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883&local_id=10017715
시공자재(유비쿼터스)GIS와 도시소설의 만남: 1950년대 이후 수도권 사회공간의 변화연구와 기술구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시공자재& #40;유비쿼터스& #41;GIS와 도시소설의 만남: 1950년대 이후 수도권 사회공간의 변화연구와 기술구현 | 2007 년 | 이은숙(상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9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1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1950년대 이후 발간된 도시소설을 통해 수도권의 사회공간 변화에 관한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유비쿼터스 GIS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서 수도권의 도시화 과정의 다양한 측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인문학과 정보기술을 통합하는 신개념의 지리정보서비스 모델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도시화와 성장과정, 인구의 과밀화, 사회계층적 분화, 경제활동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천 등을 겪으면서 변화해온 도시민의 삶은 도시소설 속에 사실적으로 재현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소설은 통계자료나 정량적 분석으로 제시할 수 없는 사실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장소의 의미를 그곳 주민의 입장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950년대 이후 도시소설 속 주요 배경지는 서울의 도심으로부터 시 경계 밖으로 방향성이 보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도시영역 확대가 그대로 드러난다. 또한 도시화 과정에서 수반된 불량주택 지구의 형성 및 철거 과정, 정부주도 개발 중심의 도시 건설과 이를 통해 형성된 도시권력의 문제, 농촌 공동체의 피폐와 도시화ㆍ산업화 속에서 인간의 소외와 빈부격차, 노동현장의 부조리, 주거지 교외화 현상, 재개발지역 및 임대아파트촌 등을 중심으로 나타난 도시사회의 모순, 수도권 신도시와 도시민의 현실도피적 삶 등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매우 다양한 공간적, 사회적 현상들이 도시소설 속에 묘사되어 있었다. 도시소설 속에 나타난 도시민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 보면, 각 시대 고유의 풍속과 사회상에 관한 것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1960년대를 다룬 소설에서 도시민의 생활양식에 관한 부분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본격적인 이촌향도현상의 시작으로 인해 촌락민들이 도시의 새롭고 낯선 생활 환경에 접하고 적응하면서 느끼는 당혹감, 이질감, 소외감, 문화적 쇼크 등을 도시소설 작가들이 포착하여 다룬 것으로 여타 자료에서는 얻기 어려운 도시문학 자료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농업사회의 생활양식에 익숙한 이들이 도시의 새롭고 낯선 산업사회에의 적응 과정을 거쳐 자신들의 생활양식 및 인식이 변화할 뿐 아니라 되려 도시사회에 영향을 주어 도시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되기도 하였는데 도시소설은 이러한 과정 또한 다루고 있었다. 문학지리 정보서비스의 주요 목적은 문학공간을 web기반의 GI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현하는 것으로서, 문학공간을 문학과 공간을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부분과 문학공간을 테마를 가지고 문학 속에 표현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테마로 본 문학지리 파트는 도시의 변화를 소설 속에서 찾아보고 확인하는 내용과 더불어, 대중교통의 확장에 따라 소재의 확장이 어떻게 이뤄졌는가를 찾아보는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대표적인 소설 속의 이야기길을 실제 위치에 재생하여 흐름을 찾아보는 이야기 길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도시소설이 도시화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도시 속에서 우리의 삶을 관조하고 성찰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있다. 본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도시소설에는 공간의 변화와 그 의미가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어 도시소설 자체는 일종의 지역변화에 대한 기록물로서 연구가치가 크다. 각종 통계자료가 보여주는 공간의 변화가 작가들의 고유한 언어로 표현되었을 때 그 지역에 대한 이해도는 높아지며, 사람들의 마음속에 하나의 의미 있는 장소로 자리를 잡게 된다. 도시소설 속의 텍스트로 도시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 사회의 공간적 측면의 다양한 변모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차별화되고 체계화된 지역정보와 도시문화콘텐츠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지역의 상품 가치를 향상시켜 도시마케팅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소설이 사회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변화과정에 대한 생생한 묘사는 지리수업에서 학습자료로 활용가능하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aspects of the urbanization process of Seoul Metropolitan Area by collecting temporal information on the socio-spatial changes of the Capital Area from urban novels published since 1950. In this study, the ubiquitou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n urban novels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databases constructed from literary information collected from novels, which is an attempt to integrate the field of human science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Urban novels vividly describe the lives of citizens in Seoul who have experienced the urbanization, population growths, differentiation of social classes, diversification of economic activities, and changes of way of life. Accordingly, urban novels present an opportunity to fathom the diverse meanings of place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eople residing in those locales and to examine the qualitative information of changes of urban areas which is not obtainable from statistical analyses. The spatial backgrounds of the urban novels published since the 1950s illustrate how the city sphere of Seoul has expanded from its traditional center