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10&local_id=10018604
통합적 승인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음절말-음절초 연쇄의 음소배열적 제약에 대하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통합적 승인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음절말-음절초 연쇄의 음소배열적 제약에 대하여 | 2007 년 | 이상직(충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1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0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기존 국어음운로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음절말-음절초 연쇄가 가지고 있는 음소배열적 제약에 대해서 지배음운론 관점에서 논의한다. 이 연쇄가 어중 두 모음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지만, 어두나 어말에는 왜 이 들 연쇄가 나타나지 않는 지에 대해서 탐구한다. 이러한 이 들 연쇄의 분포적 제약을 통합적 승인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이러한 자음연쇄에서 나타나는 음절말 자음은 선행하는 모음의 승인과 후속하는 음절초 자음의 승인이 필요하며 또한 음절초 자음 역시 후속하는 모음의 승인을 필요하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논지를 진행한다. 따라서 어두 음절말-음절초 연쇄는 선행모음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허용되지 않으며, 어말에 나타나는 이 연쇄는 후행하는 모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국어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연쇄가 된다는 분석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석을 경험적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차용어에서 나타나는 어두 [으]삽입과 어말 [으]삽입 현상을 분석하며, 이 삽입현상은 음절말-음절초 연쇄가 모음 사이에 있도록 하는 공모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 영문
  • This study deals with a phonotactic constraint imposed on coda-onset clusters in Korean within the framework of Government Phonology. In Korean, these clusters are possible intervocalically but they are ruled out in initial or final position. In order to account for the presence/absence of these clusters, this study adopts the notion of syntagmatic licensing. In intervocalic position, a coda consonant requires not only a licensing from a preceding vowel but also a licensing from a following consonant and an onset consonant needs a licensing from a following vowel. Either of these two condition are not met, the coda-onset clusters cannot occur in Korean. Accordingly, coda-onset clusters in initial position are not allowed due to the absence of a preceding vowel and these clusters in final position are not permitted owing to the absence of a following vowel. To empirically support the asymmetrical distribution of coda-onset clsuters in Korean, this study take consideration into loanword adaptation in which we observe intial and final epenthesis of [으]. These epenthetic situations imply that the coda-onset clusters appears between two vowe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기존 국어 음운론 연구에서 심도있게 다루지 않았던 국어의 음절말(coda)-음절초(onset) 연쇄가 가지고 있는 음소배열적 제약에 대해서 지배음운론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국어의 경우 음절말-음절초 연쇄는 어중 두 모음 사이에서는 존재할 수 있지만, 주변부 즉 어두나 어말에는 왜 이 연쇄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음소배열적 시각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국어에서 어두와 어말에 [nt] 내지 [lk] 같은 연쇄가 허용되지 않는 현상을 음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국어 음운현상은 어말 자음군 단순화(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와 차용어에 나타나는 어말 [으] 첨가 및 어두 [으] 첨가이다. 자음연쇄가 어말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자음군 단순화 과정을 통해서 이 들 자음 중 하나가 탈락하지만(예: 앉다 [안따]),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와 결합하면 이 연쇄는 음성적으로 음절말-음절초 연쇄로 실현된다(예: 앉아서[안자서]). 또한 어말 음절말-음절초 연쇄가 있는 차용어의 경우 어말에 모음 [으]가 삽입되면서 이 들 연쇄가 음성적으로 실현이 되며(예: tent [텐트]), 어두 비음-장애음 연쇄가 있는 차용어의 경우 이 자음 연쇄 앞에 모음 [으]가 삽입되어 이 들 연쇄의 음성실현이 된다(예: Mbeki [음베끼]).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화 과정과 차용어의 어두 내지 어말 [으] 삽입현상은 이 들 연쇄가 두 모음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이른바 ‘공모적’(conspiracy) 역할을 담당하여 이 들 연쇄의 음성적 실현의 조건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음절말-음절초 연쇄의 음성실현 조건이 이 들 연쇄를 둘러싸고 있는 두 모음 존재에 있음을 주목하고, 이 들 모음의 음운론적 역할을 승인(licensing)이라는 개념으로 설명을 시도한다. 음운론 관점에서 승인의 개념은 어떻게 음운론적 요소들이 표면구조에 나타나는 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령, 음절말음의 조건(Coda Condition)은 음절말 위치에서 특정 자음들만이 표면형으로 실현되는 점을 규정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자음들만이 음절말 위치에서 승인을 받는다. 이와 같이 운율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상위 단위인 음절말 위치와 하위단위인 분절음 간의 분포제약을 승인이라는 개념으로 음절말음의 조건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계적인(hierarchical) 승인관계보다는 통합적인(syntagmatic) 승인관계를 바탕으로 음절말-음절초 연쇄의 음소배열적 제약을 설명하고자 한다. 가령 음절초 자음은 뒤따르는 음절핵에 의해서 승인을 받아야 하며(Onset Licensing Principle), 음절말 자음은 후속하는 음절초 자음에 의해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Coda Licensing Principle).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음절구성성분 간의 승인관계를 통합적 관계로 파악하여 음절초-음절말 연쇄의 음소배열적 제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음절초-음절말 연쇄는 선행모음과 후행모음 모두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음성실현이 가능하며, 이 두 모음 중 하나라도 결여되는 경우 이 연쇄는 승인받지 못해서 이 들 연쇄의 음성실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핵심적 사항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해서 얻어지는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승인’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어중에만 나타나는 음절말-음절초 연쇄의 분포를 설명하며, 기존 차용어 음운론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어두 삽입모음 현상을 소개함으로써 국어 음운론 연구에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게 된 점이다. 두 번째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국어 음절구조와 관련이 있다. 차용어에서 음절말-음절초 연쇄에 나타나는 어말 모음삽입과 어두 모음삽입의 음운론적 동기를 이 들 연쇄의 보존을 위해 나타나는 공모적 역할로 설명을 시도함으로써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모음 삽입현상을 체계적이며 일관성 있게 설명을 할 수 있게 된 점이다. 끝으로, 이 연구성과를 범어적으로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 가를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어에서는 어중의 음절말-음절초 연쇄만을 허용하고 있으며, 반면 영어는 어두를 제외한 어중과 어말에 이 연쇄를 허용하고 있다. 즉 어말에 자음연쇄를 허용하는 언어는 어중의 같은 연쇄를 허용할 수 있지만, 역으로는 불가능한 함축적(implicational)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함축적 관계가 각 언어에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통합적 승인(syntagmatic licensing), 음절말-음절초 연쇄(coda-onset cluster), 어두 [으]삽입-어말 [으]삽입(initial and final [으] epenthsis), 음절말 자음 승인원리(Coda Licensing Principle), 음절초 자음 승인원리(Onset Licensing Principle), 공모성(conspirac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