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703&local_id=10022577
멜라닌세포 사멸 및 백반증 병인에 Toll-like receptors의 역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멜라닌세포 사멸 및 백반증 병인에 Toll-like receptors의 역할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희영(아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E00041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3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백반증은 멜라닌세포의 소실을 특징으로 하는 흔한 저색소성 질환이다. 백반증의 병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며 색소 재침착의 근원 역시 불명확하다. 본 연구결과 사람멜라닌 세포는 Toll-like receptor (TLR) 1-10을 발현하였다. TLR7/8 리간드인 imiquimod를 처리하였을 때 MITF와 티로시나제 발현이 감소하였고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었다. Imiquimod는 멜라닌세포의 세포고사를 유도하였는데 이는 caspase-3, Bcl-2 및 MAPK 발현과 관련되었고 imiquimod에 의한 백반증의 기전을 뒷받침하였다. 백반증의 진단 및 색소 재침착 근원을 밝히기 위해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로 백반증 병변을 검사하였을 때 백반증 병변에서 정상 bright cell과 papillary ring이 완전히 소실되어 있으며 병변주변부피부의 밝기는 정상부피부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Excimer 레이저 치료중인 환자를 추적관찰 한 결과 육안적 색소재침착을 확인하기 전에 모낭의 outer root sheath, 모낭 주변부, 병변주변부 피부에서 활성화된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는 백반증 병변의 진단 및 색소재침착과정에서 멜라닌세포 기원 연구를 위한 중요한 tool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영문
  • Vitiligo is a common depigmentation disorder,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loss of melanocytes. The etiopathogenesis of depigmentation is not fully known, as is the source of repigmentation. Normal human melanocytes expressed Toll-like receptor (TLR) 1-10. Stimulation with imiquimod, TLR7/8 ligand, reduced expression of MITF and tyrosinase and subsequently decreased melanin production. Imiquimod treatment induced apoptosis of melanocytes. The apoptotic activity of imiquimod was associated with caspase-3, Bcl-2 and MAPK expression in melanocytes. These findings may provide a possible mechanism of imiquimod-induced vitilig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RCM) examination of vitiligo lesions showed a disappearance of papillary rings at the basal layer level and no evidence of melanocytes. RCM examination in the course of UVB therapy showed large dendritic melanocytes in hair follicles, in the epidermis of perilesional skin, and of repigmentation islands. In conclusion non-invasive technique of RCM is a promising tool for characterizing the nature of melanocytes loss in vitiligo lesions with/without treat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백반증은 멜라닌세포의 소실을 특징으로 하는 흔한 저색소성 질환이다. 백반증의 병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며 색소 재침착의 근원 역시 불명확하다. 본 연구결과 사람멜라닌 세포는 Toll-like receptor (TLR) 1-10을 발현하였다. TLR7/8 리간드인 imiquimod를 처리하였을 때 MITF와 티로시나제 발현이 감소하였고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었다. Imiquimod는 멜라닌세포의 세포고사를 유도하였는데 이는 caspase-3, Bcl-2 및 MAPK 발현과 관련되었고 imiquimod에 의한 백반증의 기전을 뒷받침하였다. 백반증의 진단 및 색소 재침착 근원을 밝히기 위해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로 백반증 병변을 검사하였을 때 백반증 병변에서 정상 bright cell과 papillary ring이 완전히 소실되어 있으며 병변주변부피부의 밝기는 정상부피부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Excimer 레이저 치료중인 환자를 추적관찰 한 결과 육안적 색소재침착을 확인하기 전에 모낭의 outer root sheath, 모낭 주변부, 병변주변부 피부에서 활성화된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는 백반증 병변의 진단 및 색소재침착과정에서 멜라닌세포 기원 연구를 위한 중요한 tool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사람 멜라닌세포에는 Toll-like receptor 1-10의 mRNA와 단백질이 발현되며, TLR7활성제인 imiquimod에 의해 멜라닌세포의 TLR7이 활성되었을 때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백반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슴. 이 연구결과는 백반증의 멜라닌세포 사멸 기전을 제시하는 한편 염증성 환경에서 멜라닌세포 사멸 및 자가면역유발에 toll like receptor의 역할을 제시하는 결과로 추후 자가면역반응에서 Toll like receptor 역할 규명을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슴.
    또한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는 백반증의 진단에 유용하며 백반증 치료시 활성화된 멜라닌 세포를 모낭주변과 주변부 표피에서 발견하였슴. 이 결과는 불명확한 백반증 색소침착 기원을 위한 연구에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의 유용성을 제시하였슴.
  • 색인어
  • 멜라닌세포, Toll-like receptor, 백반증,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