toward the outside of the city border. The urban novels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lected for this study depict a variety of socio-spatial phenomena accompanied with the urbanization process, including the formation and removal of shantytowns, power relations of interest groups from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and a collapse of rural communities. The novels also look into irrationality in the labor relationship, suburbanization of residential areas,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people living in redeveloped areas and rental apartments. Regarding the changes of the citizens’ life styles, the subject matters the urban novels deal with include the social aspects and customs unique to a certain time. Especially the novels of the 1960s emphasize the changes of the way of life, which is attributed to the passages the novelists include in order to underscore a sense of incompetence, dissimilitude, and alienation which rural people feel when they leave the countryside and settle down in Seoul. Meanwhile, the rural people are described as getting to realize the changes of their mode of living as well as way of thinking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the industrial society, which in turn play an active role to transform the lifestyles of urbanites. Urban novels also deal with this process. The major purpose of serv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literature is to visualize literary space on maps using web-based GIS.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e part of combining literature with space in conjunction with articulating literary space in literature according to particular themes. The part of literary geography in particular contains the function of looking into the changes of urban areas in novels. In addition, it is also composed of the function of delving into the storylines of the representative novels on maps,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novels’ subject matters according to the advance of mass transportation. The reason why urban novels can be utilized as information sources for geographical studies is that novels provide us with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and reflect on ourselves. Since urban novels clearly describe the socio-spatial changes and their meanings, they are worthy to be studied as documents of areal changes. People effectively understand the multifaceted meanings of places with writers’ own distinct expressions of spatial changes. This kind of process makes places meaningful to an individual’s mind. The texts in urban novels give us not only an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document and to profoundly understand socio-spatial changes but also varied urban cultural contents which can be utilized for place marketing of c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1950년대 이후 발간된 도시소설을 통해 수도권의 사회공간 변화에 관한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유비쿼터스 GIS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서 수도권의 도시화 과정의 다양한 측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인문학과 정보기술을 통합하는 신개념의 지리정보서비스 모델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도시화와 성장과정, 인구의 과밀화, 사회계층적 분화, 경제활동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천 등을 겪으면서 변화해온 도시민의 삶은 도시소설 속에 사실적으로 재현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소설은 통계자료나 정량적 분석으로 제시할 수 없는 사실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장소의 의미를 그곳 주민의 입장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950년대 이후 도시소설 속 주요 배경지는 서울의 도심으로부터 시 경계 밖으로 방향성이 보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도시영역 확대가 그대로 드러난다. 또한 도시화 과정에서 수반된 불량주택 지구의 형성 및 철거 과정, 정부주도 개발 중심의 도시 건설과 이를 통해 형성된 도시권력의 문제, 농촌 공동체의 피폐와 도시화ㆍ산업화 속에서 인간의 소외와 빈부격차, 노동현장의 부조리, 주거지 교외화 현상, 재개발지역 및 임대아파트촌 등을 중심으로 나타난 도시사회의 모순, 수도권 신도시와 도시민의 현실도피적 삶 등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매우 다양한 공간적, 사회적 현상들이 도시소설 속에 묘사되어 있었다.
    도시소설 속에 나타난 도시민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 보면, 각 시대 고유의 풍속과 사회상에 관한 것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1960년대를 다룬 소설에서 도시민의 생활양식에 관한 부분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본격적인 이촌향도현상의 시작으로 인해 촌락민들이 도시의 새롭고 낯선 생활 환경에 접하고 적응하면서 느끼는 당혹감, 이질감, 소외감, 문화적 쇼크 등을 도시소설 작가들이 포착하여 다룬 것으로 여타 자료에서는 얻기 어려운 도시문학 자료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농업사회의 생활양식에 익숙한 이들이 도시의 새롭고 낯선 산업사회에의 적응 과정을 거쳐 자신들의 생활양식 및 인식이 변화할 뿐 아니라 되려 도시사회에 영향을 주어 도시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되기도 하였는데 도시소설은 이러한 과정 또한 다루고 있었다.
