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33&local_id=10015047
과제 중심 요구 분석 연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말하기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과제 중심 요구 분석 연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말하기를 중심으로 | 2007 년 | 김영규(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64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이공계 전공의 중국인 학습자 90명을 대상으로 한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교육을 위한 과제중심 요구분석이다. 요구분석이란 다양한 자료 수집 도구(예를 들면 설문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제공원(예를 들면 한국어 학습자)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의 목적과 이유, 현재의 한국어 능력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과제중심 요구분석은 학습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교실 밖에서 궁극적으로 어떤 일(즉 과제)를 수행하게 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조사는 학습자들이 대학 학업 수행에서 접하는 개별 과제의 필요성(즉, 해당 과제가 필요한가 ), 어려움(즉, 해당 과제가 어려운가 ) 및 중요성(즉, 해당 과제가 필요한가 )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리커트식 척도(Likert-type scale)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과제의 필요성, 어려움 및 중요성 인식 정도를 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하여 강의 교수자 입장에서 바라본 바를 알아보았다.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교사와 전공 교수에게, 전공 교수는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점을 개방형 질문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에게 직접 일반목적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교육용 과제(즉, 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수행하는 과제) 선정과 교재 개발에 따른 의견을 알아보고 결과 분석에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하기’ 과제에 대한 필요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한국어 학습기간, 학문목적 말하기 학습 경험에 따라 개별 과제의 필요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교수 연구실을 방문하여 질문이나 상담하기’ 과제가 중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렵다고 여기는 목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학습기간,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학습 경험 유무, 수강한 과목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목표 과제로는 ‘정확히 발음하기’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학습 경험 유무에 따라서 중요성 인식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4) 한국어 교사는 질문지에 제시된 교육용 과제 대부분에 대해서 높은 필요성을 나타내었고, 다양한 강의 방식 청취ㆍ담화 표지 말하기 교육이 포함된 교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희망 전공과 한국어 교사의 전공간의 불일치로 인해 전공 어휘 설명과 진로 상담 부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5) 전공 교수들은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하기’에 대한 과제의 필요도 인식이 가장 높게 측정되어, 학습자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과제를 학습자들이 어려워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정확히 발음하기’를 제외한 목표 과제들에 대해 중요성 인식 정도가 높게 산출되어 학습자들과는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대학 진학 전 충분한 한국어 실력이 요구된다는 공통적인 의견도 보였다.

    본 연구는 추후 중국인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과제 중심 듣기ㆍ말하기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켜 그들의 대학 학업 성취도 향상을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reports a needs analysis of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ereafter abbreviated as KAP).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Chinese KAP learners (n = 90) to elicit their perception of the necessity, difficulty and importance of KAP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These learners's needs, once identified, we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e perspectives of content faculty (n = 3) and Korean language faculty (n = 1). An open-ended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such questions as what content and Korean language faculty deem necessary for their learners and whether selection and materials development of pedagogic tasks for academic listening and speaking are needed.

    The results indicate: (1) There was a great need for a task of "instructors asking questions to students", which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prior experience of learning KAP speaking; (2) The most difficult task was "visiting an instructor's office to ask questions or have an advising session" which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prior experience of learning KAP listening and speaking, and courses taken; (3) A task of "pronouncing accurately" was rated to be the most important, which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ior experience of learning KAP listening and speaking; (4) The Korean language teacher showed a great need for pedagogic tasks and asked for provision of a variety of lecture listening and instru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particular this teacher expressed difficulty due to a lack of match between her major and her students' major; and (5) Both content faculty and KAP learners showed an identical result as regards the degree of their perception of task necessity, and they felt most of the target tasks to be diffic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baseline data, to designing and developing task-based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a and materials for Chinese KAP learners in the future and ultimately to facilitating improv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medium colle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문목적 한국어 듣기ㆍ말하기 교육을 위한 과제 단위 요구분석이다. 중국인 학습자의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과제의 필요성, 어려움,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 질문지법을 활용하였고, 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도를 전공 교수의 입장에서 바라본 의견을 알아보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는 한국어 교사와 전공 교수에게, 전공 교수는 학습자에게 각각 요구하는 바를 개방형 질문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교육용 과제 선정의 필요성과 교재 개발에 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높은 필요도의 과제는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하기’로 나타났고, 한국어 학습기간, 학문목적 말하기 학습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가장 어려워하는 목표 과제는 ‘교수 연구실을 방문하여 질문이나 상담하기’로 나타났고, 한국어 학습기간,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학습 경험, 수강한 과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정확히 발음하기’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목표 과제로 분석되었으며,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학습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4) 한국어 교사는 교육용 과제에 대한 높은 필요도를 보였고, 다양한 강의 방식 듣기와 담화표지 교육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특히, 교사의 전공과 학습자의 희망 전공 불일치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5) 과제의 필요성 인식 정도에서 전공 교수와 학습자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목표 과제를 어려워한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정확히 발음하기’ 외의 과제가 중요하다고 응답해 학습자들과 상반된 의견을 보였고, 대학 진학 전 충분한 한국어 실력을 요구하고 있는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본 연구는 추후 중국인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과제 중심 듣기ㆍ말하기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대학 학업 성취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이공계 전공의 중국인 학습자 90명을 대상으로 한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교육을 위한 과제중심 요구분석이다. 본 조사는 학습자들이 대학 학업 수행에서 접하는 개별 과제의 필요성, 어려움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리커트식 척도(Likert-type scale)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과제의 필요성, 어려움 및 중요성 인식 정도를 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하여 강의 교수자 입장에서 바라본 바를 알아보았다.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교사와 전공 교수에게, 전공 교수는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점을 개방형 질문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에게 직접 일반목적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교육용 과제(pedagogic task) 선정과 교재 개발에 따른 의견을 알아보고 결과 분석에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하기’ 과제에 대한 필요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한국어 학습기간, 학문목적 말하기 학습 경험에 따라 개별 과제의 필요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교수 연구실을 방문하여 질문이나 상담하기’ 과제가 중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렵다고 여기는 목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학습기간,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학습 경험 유무, 수강한 과목 종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목표 과제로는 ‘정확히 발음하기’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학습 경험 유무에 따라서 중요성 인식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4) 한국어 교사는 질문지에 제시된 교육용 과제 대부분에 대해서 높은 필요성을 나타내었고, 다양한 강의 방식 청취ㆍ담화 표지 말하기 교육이 포함된 교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희망 전공과 한국어 교사의 전공간의 불일치로 인해 전공 어휘 설명과 진로 상담 부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5) 전공 교수들은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하기’에 대한 과제의 필요도 인식이 가장 높게 측정되어, 학습자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과제를 학습자들이 어려워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정확히 발음하기’를 제외한 목표 과제들에 대해 중요성 인식 정도가 높게 산출되어 학습자들과는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대학 진학 전 충분한 한국어 실력이 요구된다는 공통적인 의견도 보였다.

    본 연구는 추후 중국인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과제 중심 듣기ㆍ말하기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켜 그들의 대학 학업 성취도 향상을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학문목적 한국어(Korean for Academic Purposes), 학문목적 듣기ㆍ말하기(Listening &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Chinese Learners of Korean), 학문목적 요구분석(Needs Analysis for Academic Purposes), 목표 과제(Target Task), 교육용 과제(Pedagogic Task), 과제중심 요구분석(Task-Based Needs Analysi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