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124&local_id=10017398
중국 운남성의 종교 공존 상황에 대한 연구: 역사적 배경과 현실 및 중국의 종교정책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 운남성의 종교 공존 상황에 대한 연구: 역사적 배경과 현실 및 중국의 종교정책을 중심으로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류성민(한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23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6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의 종교공존상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종교공존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운남성은 중국 전역에서 대표적인 종교다원사회로 알려져 있고, 종교의 평화로운 공존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남성의 종교다원상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그 배경을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중국 정부의 종교정책이 종교의 평화로운 공존에 미친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바람직한 종교공존의 모델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우선적으로 분석한 것은 운남의 자연 및 인구 상황으로, 운남의 지리, 지형, 기후 등 자연조건과 26개 민족(25개 소수민족과 한족)이 함께 사는 인구학적 여건 등이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기본적 여건을 형성해 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이것은 종교 공존의 부분적 필요조건일 뿐이다.
    둘째는 민간신앙(원시신앙)이 중심이 되었던 운남의 여러 민족 사회에 불교와 기독교(개신교), 천주교 등 외래 종교가 들어오는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였다. 외래 종교들의 전래 초기에는 종교 사이의 갈등과 분쟁이 있었으나 그러한 경험을 통해 종교가 사회적 이해관계에 연루되지 않아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을 얻게 되었다는 점을 확인했고, 더 나아가 어떤 종교든지 전통적 문화를 무시하거나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는 의식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것이 종교 공존의 충분조건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중국정부와 운남성 정부의 종교정책도 운남성의 종교공존 상황에 일정 정도 기여한 측면이 있음을 지적했다. 비록 그러한 정책에는 종교를 국가가 관리하고 통제하는 측면이 없지 않지만, 종교 사이의 충돌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법적이고 제도적인 장치를 정책적으로 마련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종교 공존의 모델을 위한 제언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결론으로 제시했다. 우선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자신의 종교와 그 활동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고 정교의 분리가 명시되어 있는 한 종교는 사적인 영역에 속해 있다. 따라서 개인의 종교적 신앙이나 활동을 공적인 영역에까지 확대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는 종교들 사이의 상호 관계의 문제인데, 이웃 종교 고유의 종교 활동이나 신조, 신념 등에 대해서는 간섭하거나 비판하지 말아야 하고, 그 외의 활동에 대해서는 가족, 이웃, 공동체 일원 등 사회적 관계를 기준으로 유대를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국가의 종교 정책적 측면에서는 모든 종교들에 대해 공평하고 평등한 처우를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건이 비교적 잘 갖추어진 지역(貢山獨龍族怒族自治縣 丙中洛鄕) 대한 연구(현지조사연구)를 사례로 제시했다.
  • 영문
  • Title: A Study on the Situation of Religious Coexistence in Yunnan Province, China: Concentrating in Its Historical Background, Actuality, and Religious Policy

    This Study put its purpose on searching the model for religious coexistence through the case study of Yunnan Province, China. Yunnan is known as a typical religious pluralistic society in China, and a good sample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religions.

    So this study firstly has researched the current situation of Yunnan’s religions with its geographical, demographical and racial analysis. The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geography, topography, climate, and etc. in Yunnan are multifarious, and the people there have experienced the diversity itself as natural and necessary condition for life. These environment and experience are also one of elements of religious diversity in Yunnan, I think. And Yunnan is the province of most numbers of minority peoples in China, in which are 25 minority races and the Han race. They believe in not only their native religions but also religions from abroad such as Buddhism,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What is more, they reside together in whole regions of Yunnan. This style of living is another element of religious diversity.

    Secondly, minority peoples in Yunnan met with religious conflicts when foreign religions we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but they have found a good lesson for living together without religious problems. It was the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 that they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family life and community. Religion for them was private, not public, matters. This was the satisfactory condition for religious coexistence in Yunnan.

    Thirdly, it was religious policy of the government of Yunnan Province and local administrative organs that also have served for peaceful relations of religions. They provided the laws, regulations and institutions for preventing religious conflicts and resolving religious problems.

    I suggested triple correlated comments for the desirable model of religious coexistence as a conclusion.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ligious believer’s recognition that religious belief and activity are private matters, so they do not confuse their religious life with public matters. Then they do not have critical opinions to other religions and do not interference their own activity even if they are one of their family members or neighbor or relative. Lastly in religious policy it should been provided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impartial treatment to all religions to prevent religious confli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의 종교공존상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종교공존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운남 지여에서 종교의 평화로운 공존에 영향을 준 세 가지 주요 원인을 찾아 보았다. 첫째는 운남의 지리, 지형, 기후 등 자연 조건과 26개 민족(25개 소수민족과 한족)이 함께 사는 인구학적 여건 등이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기본적 여건을 형성해 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이것은 종교 공존의 부분적 필요조건일 뿐이다.
    둘째는 민간신앙(원시신앙)이 중심이 되었던 운남의 여러 민족 사회에 불교와 기독교(개신교), 천주교 등 외래 종교가 들어오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외래 종교들의 전래 초기에는 종교 사이의 갈등과 분쟁이 있었으나 그러한 경험을 통해 종교가 사회적 이해관계에 연루되지 않토록 해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을 얻게 되었다는 점을 확인했고, 더 나아가 어떤 종교든지 전통적 문화를 무시하거나 도외시해서는 안된다는 의식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이것이 종교 공존의 충분조건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중국 정부와 운남성 정부의 종교정책도 운남성의 종교공존 상황에 일정 정도 기여한 측면이 있음을 지적했다. 비록 그러한 정책에는 종교를 국가가 관리하고 통제하는 측면이 없지 않지만, 종교 사이의 충돌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법적이고 제도적인 장치가 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종교 공존의 모델을 위한 제언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결론으로 제시했다. 우선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자신의 종교와 그 활동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고 정교의 분리가 명시되어 있는 한 종교들의 공존은 불가피하나 종교는 사적인 영역에 속해 있다. 따라서 개인의 종교적 신앙이나 활동을 공적인 영역에까지 확대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는 종교들 사이의 상호 관계의 문제인데, 이웃 종교 고유의 종교활동이나 신조 등에 대해서는 간섭하거나 비판하지 말아야 하고, 그 외의 활동에 대해서는 가족, 이웃, 공동체 일원 등 사회적 관계를 기준으로 유대를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국가의 종교 정책적 측면에서는 모든 종교들에 대해 공평하고 평등한 처우를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건이 비교적 잘 갖추어진 지역에 대한 연구(현지조사연구)를 사례로 제시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를 통해 현재 1편의 논문을 작성했고(초고) 2009년 9월 전에 전문 학술지 [종교연구]에 투고할 예정이며, 추후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중국 운남 지역 소수민족의 종교와 종교 공존상황](가제) 제하의 저서를 집필, 출판할 것임.
    - 향후 발표할 논문과 출판할 책은 중국 종교와 문화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강좌의 교재로 활용할 것이며, 연구수행 중에 획득한 자료들(사진, DV, 희귀도서 복사본)도 공개하여 유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색인어
  • 운남성, 종교공존, 종교공존 모델, 종교정책, 종교사무조례, 소수민족종교, 외래종교, 종교다원사회, 종교정합, 전통종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