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15&local_id=10015137
場所名詞句 主題化 構文에 관해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場所名詞句 主題化 構文에 관해서 | 2007 년 | 안평호(성신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7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일본어의 「他動詞+テイル」형태를 술어로 하는 構文을 대상으로 하여 앞선 연구들에서 「아스펙트(Aspect) 移行現象」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에 관해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스펙트(Aspect) 移行現象」이란 무엇인가
    현대일본어의 「動詞+テイル」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일반화Ⅰ;「動詞+テイル」의 의미>
    ①動き動詞+テイル→動きの継続(예문; 「太郎がパンを食べている(食べる+テイル)。」다로는 빵을 먹고 있다. )
    ②変化動詞+テイル→変化の結果の継続(예문; 「電気が消えている(消える+テイル)。」전기가 꺼져 있다. )

    「아스펙트(Aspect) 移行現象」이란, 일정한 構文的인 條件下에서 「動き(他動詞)動詞+テイル」의 아스펙트적 의미를 위 <일반화Ⅰ>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을 일컫는다.

    (예1) 海苔の缶は 書類入れやスカーフを 入れています。(「入れる+テイル」)김통은 서류봉투라든지 스카프를 넣고 있습니다.)
    위 (예1)의 「入れる(넣다)+テイル」는 <일반화Ⅰ>에서는 ①에 해당되는 경우로 볼 수 있지만 「動きの継続(동작계속)」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変化の結果の継続(변화의 결과계속)」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과 관련해서는, 工藤(1982)・竹沢(1991)・杉本(2002)・川野(2000) 등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일반화Ⅱ>
    ① 主語(主体)が有生か無生かに関係なく、再帰的意味構造であること。(주어가 유생물인지 무생물인지 상관없이 재귀적인 구조일 것)
    ② 主体と客体は「全体」と「部分」の関係にあること。(주체(주어)와 객체(목적어)는 전체와 부분 관계에 있을 것)
    ③ 主体が客体を包含した状態になること。(주체(주어)는 객체(목적어)를 포함한 상태에 있을 것)

    2. 본 연구의 주장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반화Ⅱ>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제시했으며, 이들 구문을 「場所名詞句를 主題化한 構文(<類型Ⅰ>과 <類型Ⅱ>)」으로 일반화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이 그 성립조건을 일반화 하였다.


    <類型Ⅰ>의 構文:「場所名詞句(に)は→VN(Verbal Noun)が→されている(「→」는 논항의 순서를 나타냄」
    (예2) 館は いたるところに 彫刻がほどこされ、思い切った内装がされていた。(毎日991001)
    (예3) 実はあの写真額には、彩色が施されているのである。普通の印画紙の上から、一分の隙もなく、油絵の具で彩色がされている。(毎日000804)
    (예4) (日本(で)は)戦争への道を歩む中でどんな教育がされていたか知ってほしい。(毎日000803)
    <類型Ⅰ>의 成立条件:
    <類型Ⅰ>에 속하는 구문은, 「動作主が→場所名詞句に→VN(Verbal Noun)をする(している)」와 같은 능동문에 대해서, 動作主의 背景化(=場所名詞句를 주제화)한 수동문의 한 종류이다.

    <類型Ⅱ>의 構文:「他動詞+シテイル」형태의 構文(특히,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變化의 結果繼續을 나타내는 構文) 가운데, 「主体 名詞句의 변화의 결과계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구문유형에 대해서도 「場所名詞句 主題化 構文」으로 統一的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예5) 一方のトラックは砂をいっぱい積んでいる。(工藤(1982)에서 인용)
    (예6) 砂漠の夕やみに立つピラミッドは神秘的な静けさをたたえていた。(安平鎬(2007))
      →(예6)은 발생에 의한 변화를 나타내는 타동사 구문
     (예7) 私は空襲で家を焼いている。(天野(1987)에서 「状態変化主体の他動詞文」이라고 부르는 구문)
      →(예7)의 「私」에 관해서도, 経験의 所在(즉 본 연구에서 場所名詞句로 부르는 장소의 하나)로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類型Ⅱ>의 成立條件:基本的으로는 <類型Ⅰ>과 동일하다.