    문학지리 정보서비스의 주요 목적은 문학공간을 web기반의 GI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현하는 것으로서, 문학공간을 문학과 공간을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부분과 문학공간을 테마를 가지고 문학 속에 표현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테마로 본 문학지리 파트는 도시의 변화를 소설 속에서 찾아보고 확인하는 내용과 더불어, 대중교통의 확장에 따라 소재의 확장이 어떻게 이뤄졌는가를 찾아보는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대표적인 소설 속의 이야기길을 실제 위치에 재생하여 흐름을 찾아보는 이야기 길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도시소설이 도시화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도시 속에서 우리의 삶을 관조하고 성찰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있다. 본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도시소설에는 공간의 변화와 그 의미가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어 도시소설 자체는 일종의 지역변화에 대한 기록물로서 연구가치가 크다. 각종 통계자료가 보여주는 공간의 변화가 작가들의 고유한 언어로 표현되었을 때 그 지역에 대한 이해도는 높아지며, 사람들의 마음속에 하나의 의미 있는 장소로 자리를 잡게 된다. 도시소설 속의 텍스트로 도시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 사회의 공간적 측면의 다양한 변모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차별화되고 체계화된 지역정보와 도시문화콘텐츠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지역의 상품 가치를 향상시켜 도시마케팅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소설이 사회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변화과정에 대한 생생한 묘사는 지리수업에서 학습자료로 활용가능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범위는 수도권 지역, 시간적 범위는 1950년부터 현재까지이며 연구 내용은 수도권의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공간의 변화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도시소설은 1950년 이후 현재까지 출간된 소설 중, 수도권을 공간적 배경으로 하고 도시공간과 도시민의 삶의 변화과정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한정하였다. 도시화과정에 관한 데이터 항목은 크게 도시공간 변화와 도시사회의 변화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도시공간의 변화 부분은 서울의 시가지 확장, 서울과 근교지역의 인구증가, 근교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내용이며, 도시 사회의 변화 부분은 사회의 규범, 제도, 가치의 변화와 관련된 도시민의 주거지 이동과 생활양식 변화에 관한 내용이었다. 여러차례의 보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 작품의 수는 91개였다. 도시민의 생활양식의 경우 다시 10개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각 데이터 항목의 출처 뒤에 이를 표기하였으며 엑셀에서는 세부 항목이 추가되었다. 서울의 도시화와 성장과정, 인구의 과밀화, 사회계층적 분화, 경제활동의 변화, 생활방식의 변천 등을 겪으면서 변화해온 도시민의 삶은 도시소설 속에 사실적으로 재현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소설은 통계자료나 정량적 분석으로 제시할 수 없는 사실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장소의 의미를 그곳 주민의 입장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시소설 속에 나타난 도시민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각 시대 고유의 풍속과 사회상에 관한 것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1960년대의 풍속과 사회상이 도시 소설에서 두드러졌는데 본격적인 이촌향도현상의 시작으로 촌락민들이 도시의 새롭고 낯선 생활 환경에 접하고 적응하면서 느끼는 당혹감, 이질감, 소외감 등을 다룬 경우가 다수였다. 문학지리정보서비스는 문화콘텐츠와 공간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을 통해서 문학을 실 공간속에 표현해보고자 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는데, 문학작품의 공간배경을 지도상에 표현해 줌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문학에 대한 감흥을 한층 고취시킬 수 있고, 공간에 대한 문학적 인식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학지리 정보서비스의 주요 목적은 문학공간을 web기반의 GIS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현하는 것으로서 크게 두 개의 분야로 나뉘는데, 문학공간을 문학과 공간을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부분과 문학공간을 테마를 가지고 문학 속에 표현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테마로 본 문학지리 파트는 도시의 변화를 소설 속에서 찾아보고 확인하는 내용과 더불어, 대중교통의 확장에 따라 소재의 확장이 어떻게 이뤄졌는가를 찾아보는 항목이 들어 있으며, 대표적인 소설 속의 이야기길을 실제 위치에 재생하여 흐름을 찾아보는 이야기 길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기타 자료실에는 기존의 문학지리관련 논문과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어, 단순히 지리분야 뿐만 아니라 유관된 인문 사회학자 및 지리정보 활용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하였다. 문학지리정보서비스의 구성에는 몇가지 어려움이 뒤따랐는데, 문학작품의 공간과 실제의 공간을 연계시켜 지도화하는 과정이 가장 큰 난제였다. 웹기반의 GIS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공간정보는 행정구역을 기본으로 하지만 문학속의 공간은 행정구역 기반이 아닌 사람들이 인식의 공간이 대부분이며 허구의 공간일 수 있으며 공간단위 또한 혼재되어 사용되기 때문이다. 지도에 특정 좌표를 정해 주어야 GIS 표현이 가능한 기술적 환경에서 서울이라는 새로운 정신적 공간을 입체화하는 과정 또한 매우 난해한 문제였으며 각 문학작품은 대표적 한 개의 공간배경을 가지지는 않는다는 점이 어려운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 및 시행착오 과정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연구 방법론의 제시, 문학공간의 데이터베이스 확장, 문학적 활동에 대한 기여, 지리정보 및 유비쿼터스 서비스 분야 및 교육분야의 활용도 제고라는 면에서 그 유용성이 크다.
  • 색인어
  • 주요어: 문학지리, 도시소설, 도시화, 도시사회공간변화, 유비쿼터스 GIS, 문화콘텐츠 key words: literary geography, urban novels, urbaninzation, urban socio-spatial changes, ubiquitous GIS, cultural content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