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195&local_id=10017200
한일 고등학교 지리 텍스트에 나타난 공간 및 이미지 담론 분석을 통한 비판교육학의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일 고등학교 지리 텍스트에 나타난 공간 및 이미지 담론 분석을 통한 비판교육학의 적용 | 2007 년 | 조철기(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63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지리 텍스트에 내재된 공간 및 이미지 담론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서, 기존의 사례 연구의 검토와 함께 한일 지리 텍스트를 대상으로 비판적 담론 분석을 한 것이다. 일찍이 서구의 학자들은 지리 텍스트에 내재된 공간 담론을 주로 언어와 이데올로기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인간의 본질과 사회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실제 현행 한일 지리 텍스트를 분석 한 결과, 국가 스케일에 근거한 지리 텍스트는 생산공간과 소비공간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공간 담론을 생산․재현하고 있다. 즉, 생산공간은 끊임없는 외부로의 확장을 정당화하는 개방성에 기초하고 있는 반면에, 소비공간은 내부로의 침투에 의해 침해받는 정체성에 저항하는 폐쇄성을 노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스케일에 근거한 지리 텍스트에서 한일 양국은 일부 차별적인 이미지 담론을 제외하면, 서로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이미지 담론을 생산․재현하고 있다. 텍스트에 재현된 차별적인 공간 및 이미지 담론을 해체하는 것이 국가 정체성 중심의 시민성교육의 한계를 넘어 이타적인 세계시민성 교육을 위한 최우선 과제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in the existing Korean and Japanese geography texts as well as prior case studies. In the previous studies, after geographers analyzed critically the discourses in geography texts in terms of language, ideology and power, they pointed out that geography texts contain a lot of bias,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human nature and society. Actually,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existing Korean and Japanese geography texts, the texts based on nation scale produce and represent a differential spatial discourse in ter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space. While production space is based on openness by a external expanding mechanism, consumption space is based on closeness by a internal defending mechanism. But, the texts based on the global scale produce and represent rather a objective and balanced image than a differential and biased image discourse each other. Deconstructing a differential spatial and image discourse represented in text is the primary task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yond national ident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논문은 지리 텍스트에 내재된 공간 및 이미지 담론에 대한 분석적 연구로서, 기존의 사례 연구의 검토와 함께 한일 지리 텍스트를 대상으로 비판적 담론 분석을 한 것이다. 일찍이 서구의 학자들은 지리 텍스트에 내재된 공간 담론을 주로 언어와 이데올로기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인간의 본질과 사회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실제 현행 한일 지리 텍스트를 분석 한 결과, 국가 스케일에 근거한 지리 텍스트는 생산공간과 소비공간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공간 담론을 생산․재현하고 있다. 즉, 생산공간은 끊임없는 외부로의 확장을 정당화하는 개방성에 기초하고 있는 반면에, 소비공간은 내부로의 침투에 의해 침해받는 정체성에 저항하는 폐쇄성을 노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스케일에 근거한 지리 텍스트에서 한일 양국은 일부 차별적인 이미지 담론을 제외하면, 서로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이미지 담론을 생산․재현하고 있다. 텍스트에 재현된 차별적인 공간 및 이미지 담론을 해체하는 것이 국가 정체성 중심의 시민성교육의 한계를 넘어 이타적인 세계시민성 교육을 위한 최우선 과제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 지리 텍스트의 내용 서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은 매우 부족했다. 지리 텍스트의 내용 서술이 특정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지향하고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암묵적으로 이러한 가치와 신념을 무비판적으로 당연한 것으로 내면화하게 된다. 정보화, 세계화 시대를 맞아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력은 텍스트의 내용이 어떤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비판적 문해력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터부시 해왔던 지리 텍스트의 내용 서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즉 내용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비판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른 관점을 가지고 나아가도록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경제 공간과 관련한 담론은 세계화를 담보하면서도 국가가 지향하는 정체성의 논리에 의해 매우 왜곡되어 서술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다국적 기업과 관련하여 볼 때 경제적 공간은 생산공간과 소비공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상반되게 서술되고 있었다. 국내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은 생산공간이 외연적으로 확장되는 것은 국가 정체성과 내셔널리즘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끊임없이 긍정적인 이미지로 지지되는 반면, 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에 의한 국내 소비공간의 침해는 끊임없이 부정적 이미지로 점철되고 있었다. 물론 교육이라는 것이 국가적 요구에도 충족해야 하겠지만,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관점은 편향된 가치와 신념보다는 다양성에 기초한 균형잡힌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지리 텍스트의 내재된 공간 담론이 주체의 정당성만을 담보하고 타자의 논리는 철저하게 배제하는 논리로 점철되어서는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정체성의 논리를 학생들로 하여금 가지도록 할 수 없다. 즉, 표면적으로 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현대사회의 요구인 세계적 시민성을 지향하면서도, 지리 텍스트의 담론은 암묵적으로 국가 지향적 정체성에 초점을 두어 서술되어 있다면 매우 모순된 상황으로 흐를 수밖에 없다. 내부자의 확장 논리는 정당화하면서 외부자의 확장 논리는 신자유주의라는 관점에서 배제한다면 세계화라는 거대 담론에서 다양성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국가 정체성 제고라는 교육적 한계를 노정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자국의 생산공간의 외연적 확장은 옹호하면서, 타국의 소비공간이 침투해 오는 것은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모순된 시점을 바로 잡아 세계화 시대에 균형잡힌 시각을 바로 잡도록 해야 한다.
    한편, 한일 지리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 및 일본 관련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부정적 이미지를 밝혀냄으로써 긍정적이고 정확한 서술을 촉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역으로 우리나라 지리 텍스트에 일본 관련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측면을 분석하여 부정적이고 잘못된 이미지가 있다면 반성하여 수정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국가간의 이타적이고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수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지리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은 지금까지 당연시하고, 사실로 배워왔던 기존의 가정과 가치, 이데올로기를 재검토함으로써 왜곡된 사회학 및 지리학적 상상력을 바로잡고 균형잡힌 시선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텍스트(text),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공간 담론(spatial discours), 이미지 담론(image discours), 생산과 재현(production and representation), 차별화(differenti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