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443&local_id=10020706
구비설화의 변이 과정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구비설화의 변이 과정에 대한 연구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심우장(충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9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입론이 이루어지지 않은 ‘구비설화의 변이 과정’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고 이를 이론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비설화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논의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주제 역시 ‘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채록되어 있는 자료들이 대체로 변이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변이의 ‘결과’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결과를 통해서 과정을 추론하는 것이 쉽지 않고, 그것을 다시 검증해낼 수 있는 방법 또한 마땅치 않기 때문에 연구에 큰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이의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에 입각하여 일관성 있는 다양한 자료를 구비하여 구비설화의 변이 과정을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가 이루어졌다. 첫째,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연구를 하였다.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가 어떻게 일어나고 그것이 유형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판별하였다. 사실 이 부분은 구연 현장에서의 변이 요인 연구와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구연 현장에서의 변이 요인 연구를 위한 가설을 수립하기 위해서 먼저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를 정리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변이 실험을 하였다. 이 부분이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구연 현장에서의 변이 요인을 찾는 작업은 대개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연구를 위한 보조 작업으로 치부될 가능성이 높다. 변이 과정에 대한 특별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으면 유형 차원의 변이에서 예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연 현장에서 확인하는 결과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변이 실험은 변이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기준을 제시해준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여러 가지 조건 하에서 실제로 설화를 전승시켜 봄으로써, 추론에만 의존했던 실제적인 ‘과정’을 소상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변이를 연구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변이에 관한 일반론으로 수렴하려 하였다. 앞서 제시한 두 가지 차원에서 수집된 변이 자료를 하나로 합쳐서 변이에 대한 일반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특히 여기에서의 일반론은 변이 실험을 통해서 얻은 변이의 경향성을 바탕으로 추론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상식의 수준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특히 이러한 일반론을 바탕으로 구비설화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증진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문화적인 차원이나 교육적인 차원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까지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아직 연구 결과가 최종적으로 정리되지는 못했지만 대체적인 목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방법
    2.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2.1. 유형 선정
    2.2. 변이의 양상
    3. 구연 현장에서의 요인
    3.1. 현장의 구성 요소
    3.2. 변이의 추동 요인
    4. 변이 실험
    4.1. 실험 개요
    4.2. 변이의 경향성
    4.2.1. 고정 전승(완전고정/부분고정)
    4.2.2. 수렴 변이(패턴수렴/요소수렴)
    4.2.3. 확산 변이(멱함수/분산)
    4.2.4. 첨가와 소멸 변이(첨가/소멸)
    4.2.5. 교체 변이(일반-구체/구체-일반)
    5. 구비설화 변이 과정에 대한 일반론
    6. 구비설화 변이의 의의
    6.1. 문학적 차원
    6.2. 문화적 차원
    6.3. 교육적 차원
    7. 결론

  • 영문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variation of folktale, specially the process of variation. Because theoretical study of this subject is not accomplished, this study has a good reason.
    We can find the characteristic of folktale in the variation. Therefore the variation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folktale. But it is very hard to study, because the text of folktale shows not the process of variation, but the result of variation. As well, we cannot conjecture the process of variation through the result of variation and make an inspection of the study. This study use the new method to solve this problems. The new method is a variation-experimentation.
