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171&local_id=10020244
개인 적정 기능역(IZOF) 모형에 근거한 국내/외 운동선수의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개인 적정 기능역& #40;IZOF& #41; 모형에 근거한 국내/외 운동선수의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 분석 | 2007 년 | 최영준(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2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수의 목적은 이번 연수의 주 연구과제로 삼은 개인 적정 기능역(Individual Zone of Optimal, IZOF) 모형을 이용하여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문화적 환경이 서로 다른 국내외의 운동선수가 운동을 수행하는데 정서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그 차이와 공통점을 밝혀 나갈 수 있도록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국과 미국의 대학에서 학생선수로 등록이 되어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112명, 미국 10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인의 최고/최저 운동수행에 대한 정서 회상의 안정성을 위해 운동능력이 뛰어난 체육장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에는 정서의 구성요인의 안정성을 알아보기위하여 빈도분석 및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정서 경험강도의 안정성을 알아보기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외간 정서구성요인의 차이 및 경험강도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중복정도분석 및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위의 자료를 분석하는데 있어 미국 Indiana University의 담당교수인 Dr. Raglin이 조사대상 학교 중 한 곳의 자료를 해당 대학의 학내 문제로 올 1월에서야 보내주게되어 재분석을 실시하게되어 현재 결과분석중에 있다.
  • 영문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Hanin's IZOF(Individual Zone of Optimal Functioning) model for verifying emotion content-intensity and emotional stability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thlete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12 Korean athletes and 106 American athletes. Statistical procedur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emotional experience factors,
    paired sample t-test in comparison with individual intensity of emotional experience by time, overlap analysis for emotional conte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differences of its intensity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thletes.
    But some data of US college were arrived at last January, So I had to re-code and re-analysis the results. Now I'm preparing for the conclus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스포츠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크게 심동적 영역,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신체적 구조와 근육 신경계의 발달 등을 포함하여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모든 신체적 변화를 연구하는 심동적 영역과 정신과 신체의 기능적 관계를 포함하는 움직임을 연구하는 인지적 영역은 주된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움직임을 통하여 느끼게 되는 다양한 감정과 이러한 감정을 통하여 발생되는 움직임을 연구하는 정의적 영역은 스포츠를 구성하는 큰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고, 다뤄봐야 주로 인지적 영역의 연구 중 일부로 다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수의 목적은 이번 연수의 주 연구과제로 삼은 개인 적정 기능역(Individual Zone of Optimal, IZOF) 모형을 이용하여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정의적 영역의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며, IZOF 모형을 이용하여 사회문화적 환경이 서로 다른 국내외의 운동선수가 운동을 수행하는데 정서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그 차이와 공통점을 밝혀 나아가서는 정의적 영역의 연구가 확대될 수 있도록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IZOF 모형의 적용 및 응용
    IZOF 모형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1) 정서 경험의 다차원성, 2) 정서의 구성요인, 3) 적정 기능역 원칙, 4) 운동수행에 대한 정서의 영향력에 대한 기능적 해석 등을 설명하여 모형의 구체적인 활용 및 응용을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정서의 구성요인과 경험강도, 그리고 적정 기능역 원칙 등을 검증하는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Syrjä, 2000), 개인내 혹은 집단내 비교에 중점을 두었다. 상대적으로, 개인이 아닌 일정한 특성을 지닌 다양한 구성원간의 집단간 비교와 운동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영향력(impact)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더구나 국내 연구에서는 최영준(2005)의 연구 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국외에서도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효과적인 운동수행을 하는데 있어서 정서의 영향력을 고려하는 연구(Robazza, Bortoli, & Hanin, 2006)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 IZOF 모형의 일반화 탐색
    초기 스포츠 심리학에서 정서에 대한 연구는 운동수행에 대한 정서의 영향을 조사하는 관점으로 접근하였고, 전통적으로 너무 과도한 정서의 경험은 운동수행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여겨왔다. 스포츠 심리학에서의 연구는 대부분 스트레스(stress), 각성(arousal) 그리고 불안(anxiety)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정서와 운동수행의 관계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Cox, 1994; Gould & Krane, 1992; Lazarus, 1993; Wrisberg, 1994).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 미국과 유럽의 여러 학자에 의해 이러한 개념이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이고(Cox, 1994; Gould & Krane, 1992; Hanin, 1997a; Jones & Hardy, 1989; Morgan, 1997; Raglin, 1992), 연구자들에 의해 불안이 단일차원이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이라고 주장이 되면서 정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Burton, 1988; Gould, Petlichkoff, Simons, & Vevera, 1987; Martens, Vealey, & Burton, 1990).