  • 영문
  • 수정예정임.
    On the Topicalization and Transitive Phenomenon in Modern Japanese Asp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일본어의 「他動詞+テイル」형태를 술어로 하는 構文을 대상으로 하여 앞선 연구들에서 「아스펙트(Aspect) 移行現象」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에 관해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스펙트(Aspect) 移行現象」이란 무엇인가?
    현대일본어의 「動詞+テイル」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일반화Ⅰ;「動詞+テイル」의 의미>
    ①動き動詞+テイル→動きの継続(예문; 「太郎がパンを食べている(食べる+テイル)。」다로는 빵을 먹고 있다. )
    ②変化動詞+テイル→変化の結果の継続(예문; 「電気が消えている(消える+テイル)。」전기가 꺼져 있다. )

    「아스펙트(Aspect) 移行現象」이란, 일정한 構文的인 條件下에서 「動き(他動詞)動詞+テイル」의 아스펙트적 의미를 위 <일반화Ⅰ>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을 일컫는다.

    (예1) 海苔の缶は 書類入れやスカーフを 入れています。(「入れる+テイル」)김통은 서류봉투라든지 스카프를 넣고 있습니다.)
    위 (예1)의 「入れる(넣다)+テイル」는 <일반화Ⅰ>에서는 ①에 해당되는 경우로 볼 수 있지만 「動きの継続(동작계속)」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変化の結果の継続(변화의 결과계속)」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과 관련해서는, 工藤(1982)・竹沢(1991)・杉本(2002)・川野(2000) 등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일반화Ⅱ>
    ① 主語(主体)が有生か無生かに関係なく、再帰的意味構造であること。(주어가 유생물인지 무생물인지 상관없이 재귀적인 구조일 것)
    ② 主体と客体は「全体」と「部分」の関係にあること。(주체(주어)와 객체(목적어)는 전체와 부분 관계에 있을 것)
    ③ 主体が客体を包含した状態になること。(주체(주어)는 객체(목적어)를 포함한 상태에 있을 것)
    2. 본 연구의 주장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반화Ⅱ>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제시했으며, 이들 구문을 「場所名詞句를 主題化한 構文(<類型Ⅰ>과 <類型Ⅱ>)」으로 일반화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이 그 성립조건을 일반화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類型Ⅰ>및 <類型Ⅱ>의 구문유형과 그 성립조건

    <類型Ⅰ>의 構文:「場所名詞句(に)は→VN(Verbal Noun)が→されている(「→」는 논항의 순서를 나타냄」
    (예2) 館は いたるところに 彫刻がほどこされ、思い切った内装がされていた。(毎日991001)
    (예3) 実はあの写真額には、彩色が施されているのである。普通の印画紙の上から、一分の隙もなく、油絵の具で彩色がされている。(毎日000804)
    (예4) (日本(で)は)戦争への道を歩む中でどんな教育がされていたか知ってほしい。(毎日000803)
    <類型Ⅰ>의 成立条件:
    <類型Ⅰ>에 속하는 구문은, 「動作主が→場所名詞句に→VN(Verbal Noun)をする(している)」와 같은 능동문에 대해서, 動作主의 背景化(=場所名詞句를 주제화)한 수동문의 한 종류이다.

    <類型Ⅱ>의 構文:「他動詞+シテイル」형태의 構文(특히,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變化의 結果繼續을 나타내는 構文) 가운데, 「主体 名詞句의 변화의 결과계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구문유형에 대해서도 「場所名詞句 主題化 構文」으로 統一的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예5) 一方のトラックは砂をいっぱい積んでいる。(工藤(1982)에서 인용)
    (예6) 砂漠の夕やみに立つピラミッドは神秘的な静けさをたたえていた。(安平鎬(2007))
      →(예6)은 발생에 의한 변화를 나타내는 타동사 구문
     (예7) 私は空襲で家を焼いている。(天野(1987)에서 「状態変化主体の他動詞文」이라고 부르는 구문)
      →(예7)의 「私」에 관해서도, 経験의 所在(즉 본 연구에서 場所名詞句로 부르는 장소의 하나)로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類型Ⅱ>의 成立條件:基本的으로는 <類型Ⅰ>과 동일하다.

    2. 활용방안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심화하여 한, 일 양언어에 관한 시간표현에 관한 일반화를 추구해 나갈 예정이다.
  • 색인어
  • 현대일본어, 아스펙트(Aspect), 이행현상(Transitive Phenomenon), 주제화(Topicalaz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