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09&local_id=10016464
영어복합어 차용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어복합어 차용에 관한 연구 | 2007 년 | 오미라(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1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영어표현, 가령 ?emake up, all in' 등의 복합어가 한국어로 차용된 예들을 연구하여 소리 인지(perception)와 소리 생성(production)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복합어 차용을 연구함으로써 외래어 차용의 범위를 밝힌다. 가령, 영어 ?eall in'이 [올인]으로 차용되고 *[올린]으로 차용되지 않는다. 즉 ?folive'는 [올리브]로 차용된다는 것을 볼 때 이것은 복합어 내부구성요소가 각각 차용범위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복합어 내부 구성요소의 마지막 자음과 단어내부 자음 다음에 모음삽입 여부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모음삽입 인지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make up'이 [메이컵]으로 차용되는 것은 Kabak and Idsardi (2007)의 음절말음 제약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emake'이 [메이크] 또는 [메익]으로 차용된다고 볼 때 [메이컵] 차용은 인지와 산출이 일치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fcut-이?e가 [컷이]로 실현되나 ?fcut off'는 [커도푸]로 실현된다. 이것은 단일어 마지막 /t/는 한국어에서 [s]로 차용되지만 복합어 내부구성요소 마지막 /t/는 [t]로 실현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것은 복합어 내부구성요소 하나 하나는 어간이되 외래어 전체는 명사단어임을 말해 준다. 이와 같이 본 복합외래어 차용 연구는 외래어 차용에 대한 일반 이론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외래어의 형태구조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영문
  • Most of the loanword literature has focused on segmental mappings between source and loan sounds within a word. However, loanwords cannot be fully understood relying only on such segmental correspondences within a word. Three findings are revealed by close inspection of English complex loanwords in Korean. Firstly, each complex unit member is loaned independently of the other complex unit member and then they are combined to yield the loanword as a whole. This finding is based on the fact that Korean adapters distinguish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consonant from the word-internal consonant. For instance,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l/ is adapted as [r], e.g., [orin] *[ollin] ?Hall in?H, while the word-internal /l/ is adapted as [ll], e.g., [ollibɨ] ?Holive?H.
    Secondly, the study of English complex loanwords sheds light on perceptual epenthesis in that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voiceless stop can be perceived as aspirated without vowel epenthesis, e.g., [meikhəp] ?Hmake up?H. Previous studies on loan adaptation have contended that word-final voiceless stops in English are rendered either as an aspirated stop with vowel epenthesis or as a lax stop in Korean (Kang 1996; Kang 2003).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voiceless stop could also be adapted as an aspirated stop. This finding contradicts Kabak and Idsardi?Hs (2007) Coda Condition analysis on perceptual epenthesis since coda consonants incurring coda constraint violation do not necessarily trigger perceptual epenthesis. Furthermore, perceptual epenthesis was shown to reflect the perceptual similarity in that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stridents always trigger perceptual epenthesis, while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aspirates do not necessarily do so. The result suggests that perception is not isomorphic to production in that the aspirated consonants that cannot surface on codas are perceived as such.
