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425&local_id=10018984
온라인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의 관계 및 역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온라인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의 관계 및 역할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의길(고려사이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2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1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온라인토론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의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상호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들 ‘실제’ 활동수준이 학업성적과 같은 결과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의 연구가 이들 두 변인의 개념적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이들이 온라인토론에서 행사하는 역학적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한 온라인대학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을 수강하는 학생 81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한 학기동안 세 차례에 걸쳐 온라인토론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이 이 과정에서 나타낸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이 내용분석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인지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는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성적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결과를 합산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의 사용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들은 정의적 영역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기록하였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경향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기초와 달리 학기말에는 의사교환의 명확성과 즉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표의 증가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인지적 학습참여는 재생적 참여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그러한 경향에는 다소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 온라인토론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은 이들의 양적 활동 지표와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문장을 구사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사회적 실재감과 높은 수준의 인지적 학습참여의지를 나타내지만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인지적 활동보다는 사회적 친밀감이나 관계 형성 등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는 부적 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실재감은 학기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인지적 학습참여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시간에 따라 학습자가 집중하는 영역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토론실에서의 학습자 활동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은 성적 산출의 근거, 토론의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성적은 4지선다형 시험에 의하여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였으나 이는 온라인토론에서의 인지적, 사회적 활동과 큰 수준에서 상관을 맺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온라인토론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지를 규명하였고,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라는 두 가지 구인의 측정에 보다 타당성 있는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기여를 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수자의 입장에서는 학습자가 보다 왕성한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다각적 노력을 전개함으로써 이들이 인지적, 사회적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도를 이룰 수 있다는 실제적 제안을 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levels of social presence (SP) and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CLE), an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se two concepts and their relationships as the semester goes on. This study, also, tried to check how the levels of SP and CLE affect students'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one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an asynchronous online course in an online university through a rating scheme for SP and one for CLE and an online questionnaire for perceived S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urse. Various statistical methods were employed includ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es revealed several important aspects. First, the subjec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level in the affective area of the SP, but the level had been different as the semester went on. It, especially, has been found that the subjects seemed to try to use more SP predictors for the accuracy and immediacy of the interaction around the end of the semester compared to the beginning. Second, the CLE was around the productive level, but the level was various depending on subjects' prior achievement level. Third, the levels of SP and CLE need to be understood with their quantitative activity levels in the online discussions and the prior achievement level. The subjects with the high prior achievement level tended to write longer sentences and show higher levels of SP and CLE to present their thoughts in logical ways, while the other subjects seemed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socializ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than cognitive activitie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SP and CLE was negative. The more interesting finding, however, was that the aspects of the learning that the subjects put their efforts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they were, as SP tended to be reduc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but CLE increased. Fifth, the effects of the discussion activities such as SP and CLE to the achievement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s of the discussion and the measurement of the achiev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온라인토론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의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상호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들 ‘실제’ 활동수준이 학업성적과 같은 결과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의 연구가 이들 두 변인의 개념적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이들이 온라인토론에서 행사하는 역학적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한 온라인대학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을 수강하는 학생 81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한 학기동안 세 차례에 걸쳐 온라인토론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이 이 과정에서 나타낸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이 내용분석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인지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는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성적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결과를 합산하여 사용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의 사용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들은 정의적 영역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기록하였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경향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기초와 달리 학기말에는 의사교환의 명확성과 즉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표의 증가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인지적 학습참여는 재생적 참여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그러한 경향에는 다소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 온라인토론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은 이들의 양적 활동 지표와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사전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문장을 구사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사회적 실재감과 높은 수준의 인지적 학습참여의지를 나타내지만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인지적 활동보다는 사회적 친밀감이나 관계 형성 등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는 부적 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실재감은 학기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인지적 학습참여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시간에 따라 학습자가 집중하는 영역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토론실에서의 학습자 활동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은 성적 산출의 근거, 토론의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성적은 4지선다형 시험에 의하여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였으나 이는 온라인토론에서의 인지적, 사회적 활동과 큰 수준에서 상관을 맺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온라인토론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지를 규명하였고,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학습참여라는 두 가지 구인의 측정에 보다 타당성 있는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기여를 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수자의 입장에서는 학습자가 보다 왕성한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다각적 노력을 전개함으로써 이들이 인지적, 사회적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도를 이룰 수 있다는 실제적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기 보고된 바와 같이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바 있으며 향후 저명 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본 연구의 영역에 종사하는 이론가와 실제가들에게 많은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인지적 학습참여, 학습공동체, 온라인학습,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온라인대학, 온라인학습, 내용분석, 온라인토론, 현존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