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이 논문은 논항구조에 있어서는 두 언어 사이의 공통점을 확인하는 반면 기능구조에 있어서는 차이점을 확인한다. 이것은 논항구조는 보편적인 반면 기능요소는 언어의 차이를 불러일으킨다는 기존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한다.
  • 영문
  • Nous comparons dans le present article les syntagmes nominaux du francais et du coreen, deux langues typologiquement tres differentes. Nous relevons leurs differences et points communs aux termes de la grammaire universelle. Nous les resumons ici dans les trois themes suivants : la structure thematique, la structure fonctionnelle et le deplacement des elements de l'interieur du syntagme nominal.
    Les syntagmes nominaux des deux langues partagent la meme structure thematique du nom en ce que l'argument sujet est engendre, pour toutes les deux langues, dans une position plus haute que l'argument objet.
    En ce qui concerne la structure fonctionnelle du nom, les deux langues ont peu de points communs. En general, on compte NumP (Projection de nombre) et DP (Projection de determinant) dans le syntagme nominal du francais. Certains y ajoutent AgrP (Projection d'accord) ou d'autres categories sans preciser leur nature. Pour le coreen, on peut etre sur, avec la marque de pluriel "tul", d'avoir NumP. Mais c'est la seule categorie fonctionnelle en commun. Les autres comme PP (Projection prepositionnelle), DelP (Projection de delimitatif) et KP (Projection casuelle) ne trouvent pas leur analogue en francais. PP existe en francais mais elle est differente de celle du coreen en deux points: PP en francais se trouve a l'exterieur du syntagme nominal tandis que PP en coreen a l'interieur, la derniere formant une projection nominale etendue mais pour la premiere, on n'en est pas sur.
    Ajoutons qu'en coreen, DemP (Projection de demonstratif) ne constitue pas une projection nominale etendue. Cela ouvre la meme analyse pour les demonstratifs en francais, pour lesquels les chercheurs reflechissent encore a leur statut de projection nominale etendue.
    Les differences s'accentuent sur le deplacement des elements a l'interieur du syntagme nominal entre les deux langues. En francais, les arguments du nom ne peuvent pas se deplacer vers le domaine des categories fonctionnelles sinon sous la forme d' adjectifs possessifs, tandis qu'en coreen 'Scrambling' leur permet de le faire. A la difference des arguments, en francais, le nom (ou une projection maximale contenant le nom selon certains chercheurs) se deplace vers le domaine des categories fonctionnelles, mais pour le coreen on n'en est pas sur. Pour cette langue, une langue aux tetes finales, le nom ou les elements fonctionnels sont places cote a cote tout en respectant l'ordre basique, ce qui pourrait etre explique par l'affixation plutot que par le deplac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언어 유형이 다른 두 언어인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명사구에 대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가능한 한 보편문법적 차원에서 그 이유를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구조차원에서 두 언어 모두 명사 관련 기능범주들을 지니고 있어 명사가 이 이 기능범주들로 투사되는 확장범주를 구성한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그리고 명사의 논항구조에 있어 주어가 목적어보다 상위에 생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형성한다는 점 또한 두 언어가 지니는 공통점이다.
    한편, 프랑스어의 경우 논항의 기능범주 영역으로의 이동은 (소유형용사 형태로는 가능할 수 있으나) 금지되어 있으나 한국어의 경우는 허용된다. 이것은 아마도 한국어의 경우 Scrambling을 허용하는 특성에 기인하는 것 같다.
    프랑스어의 경우 명사 또는 명사를 포함하는 최대투사범주가 기능범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나 한국어의 경우는 명사를 포함하는 최대투사범주의 이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이것은 적어도 한국어의 경우 명사 또는 상위의 기능범주 요소가 접사이기 때문이다.
    기능범주 요소에 있어서도 두 언어는 서로 차이점을 보인다. 프랑스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설정되는 기능범주는 NumP, (AgrP), DP이다. 이외에도 학자들에 따라 통사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그 본질이 확인되지 않은 여러가지 기능범주를 설정한다. 한국어의 경우 NumP를 설정하는데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PP, DelP, KP 등은 딱히 프랑스어의 어떤 기능범주에 상응하는지를 말하기 어렵다. 특히 한국어의 경우 PP는 명사 확장범주임이 분명한데 비해 프랑스어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프랑스어의 경우 지시사가 명사 확장범주인지의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지시사는 분명 명사의 확장범주가 아니다. 이점에서 이 논문은 프랑스어의 지시사 또한 명사 확장범주가 아닐 가능성을 암시한다.
    전반적으로 이 논문은 논항구조에 있어서는 두 언어 사이의 공통점을 확인하는 반면 기능구조에 있어서는 차이점을 확인한다. 이것은 논항구조는 보편적인 반면 기능요소는 언어의 차이를 불러일으킨다는 기존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대체적으로 이 논문은 논항구조에 있어서는 프랑스어와 한국어가 공통적이나 기능요소들과 그 구조에 있어서는 두 언어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런 연구 결과는 논항구조는 보편적인 반면 기능요소는 언어의 차이를 불러일으킨다는 기존 연구들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한국어의 경우 PP가 명사 확장범주임에 반해 프랑스어의 PP는 그렇지 않거나 또는 그 구조적 위치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한국어의 경우 지시사는 명사 확장범주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는데 이것은 프랑스어의 지시사 연구에 활용될 가능성을 열어준다.
  • 색인어
  • 프랑스어 명사구 구조, 한국어 명사구 구조, 명사의 논항 구조, 명사의 기능 구조, 명사구의 어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