    정서의 본질에 대한 연구와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등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국내의 연구에 비해 진일보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최근에 들어서야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에 관심을 갖은 국내의 연구와는 학문적·시간적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수를 통해 연구자는 그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IZOF 모형은 기존의 이론중심 모형이라기보다는 현장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한 현장중심의 모형으로 최근의 학문트렌드에 가장 부합하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수는 운동수행과 정서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학문적 업적을 달성하는 동시에 그 결과를 토대로 이와 관련된 국내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새로운 설명 모형 제시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지금까지 스포츠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그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물이 적었던 정의적 영역을 다룬다는데 있고, 또 하나의 특징은 아직 국내에서는 선행연구가 전무한 새로운 모형의 접근에 있다. 개인의 정서와 운동수행의 관계를 설명한 적정 기능역 모형에 대한 접근은 국외에서는 이미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과 사고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실제 운동선수 혹은 운동을 배우는 학습자에게 발생되는 많은 심리적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본 모형은 아직 국내에 자세히 소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운동수행과 정서의 관계 규명을 통해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의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개인중심의 연구방법론 발전
    자료 수집에 있어서도 기존의 단순한 설문조사에 의한 집단중심(nomothetic-oriented)의 비교에서 벗어나 각 개인의 정서 프로파일(IEP)을 반복 측정하여 조사함으로써, 집단 간의 비교뿐만 아니라 개인 내의 비교를 통해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각 개인의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개인중심(individual-oriented)으로 구체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갖는 국가간의 비교를 통해 운동수행과 정서와의 관계를 규명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집단 간 비교와는 다른 독창적인 연구방법으로 더 많은 후속연구를 파급시킬 수 있는 학문적 가치를 가졌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IZOF 모형에 대한 설명영역의 확대와 국가간 운동수행에 있어서의 정서적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로써, 학술대회 발표와 전문 학술지 게재를 통해 새로운 학문적 접근을 원하는 보다 많은 수요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국외 운동선수의 의식구조 파악
    모든 학문에서 그렇듯이 체육이라는 학문도 이제 국가간의 장벽은 허물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국내외 운동선수의 정서와 그에 따른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함으로 국외 운동선수의 정서구조 나아가서는 의식구조를 파악하여 국내 선수와의 차이와 공통점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경쟁상대가 될 수 있는 구성원의 심리상태를 파악하는 전략적 자료로써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국내 선수의 정서구조 및 의식구조를 파악하여 팀의 전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개인 차원의 연구에서 벗어나, 좁게는 체육교사, 교사교육자(대학교수), 스포츠 현장지도자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수법에 현실적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이며, 넓게는 학교체육, 생활체육, 스포츠 현장에서 학습자와 지도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제반현상을 이해하는데 실제적이며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IZOF 모형을 토대로 팀의 지도자 혹은 선수들이 기술적인 훈련뿐만 아니라, 정서의 영향 및 관리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면 운동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분명 영향을 미칠 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 심리기술훈련에의 활용
    IZOF 모형 자체가 기존의 모형과는 달리 일반 현상이 아닌 스포츠 현장에 기반을 둔 것으로써, 스포츠 현장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다. 실제로 앞에서 살펴본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정서는 운동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스포츠심리학의 연구성과는 현장의 선수, 지도자, 그리고 각급 스포츠참가자에게 돌아가야 한다. 최근 선수와 팀으로부터 심리훈련에 대한 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본 연구의 성과는 심리기술훈련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며, 경기력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선수 개인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지도자에 의해 팀 차원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용은 선수와 팀 사이에서 심리기술훈련을 널리 보급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훈련의 일부분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계기 또한 마련하게 될 것이다.
    □ 경기력 향상을 위한 진단도구로 활용
    기존에 제시되었던 이론 중심의 모형과는 달리 IZOF 모형은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쉽게 적용시킬 수 있고, 그 결과를 바로 수행을 통해 피드백(feedback)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매우 실용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모형의 현장 접근 용이성과 활용의 수월성을 이용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진단도구로써의 활용 방안이 기대되어진다.
  • 색인어
  • 정의적 영역, 스포츠심리기술훈련, 정서, 개인적정기능역모형, IZOF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