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5952&local_id=10021133
定家의 幽玄연구 - 『八代集秀逸』와 『百人一首』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定家의 幽玄연구 - 『八代集秀逸』와 『百人一首』를 중심으로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찬수(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54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2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幽玄이란 용어는 중세 미의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특히, 와카(和歌)에서는 가인 俊成의 중요한 사상으로 여겨져왔다. 그가 우타아와세(歌合)의 評語로서 14번이나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歌論書와 여러 우타아와세(『自鎮和尚自歌合』『民部卿家歌合』)에서도 「艶にも幽玄にも」「艶にもあはれにも」「艶にもをかしくも」라는 문구와 같이 幽玄이나 「艶」「あはれ」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와카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俊成가 특별히 유현을 강조했다는 근거는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俊成가 언급한 幽玄은 여러 미의식의 표현가운데 하나에 지나지 않고, 깊은 감동을 나타내는 하나의 단어에 지나지 않는다고 느낄 정도로 여러 단어를 사용하여 와카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
     俊成의 아들인 定家도 幽玄이란 단어를 사용하여 평하기도 하였지만, 俊成만큼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다. 우타아와세에 5번, 歌論書에 1번뿐으로, 그 의미도 俊成와 비교해도 매우 한정된 범위에서 사용하였다. 定家는 주로 가을의 노래에서 적막하고 쓸쓸한 산속 마을에서 느끼는 감정에 유현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즉, 俊成의 幽玄이 종합적인 미의식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면, 定家가 말한 幽玄은 쓸쓸하고 애절한 가을을 묘사한 노래에 이 용어를 사용했다고 규정할 수 있다.
    定家의 幽玄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그의 만년의 秀歌撰인 『八代集秀逸』와 『百人一首』)의 가을노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八代集秀逸』의 경우에는, 가을의 풍경을 환상적으로 그린 노래, 특별히 이슬을 소재로 한 노래가 많았다는 점을 발견한다. 그리고 恋歌가 많다는 것도 특징이다. 하지만, 定家가 우타아와세에서 규정한 유현의 의미에 합당하는 쓸쓸하고 적막한 가을의 모습을 노래한 서경가는 겨우 3수(22、33、43番)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百人一首』에는 6수 (5、23、47、70、71、94番)가 이에 해당한다. 그 외에도 언어유희적인 노래, 새로운 단어를 조합한 노래, 선명한 가을의 정취를 그린 다양한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이처럼 秀歌撰에 수록된 가을노래는 우타아와세의 評語로 사용된 유현의 이미지와는 차이점이 크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것은 幽玄이라는 미의식의 전혀 작용하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定家에게는 중심적인 사상이 아니였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幽玄という美意識は俊成思想の要のように思われている。勿論、歌合の評語として14回にわたって使用されたし、彼の歌論書と『自鎮和尚自歌合』『民部卿家歌合』などにも「艶にも幽玄にも」「艶にもあはれにも」「艶にもをかしくも」のように言及されているからである。しかし、俊成が特に幽玄を強調した根拠は見あたらない。むしろ、俊成にとっての幽玄とは様々な美意識の表現の中の一つに過ぎないものだったし、深く感動したものをどの表現で表しても構わない姿勢であったと思われる。
     定家も幽玄という言葉を用いて評したが、俊成ほどではなかった。歌合に五回、歌論書に一回だけで、その意味も俊成に比べて限られた範囲、つまり秋の寂寥と寂しい山里を感じる歌に対してであった。要するに俊成の幽玄が総合的美意識の表現と言えば、定家の幽玄は寂しさと哀感深いものだと言えるだろう。
     定家の幽玄を具体的に定義するために、彼の晩年の秀歌撰(『八代集秀逸』と『百人一首』)の秋歌を調べてみた。『八代集秀逸』の場合には、秋の風景を幻想的に描いている歌(特に露を素材にしたもの)、恋歌とも言えるものが多い。が、定家が歌合で規定した幽玄の枠にふさわしい寂びたる秋の叙景歌はわずか三首(22、33、43番)にすぎない。そして、『百人一首』には6首(5、23、47、70、71、94番)がある。その以外には言語遊戯、新しい表現の歌、鮮明な秋の趣きを描いた歌など多様なものが収録されている。
