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176&local_id=10017720
근대 여성 교육과 유교 여성담론 연구 -개화기(1876년-1910년대)를 중심으로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근대 여성 교육과 유교 여성담론 연구 -개화기& #40;1876년-1910년대& #41;를 중심으로 -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언순(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3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개화기 근대 여성교육이 여학교의 설립, 남녀평등사상, 여성의 사회참여 강조 등으로 대표되는 반면, 유교 이념이 지배한 조선시대의 여성은 여성교육의 부재, 남존여비 사상, 내외법으로 특징지어지며, 근대와 유교는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근대 여성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면, 현모양처와 같이 자녀교육 담당자로서 어머니 역할과 가정 관리 및 경영자로서 아내 역할의 강조는 유교적 여성상과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여성의 사회 참여의 장으로서 가정이 가장 주목된다는 사실도 여성을 규문 내의 존재로 규정했던 유교와 크게 다르지 않다. 뿐만 아니라 여학생을 위한 교과서가 소학이나 여훈서의 내용을 상당 부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근대 여성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볼 때 근대 여성교육이 유교와 대립적이라기보다 상당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근대 여성교육과 유교와의 상관성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그것은 사회 변화 혹은 개혁의 주체로서 여성의 역할과 사회 개혁의 장으로서 가정의 기능을 주목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것은 가부장제의 재생산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 여성교육이 부재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지만, 조선 건국 이래 개화기에 이르기까지 여성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강조되었다. 특히 불교국가에서 유교 국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유교화를 위한 여성교육의 필요성은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되기도 하였다. 다만 내외법에 의해 규문 밖에서의 제도적인 여성교육이 존재하지 않을 뿐이었다. 유교에서는 한 가정의 흥망은 여성의 賢否에 달렸다는 內治論을 주장한다. 가문계승, 남편 내조, 자녀교육, 가족 화목, 가정 경영 및 관리 등 가정의 흥망 여부는 他姓을 가진 여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런 원리는 왕실에도 적용이 된다. 따라서 가정과 국가의 융성을 위해 여성교육은 필수적이다.
    한편, 개화기 조선이 당면한 문명개화와 근대화를 위해 어머니와 아내로서 여성의 역할이 주목되면서 근대여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비록 여성이 가정의 울타리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 구성의 한 분자로 인정되었지만, 여성의 참여는 자녀교육과 남편 내조라는 방식으로 환원됨으로써 내치론의 연장선상에 놓이게 된 것이다. 결국 근대 여성교육론은 내치론의 근대적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와 유교의 여성교육의 담론 구조는 가정을 매개로한 여성의 사회적 활용이라는 맥락에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남존여비의 근거가 되었던 음양론은 수평적 관계 논리로 재해석되어 남녀평등의 논리로 활용되었다. 이와 같이 근대 여성교육이 유교적 여성담론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이유는 바로 가부장제적 질서의 유지라는 필요 때문이다. 전근대 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진행은 한편으로는 종법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사회로 자리바꿈하였고, 가부장제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한 여성의 역할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 영문
  • Modern women educ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were represented by foundation of women's school, th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emphasis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women education in Chosun Dynasty when confucianism was dominant ideology were characterized by absence of women education, the idea that men are superior to women (男尊女卑) and courtesy of avoidance of the opposite sex (內外法). It has been known as modern women education is a sharp contrast to confucian women education.
    However, if we examine the object and contents of modern women education, we can find that two roles, as a tutor of her children and a home manager, were emphasized. It was in a similar vein that a wise mother and good wife (賢母良妻) were regarded highly in Confucian image of women. Also the fact that home was the most representative field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is not so different from Confucianism which treated women as restricted to women´s living room. In addition it is very suggestive that textbooks for girl students were inherited thoughts from So-hak (小學, Elementary Learning) or Confuician teachings for women (女訓書). In considering the object and contents of modern women education, we can recognize that modern women education was not in contrast to Confucianism but was related with it.
    If so, where was the relativity of modern women education to Confucianism derived from It stemmed from paying attention to role of women as leading power of social change or reform and function of home as the place of social reform. It is closely related with reproduction of a patriarchal system. Although absence of women education in Chosun Dynasty was criticized, the importance of women education were highly emphasized since the founding of Chosun Dynasty until the age of enlightenment.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Buddhism as a main ruling ideology into Confucianism, women education for Confucianization was conducted nationally. Only there was no institutional women education beyond women´s living room.
    In Confucianism there is the theory of home administration (內治論) "the destinies of one's family depend on whether women are good or bad". That is to say, succession of the family, wife's assistance, children's education, family unity, home administration and so on, the rise and fall of the family depend on woman who has another family name. This principle apply to the royal family. Therefore women education are essential for the prosperity of home and nation.