    Finally, we found that each member of English complex words is a stem, whereas the whole loanword is a free-standing nominal word. That explains different realizations of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consonants from word-final consonants with respect to phonological alternations. For instance, the complex unit member-final coronal stop is realized as a coronal stop before another complex word member but the same segment is realized as [s] before a Korean vowel-initial suffix; e.g., [khədophu] ?Hcut off?H vs. [khəsi] ?Hcut-i (Nom)?H. Furthermore, the loanwords as a whole are morphologically the nominal word, and laryngeal neutralization always occurs before a vocalic Korean suffix, e.g., [kheigi] ?Hcake-i (No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Most studies on loanword adaptation have centered on segmental mappings between source and loan sounds within a word (Lacharité and Paradis 2002; Kang 2003). However, the many interesting questions regarding complex loanword adaptation that need to be answered include the following: What is the unit for loan adaptation for calculating psychoacoustic similarity? Do complex loanwords behave in the same way as single loanwords with respect to vowel epenthesis and phonological alternations? What is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a complex loanword? How are complex loanword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native words? We make four claims by investigating the adaptation of English complex words like ‘make up’ and ‘all in’ in Korean. Firstly, the window for loan adaptation is each member of a complex word. Secondly, each complex unit member is morphologically categorized as a stem, while each loanword as a whole is categorized as a nominal word. Thirdly, perceptual epenthesis is not determined by a coda restriction, as proposed by Kabak and Idsaldi (2007), but by the listener’s knowledge of perceptibility of sound contrasts (Steriade 2001). Lastly, two separate coda neutralizations in Korean induce different perceptual similarit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영어표현, 가령 ‘make up, all in' 등의 복합어가 한국어로 차용된 예들을 연구하여 소리 인지(perception)와 소리 생성(production)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 실험, 문헌연구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단일어가 아닌 복합어 차용 연구를 통해 한국인이 영어 표현을 차용할 때 소리뿐만 아니라 복합어의 형태적 구조 또한 인지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 결과 외래어 차용은 복합어의 개별 구성요소가 그 범위가 되며 복합어 외래어는 어간(stem)과 어간의 결합으로 전체는 명사 단어(word)의 형태적 특징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make up'과 같은 복합어 차용의 예를 통해 소리 인지와 생성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지금까지의 차용어 음운론은 근원어와 차용국어 사이에 다른 음운 체계로 인해서 근원어의 음을 차용할 때 일어나는 음 대치, 모음 삽입, 음 탈락 등의 단일 음 대응 연구에 주력해 왔다 (Paradis and La Charite 1997; Silverman 1992; Kang 2003). 또한 이전 연구들은 주로 단일 단어를 대상으로 한 차용음 연구에 국한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 단어를 중심으로 한 차용어 이론은 근원어를 차용할 때 형태적 구조의 영향에 대해서 전혀 말해 주지 못한다. 가령 ‘all in'은 [orin]으로 차용되나 ’olive'는 [ollibɨ]로 차용되어 그 형태적 구조에 따라 영어의 /l/이 [r] 또는 [ll]로 차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어 차용을 통해 단일어 차용에서는 알 수 없었던 형태적 구조의 영향과 아울러 복합어 내부 구성요소의 단어말 자음 차용을 통해 소리 인지와 소리 생성과의 관계를 밝혔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복합어 차용어 분석을 뒷받침하기 위해 음성 인지 실험과 음성 생성 연구는 이제까지 단일어 중심의 차용어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삽입모음 인지(Perceptual epenthesis)에 대해 새로운 단서를 주어 소리 인지와 소리 생성 간의 논쟁에 중요한 증거를 마련해 주므로 매우 중요하다.
    연구 수행 결과는 학문 사회의 발전에 대한 기대 효과와, 교육적 활용을 가져올 수 있다. 어말 자음 차용이 이제는 복합어 내부 구성요소말인지 전체 외래어말인지에 따라 달리 실현된다는 것을 통해 외래어 차용 범위와 복합어 외래어의 형태적 구조를 연구한 본 연구는 그 학문적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인지실험과 생성실험도 실시하여 음운론적 행동을 검증하는 방법론도 제시하고 있어서 연구방법 면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외래어 차용에 관한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능숙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기준을 제공해 준다. 근원어의 음소배열제약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차용국어의 음소배열제약에 맞추어 차용하는 것이 차용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초기영어학습자의 영어학습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태가 대부분 외래어 차용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올바른 영어발음교정 프로그램에 활용되어 대중의 영어 학습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한국인의 영어구사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하여 한국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이론연구와 더불어 음성실험을 연계하여 대학원 과정 학생들이 음성연구에 보다 폭넓은 사고의 폭을 갖도록 도와준다. 또한 음성학 등 기초 학문을 연구하는 연구자가 음성 산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취업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인문학 인력의 취업난을 다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현재 교육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의 영어교육 목표는 의사소통이다. 그런데 영어 발음을 익힐 때 단어내에서 음소배열제약을 어기는 곳에 모음을 삽입하여 음절수를 늘리므로써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더해서 본 연구를 통해 복합어의 구성요소 하나 하나를 별도로 차용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를 영어교육에 연계하여 발음교육은 단어 중심이 아니라 억양구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구사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또한 제시해 준다.
  • 색인어
  • English complex words, loan adaptation, source language, adapting language, psychoacoustic similarity, vowel epenthesis, sound contrast +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