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13&local_id=10019137
판소리의 中國文學의 受容과 變容-판소리 <春香歌>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판소리의 中國文學의 受容과 變容-판소리 & lt;春香歌& gt;를 중심으로- | 2007 년 | 정원지(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68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6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는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하나는 과거 단순한 어귀풀이나 구체적인 전고 출전 등을 밝히는 테두리를 벗어나, 구체적으로 어느 시대 어느 작가의 작품을 인용하였는지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고 인용된 내용을 판소리 연행예술의 기준에 비춰 그 의의를 평가해냄으로써 판소리문학의 규모와 성격을 재조명한다는 차원으로서 이른 바 조선시대 중국문학의 수용을 통해 판소리 문학의 규모를 가늠하고자 했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문학의 수용과 양상이라는 각도에서 판소리 문학예술의 가치와 의의를 새롭게 조명한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수용과 변용은 자국의 문화적 역량에 따라 수용이냐 변용으로 나눠진다하겠다. 다시 말하자면 같거나 비슷한 시구나 고사를 동원한다 해도 그것이 자국의 문학에서 더욱 진가를 발휘할 수 있게 만들 때 이미 수용의 단계를 넘어 변용의 단계에 있다하겠다. 그래서 중국문학에서 소재나 아이디어를 가져왔으되 판소리에서 원래의 소재나 의미보다 더 의미를 살려 응용했거나 살아있는 형태로 탈바꿈(환골탈태)시킨 대목들을 변용의 예로 파악하였다.
    다른 하나는 판소리가 갖는 문체적 특성을 중국문학과의 관련 하에서 고찰하였다. 이는 판소리가 갖는 제 특성들을 규합하여 이를 근거로 중국문학에서 그와 같은 특성을 지닌 장르를 검토한 결과 부가 지닌 장르적 특성을 1. 對問體(문답체) 형식 2. 반복 열거 3. 설득문학 4. 청각문학 낭송문학이라고 전제할 때 판소리와 가장 친연성이 있는 양식이 賦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판소리라는 양식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필요한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일차적 의의를 지니며 나아가서는 이를 근거로 판소리 산생연대를 가늠하는 데에도 유용한 참조사항으로서 활용가치가 있다하겠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has two objects.
    The one discuss the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fluence on the Pansori.
    The another discuss Pansori's familiaty with Fu(賦) sty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춘향가 속에 드러난 제반 어휘가 중국문학을 대폭 수용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그와 함께 판소리의 문체적 특성을 한대 부와 같은 문체와 연결지어 연관성을 검토한 결과 적어도 판소리라는 양식은 한국고유의 것이 아닌 외부의 영향아래 생겨난 것으로 추단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지금까지 제반 기원설에 대한 반론으로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소리가 한국인의 고유의 정서인 한을 담은 장르라는 점만은 분명하다. 다만 그러한 정서를 담은 장치가 외래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장르일 가능성이 더 농후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판소리의 산생연대는 추정한 결과 최소한 임진왜란을 전후에 생겨났을 개연성도 제시함으로써 차후 판소리의 산생연대와 연원에 대해 더욱 진전된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다는데 또한 의의가 있다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판소리의 외부유입설과 산생연대에 대한 논의를 제기함과 동시에 지금보다 진전된 논의을 위한 장을 열어놓은 점에서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임진왜란 문체적 특성 한부 판소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