    Meanwhile for the civilization, enlightenment and modernization of Chosun Dynasty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role of women as a mother and a wife was focused on and the necessity of modern women education was emphasized. Even though women were not restricted to her home but were treated as a member of her nation, women's participation was reduced to in a way of tutoring children and assisting of husband. In conclusion the theory of modern women education can be estimated to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heory of home administration (內治論).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on modern women education and Confucian women education were the same in the context of social application of women. Besides the idea that men are superior to women (男尊女卑) which was based on the theory of Yin-Yang (陰陽論) was reinterpreted as horizontal relationship and was made use of the theory of equality of sexes. Thus the reason modern women education was related with Confucian discourse of women is that the order of patriarchal system is needed. The progress from pre-modern society to modern society made a change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which was based on jongbeop (宗法, regulations of lines of descent) to the patriarchal society which was based on capitalism. To maintain patriarchal system, modern society needs the role of wom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근대적 여성교육이 유교의 여성담론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 여성의 의미와 근대여성교육 속에 내포된 유교와 전통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지배이념으로 조선에 수용된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유교가 어떻게 여성의 삶과 가족문화를 관통하며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알아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개화기 근대 여성교육이 여학교의 설립, 남녀평등사상, 여성의 사회참여 강조 등으로 대표되는 반면, 유교 이념이 지배한 조선시대의 여성은 여성교육의 부재, 남존여비 사상, 내외법으로 특징지어지며, 근대와 유교는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근대 여성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면, 현모양처와 같이 자녀교육 담당자로서 어머니 역할과 가정 관리 및 경영자로서 아내 역할의 강조는 유교적 여성상과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여성의 사회 참여의 장으로서 가정이 가장 주목된다는 사실도 여성을 규문 내의 존재로 규정했던 유교와 크게 다르지 않다. 뿐만 아니라 여학생을 위한 교과서가 소학이나 여훈서의 내용을 상당 부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근대 여성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볼 때 근대 여성교육이 유교와 대립적이라기보다 상당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근대 여성교육과 유교와의 상관성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그것은 사회 변화 혹은 개혁의 주체로서 여성의 역할과 사회 개혁의 장으로서 가정의 기능을 주목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이것은 가부장제의 재생산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 여성교육이 부재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지만, 조선 건국 이래 개화기에 이르기까지 여성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강조되었다. 특히 불교국가에서 유교 국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유교화를 위한 여성교육의 필요성은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되기도 하였다. 다만 내외법에 의해 규문 밖에서의 제도적인 여성교육이 존재하지 않을 뿐이었다. 유교에서는 한 가정의 흥망은 여성의 賢否에 달렸다는 內治論을 주장한다. 가문계승, 남편 내조, 자녀교육, 가족 화목, 가정 경영 및 관리 등 가정의 흥망 여부는 他姓을 가진 여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런 원리는 왕실에도 적용이 된다. 따라서 가정과 국가의 융성을 위해 여성교육은 필수적이다.
    한편, 개화기 조선이 당면한 문명개화와 근대화를 위해 어머니와 아내로서 여성의 역할이 주목되면서 근대여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비록 여성이 가정의 울타리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 구성의 한 분자로 인정되었지만, 여성의 참여는 자녀교육과 남편 내조라는 방식으로 환원됨으로써 내치론의 연장선상에 놓이게 된 것이다. 결국 근대 여성교육론은 내치론의 근대적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와 유교의 여성교육의 담론 구조는 가정을 매개로한 여성의 사회적 활용이라는 맥락에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남존여비의 근거가 되었던 음양론은 수평적 관계 논리로 재해석되어 남녀평등의 논리로 활용되었다. 이와 같이 근대 여성교육이 유교적 여성담론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이유는 바로 가부장제적 질서의 유지라는 필요 때문이다. 전근대 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진행은 한편으로는 종법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사회로 자리바꿈하였고, 가부장제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한 여성의 역할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근대 여성교육과 유교가 만나는 지점에서 사회 개혁을 위해 여성이라는 주체와 가정이라는 사회적 장이 활용된 점에 주목하였으며, 그 기저에는 가부장제의 유지라는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근대는 여성의 사회적 기여와 공적 활동을 권장하지만, 구체적인 실천을 자녀교육과 남편 내조를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방식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내치론에 기반한 유교의 여성 인식과 동일한 담론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접근은 현재까지 유교가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가정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근대 여성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구’여성과 유교담론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근대적 여성교육의 의미를 외형적 지표가 아닌 당시 지배담론의 중층적인 논의 구조 속에서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근대의 여성교육에서 유교와 근대가 어떻게 교차하는지, 그리고 학교교육의 바깥에 존재했던 여성이 근대와 어떻게 교감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조선시대 이후 현대까지 유교가 여성의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와 같이 근대적 여성교육과 유교 여성담론과의 관계를 밝힌 본 연구는 교육학은 물론 여성사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개화기, 근대 여성교육, 유교 여성담론, 내치론, 현모양처, 가부장제, ‘구’여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