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135&local_id=10017207
혼인이주여성 자녀의 음운 인식 능력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혼인이주여성 자녀의 음운 인식 능력 연구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은성(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48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혼인이주여성 자녀의 음운 인식 능력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혼인이주여성’이란, 한민족의 혈통과 언어, 문화를 동일하게 공유하지 않는 이민족(異民族) 외국인 여성 중에서 ‘결혼’이라는 사회적 제도를 통해 한국인 남성을 따라 한국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여성을 의미한다. ‘음운 인식 능력(phonological awareness, 또는 metaphonological ability)'은 메타언어적 능력의 한 구성 요소로서, 언어 단위로서의 음운적 요소를 구별하고 동시에 이것을 의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Gombert,1992:15). 대부분의 정상적인 모어 학습자는 보통 초기 학령기 전인 6-7세에 음운 인식 능력이 완전하게 발달한다. 음운 인식 능력은 모어 학습자의 모어 실제 수행 능력, 즉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특히 모어 학습자의 향후 읽기 능력 발달 정도를 예측하는 가장 정확하고 강력한 수단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혼인이주여성의 자녀들의 언어적 환경에서 음운 인식 능력이 제대로 발달하는가의 문제는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연구로 기획되었다. 그러나 연수의 중단으로 인해 실험 이전의 문헌 검토까지 진행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especially whose mother is foreign wives. The foreign wives are not korean extraction, but naturalized in korea. She expertriate themselves to marriage Korean man. Phonological awareness is the ability to be aware of sounds within words and to be able to break down words into syllables and into phonemes. Phonological awareness is the first component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reading skills. It is the ability to hear and work with the spoken language.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at to investigate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is problem is a big issu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was designed as experimental reserch, but is ended in leterature examination leve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혼인이주여성 자녀의 음운 인식 능력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혼인이주여성’이란, 한민족의 혈통과 언어, 문화를 동일하게 공유하지 않는 이민족(異民族) 외국인 여성 중에서 ‘결혼’이라는 사회적 제도를 통해 한국인 남성을 따라 한국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여성을 의미한다. ‘음운 인식 능력(phonological awareness, 또는 metaphonological ability)'은 메타언어적 능력의 한 구성 요소로서, 언어 단위로서의 음운적 요소를 구별하고 동시에 이것을 의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Gombert,1992:15). 대부분의 정상적인 모어 학습자는 보통 초기 학령기 전인 6-7세에 음운 인식 능력이 완전하게 발달한다. 음운 인식 능력은 모어 학습자의 모어 실제 수행 능력, 즉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특히 모어 학습자의 향후 읽기 능력 발달 정도를 예측하는 가장 정확하고 강력한 수단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혼인이주여성의 자녀들의 언어적 환경에서 음운 인식 능력이 제대로 발달하는가의 문제는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연구로 기획되었다. 그러나 연수의 중단으로 인해 실험 이전의 문헌 검토까지 진행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검토 결과, 본 연구의 실험 설계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1) 연구 대상
    연구 계획 수립 당시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정한 것은 타당한 선택이라고 판단되었다.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전체 연구 중 80%가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음운 인식 능력 발달 과정 자체에 대해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주였기 때문에 그러한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실제 국어교육 현장에서 혼인이주여성 자녀의 언어적 결손을 보충하고, 실질적인 교수-학습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성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일단 제도 교육 속의 국어교육의 장에 들어온 국어 학습자 중에서 가장 낮은 연령대의 집단부터 조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2) 연구 과제
    애초에 본 연구에서 실험을 위해 계획한 음운 인식 능력 평가지 설계안은 다음과 같다.
    영역내용 예시문항 수Ⅰ. 음운 변별 과제 예) 첫음절 같은 낱말 찾기10문항Ⅱ.음운 분절 과제 가. 음절 단위 예) ‘새해’에서 ‘해’를 빼고 말하기10문항 나. 음소 단위 예) ‘책’에서 ‘ㄱ’을 빼고 말하기10문항

    그러나 문헌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설계안을 수정해야 함을 알아낼 수 있었다.
    ① 국어 모어 화자의 음운 인식 능력 발달 단계
    <음절 인식의 경우>
    음절체-종성 인식 ----> 초성-라임 인식
    <음소 인식의 경우>
    초성 인식 ----> 종성 인식
    ② 음운 인식 능력 평가 과제
    음절 수준: 음절 수 세기, 음절 변별하기, 음절 합성하기, 음절 탈락시키기
    초성-라임 수준 : 초성-라임을 변별하기(초성만 바꾸어 제시하고 라임이 같은 것 찾기)
    음절체 - 종성 수준 : 음절체-종성을 변별하기(종성만 바꾸어 제시하고 음절체 같은 것 찾기)
    음소 수준 : 음소 변별하기, 음소 탈락시키기, 음소 합성하기, 음소 대치시키기, 음소 첨가시키기

    원래의 설계안에서도 음소와 음절 단위에 걸쳐 문항이 계획되어 있기는 하지만, 초등학교 1학년이라는 연구 대상의 연령에 비해 과제가 지나치게 단순하게 마련되어 있다고 판단되었다. ‘변별’과제와 ‘분절’ 과제만으로는 조사의 엄밀함을 담보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대치’, ‘첨가’, ‘탈락’ 과제를 포함시켜, 좀 더 난이도를 보장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활용 방안
    ① 국어교육적 측면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육 환경 변화를 반영하는 국어교육 이론 연구와 실제 방안 마련의 촉진
    ② 문법교육적 측면
    ○문법교육에서 주목하는 메타언어적 능력의 구체적 확인을 통한 이론적 실체 구축
    ③ 사회․문화적 측면
    ○ ‘혼인이주여성과 그 자녀들’이라는 국가․사회적 이슈 집단에 대한 교육적 접근의 구체화
  • 색인어
  • 혼인이주여성, 혼인이주여성의 자녀, 국어교육, 문법교육, 음운인식능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