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28&local_id=10017631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클라이언트 폭력 연구: 아동보호서비스 현장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클라이언트 폭력 연구: 아동보호서비스 현장을 중심으로 | 2007 년 | 신준섭(건국대학교 GLOCAL& #40;글로컬& #41;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0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2월 1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활동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아동보호서비스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아동의 부모 및 보호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와 폭력의 부정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전국 43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근무하는 207명의 종사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는 2007년 한 해의 경우 아동의 부모와 보호자에 의한 폭력 경험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2.8%(n=130)로 나타나 다른 서비스 영역의 종사자와 유사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은 현장실무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종사자에게 좀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폭력을 경험한 종사자는 불쾌감, 지침, 소진, 당황 등과 같은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어려움은 여성 응답자에게서 좀 더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폭력 경험은 응답자의 업무관련 요인인 직무만족, 조직 헌신 및 이직 의도에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영문
  •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may imped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negative effects of client violence among child protection workers. A national sample of 207 child protection workers participated to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62.8%(n=130)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violence by children's parents or other guardians in the year of 2007. This prevalence was similar level to that of other service fields. However, perception about client violence of the respondents was more serious than workers in other fields.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ent violence showed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ngry, burnout, frustrated. This emotional reaction impacted more on woman respondents. This study further found that client viol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uch work-related variables as worke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활동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아동보호서비스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아동의 부모 및 보호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와 폭력의 부정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전국 43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근무하는 207명의 종사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는 2007년 한 해의 경우 아동의 부모와 보호자에 의한 폭력 경험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2.8%(n=130)로 나타나 다른 서비스 영역의 종사자와 유사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은 현장실무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종사자에게 좀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폭력을 경험한 종사자는 불쾌감, 지침, 소진, 당황 등과 같은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어려움은 여성 응답자에게서 좀 더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폭력 경험은 응답자의 업무관련 요인인 직무만족, 조직 헌신 및 이직 의도에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다양하다. 통상적인 원조자의 역할과는 다소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도 많다. 한 예로, 사회복지사가 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한 학대사실을 조사,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사적인 가정의 울타리에서 벌어진 일 또는 사건에 대한 공권력 개입의 대행자가 된다. 본 연구에서 다룬 아동의 부모나 보호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폭력 역시 이 같은 사회복지사의 본질적인 업무 특성에서 기인하는 현상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폭력이 아동보호서비스 종사자의 업무 특성상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이 문제로 인해 종사자들이 자신들의 업무의 안전성을 확신하지 못하는 수준이라면, 이는 시급한 대처의 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현상으로 규정해야 한다. 즉 클라이언트 폭력 문제를 업무 특성 상 발생하는 단편적인 문제현상으로 보기보다는 아동보호서비스의 업무효과를 높이기 위한 핵심적인 요인의 하나로 새롭게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아동보호서비스 현장의 클라이언트 폭력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또 폭력 발생 후 생기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향후 활발히 개진되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클라이언트 폭력, 아동보호전문기관, 직무만족, 조직 헌신, 이직 의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