     以上のように、秀歌撰においての秋歌は歌合に評語として取り扱われた幽玄のイメージとは相違ある歌が多い。というのは幽玄という美意識の働きが全くないとは言えないが、定家の思想の中には中心的ではなかったとも言えるだろう。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幽玄이란 용어는 중세 미의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특히, 와카(和歌)에서는 가인 俊成의 중요한 사상으로 여겨져왔다. 그가 우타아와세(歌合)의 評語로서 14번이나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歌論書와 여러 우타아와세(『自鎮和尚自歌合』『民部卿家歌合』)에서도 「艶にも幽玄にも」「艶にもあはれにも」「艶にもをかしくも」라는 문구와 같이 幽玄이나 「艶」「あはれ」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와카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俊成가 특별히 유현을 강조했다는 근거는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俊成가 언급한 幽玄은 여러 미의식의 표현가운데 하나에 지나지 않고, 깊은 감동을 나타내는 하나의 단어에 지나지 않는다고 느낄 정도로 여러 단어를 사용하여 와카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
     俊成의 아들인 定家도 幽玄이란 단어를 사용하여 평하기도 하였지만, 俊成만큼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다. 우타아와세에 5번, 歌論書에 1번뿐으로, 그 의미도 俊成와 비교해도 매우 한정된 범위에서 사용하였다. 定家는 주로 가을의 노래에서 적막하고 쓸쓸한 산속 마을에서 느끼는 감정에 유현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즉, 俊成의 幽玄이 종합적인 미의식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면, 定家가 말한 幽玄은 쓸쓸하고 애절한 가을을 묘사한 노래에 이 용어를 사용했다고 규정할 수 있다.
    定家의 幽玄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그의 만년의 秀歌撰인 『八代集秀逸』와 『百人一首』)의 가을노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八代集秀逸』의 경우에는, 가을의 풍경을 환상적으로 그린 노래, 특별히 이슬을 소재로 한 노래가 많았다는 점을 발견한다. 그리고 恋歌가 많다는 것도 특징이다. 하지만, 定家가 우타아와세에서 규정한 유현의 의미에 합당하는 쓸쓸하고 적막한 가을의 모습을 노래한 서경가는 겨우 3수(22、33、43番)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百人一首』에는 6수 (5、23、47、70、71、94番)가 이에 해당한다. 그 외에도 언어유희적인 노래, 새로운 단어를 조합한 노래, 선명한 가을의 정취를 그린 다양한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이처럼 秀歌撰에 수록된 가을노래는 우타아와세의 評語로 사용된 유현의 이미지와는 차이점이 크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것은 幽玄이라는 미의식의 전혀 작용하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어도 定家에게는 중심적인 사상이 아니였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의 幽玄은 俊成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가론서나 우타아와세의 跋文의 내용으로 보았을 때, 그는 유현을 주장하지도 않았고 강조하지도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오히려 幽玄이 아니어도 좋다는 느낌의 문장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秀歌를 평가할 때, 사용한 일반적인 용어이며 특별히 이 단어말고도 여러 용어, 예를 들면 「艶」 이나 「あはれ」로 표현할 수 있다는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正家의 유현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定家는 이를 10가지 가체중의 하나의 양식으로 인정하였고, 후대에 定家의 이름을 빌린 僞書에는 이 가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能에서는 중요한 미의식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定家이후에 오히려 유현의 미의식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전파되어 나갔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유현이란 미의식을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으면 일본 중세의 문학적 이념을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논문은 와카에서 사용한 유현의 의미를 정의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타 장르에서 사용한 유현이란 미의식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색인어
  • 幽玄 秀歌撰 八代集秀逸 百人一首 定家 俊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