    We follow the three processes: one is the study of variation at type-level. At type-level, we study the way of variation and the meaning of variation. This study has a role of the hypothesis in fieldwork variation study. Two is a variation-experimentation. It is the core point of this study. It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this study, because it can presents a basis to explain and understand variation. Three is to make variation-theory from one and two processes. We hope that this theory develops our understanding level about folktale. And we hope that this study is connected to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입론이 이루어지지 않은 ‘구비설화의 변이 과정’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고 이를 이론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비설화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논의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주제 역시 ‘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채록되어 있는 자료들이 대체로 변이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변이의 ‘결과’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결과를 통해서 과정을 추론하는 것이 쉽지 않고, 그것을 다시 검증해낼 수 있는 방법 또한 마땅치 않기 때문에 연구에 큰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이의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에 입각하여 일관성 있는 다양한 자료를 구비하여 구비설화의 변이 과정을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가 이루어졌다. 첫째,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연구를 하였다.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가 어떻게 일어나고 그것이 유형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판별하였다. 사실 이 부분은 구연 현장에서의 변이 요인 연구와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구연 현장에서의 변이 요인 연구를 위한 가설을 수립하기 위해서 먼저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를 정리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변이 실험을 하였다. 이 부분이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구연 현장에서의 변이 요인을 찾는 작업은 대개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연구를 위한 보조 작업으로 치부될 가능성이 높다. 변이 과정에 대한 특별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으면 유형 차원의 변이에서 예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연 현장에서 확인하는 결과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변이 실험은 변이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기준을 제시해준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여러 가지 조건 하에서 실제로 설화를 전승시켜 봄으로써, 추론에만 의존했던 실제적인 ‘과정’을 소상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변이를 연구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변이에 관한 일반론으로 수렴하려 하였다. 앞서 제시한 두 가지 차원에서 수집된 변이 자료를 하나로 합쳐서 변이에 대한 일반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특히 여기에서의 일반론은 변이 실험을 통해서 얻은 변이의 경향성을 바탕으로 추론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상식의 수준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특히 이러한 일반론을 바탕으로 구비설화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증진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문화적인 차원이나 교육적인 차원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까지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아직 연구 결과가 최종적으로 정리되지는 못했지만 대체적인 목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방법
    2.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2.1. 유형 선정
    2.2. 변이의 양상
    3. 구연 현장에서의 요인
    3.1. 현장의 구성 요소
    3.2. 변이의 추동 요인
    4. 변이 실험
    4.1. 실험 개요
    4.2. 변이의 경향성
    4.2.1. 고정 전승(완전고정/부분고정)
    4.2.2. 수렴 변이(패턴수렴/요소수렴)
    4.2.3. 확산 변이(멱함수/분산)
    4.2.4. 첨가와 소멸 변이(첨가/소멸)
    4.2.5. 교체 변이(일반-구체/구체-일반)
    5. 구비설화 변이 과정에 대한 일반론
    6. 구비설화 변이의 의의
    6.1. 문학적 차원
    6.2. 문화적 차원
    6.3. 교육적 차원
    7. 결론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최종 연구결과물의 목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방법
    2. 유형 차원에서의 변이
    2.1. 유형 선정
    2.2. 변이의 양상
    3. 구연 현장에서의 요인
    3.1. 현장의 구성 요소
    3.2. 변이의 추동 요인
    4. 변이 실험
    4.1. 실험 개요
    4.2. 변이의 경향성
    4.2.1. 고정 전승(완전고정/부분고정)
    4.2.2. 수렴 변이(패턴수렴/요소수렴)
    4.2.3. 확산 변이(멱함수/분산)
    4.2.4. 첨가와 소멸 변이(첨가/소멸)
    4.2.5. 교체 변이(일반-구체/구체-일반)
    5. 구비설화 변이 과정에 대한 일반론
    6. 구비설화 변이의 의의
    6.1. 문학적 차원
    6.2. 문화적 차원
    6.3. 교육적 차원
    7. 결론

    (2) 활용방안
    본 연구 결과물은 󰡔구비문학연구󰡕, 󰡔고전문학연구󰡕, 󰡔국어국문학󰡕 등과 같은 관련 학술지에 반드시 발표한다. 나아가 추가적인 연구를 진척시켜 구비설화 변이에 관한 일반론을 정립하여 단행본 형태의 저술로 출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변이 연구를 통해 문학의 원론적인 문제에 대해 학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술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서 문학이 우리의 삶과 매우 밀착되어 있는 것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고, 또 그러한 문학 행위들이 무척 중요한 문학성을 발현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교육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설화, 변이, 복잡계, 네트워크, 변이 실험, 지하국대적퇴치설화, 과정, 유형, 고정 전승, 수렴 변이, 확산 변이, 멱함수, 첨가와 소멸, 고체 변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