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50&local_id=10014150
자유어순에서의 길이와 방향 문제: 코퍼스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자유어순에서의 길이와 방향 문제: 코퍼스 연구 | 2007 년 | 최혜원(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4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세종 말뭉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어 어순, 특히 이중 목적어 구문의 어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밝히고 그 구체적 효과와 방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논항의 길이가 어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어나 다른 언어와는 달리 그 방향이 정반대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즉, 한국어에서는 길이가 긴 논항이 문장의 끝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앞쪽으로 간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논항의 구정보냐 신정보냐에 따라 어순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정보구조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이점은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서 구정보를 지닌 논항이 신정보를 지닌 논항보다 문장 앞에 놓이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어 어순에서 문법적 무게와 정보 구조가 둘다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다소 놀라운 결과이다. 왜냐하면 두 요인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이 두 요인은 하나로 융합하여 설명할 수 없고 각자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반증이 되기도 한다. 한편, 인도 유럽어 와는 달리 생물성이나 대명사성은 어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심리언어학 이론에서 주장하던 논항의 복잡성 및 정보구조와 언어처리 및 발화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에 매우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는 증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This corpus study has explored factors that can influence word order in Korean, especially in dative construction, using corpus data from Sejong Modern Korean Corpus. First of all, it has shown grammatical weight is an important factor on ordering alternation and that contrary to many other languages, it influences order to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long precedes the short. Additionally, this study has shown that information structure is another major factor that influences ordering alternations. It has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given information precedes new information in Korean as in other languages. The analysis of the corpus data shows that the 'given before new (GN)' order is much more preferred than the 'new before given (NG)' order. A more careful study is certainly needed to explore how exactly length and information structure interact because the two seem to exert opposite pushes to word order. The fact that the two opposite factors are both effective implies that neither factor can be subsumed to the other and both are independent factors. Meanwhile, animacy and pronominality have been concluded not to affect the word order greatly, especially due to the small number of tokens in question. I hope that a future study with a statistical method will uncover their true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raises an important question for the language processing/production-based explanations of the effects of grammatical weight and information structure on word order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d order alternation between dative (-eykey/hanthey) and accusative (-ul/lul) arguments in dative construction of Korean, using data from Sejong Modern Korean Corpus. First of all, it examines the grammatical weight or length effect on word order and proves that long and heavy arguments precede short and light ones in Korean. This is an instresting case in word order studies because the lengh effect is opposite in many other langauges: long and heavy follows short and light. In addition to the grammatical weight factor,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ormational structure (i.e., effect of discourse givenness or newness) is another important factor on word ordering. This corpus study verifies that given information comes before new information in Korean as in many other languages, by showing that the 'given before new (GN)' order is much more preferred (5 times more frequent) than the 'new before given (NG)' order. It also shows that the scrambled AD order has distinct informational patterns from the canonical DA order, which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with the length effect.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animacy and pronominality do not play major roles in Korean ordering in comparison to English.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어 말뭉치 언어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여격 논항과 목적격 논항 사이의 길이 차이, 각 논항의 정보구조, 생물성, 대명사성이 두 논항의 어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연구 결과, 논항의 길이와 논항의 정보 구조가 어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논항의 길이는 영어를 비롯한 많은 다른 언어에서와는 달리 긴 논항이 문장의 앞부분에 놓이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어가 전체 어순 연구에 중요한 경험적 가치를 가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이론에 중대한 수정이 불가결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정보 구조 요인이 한국어 어순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은 논항의 길이만으로 어순을 설명할 수 있다는 기존의 이론을 반박하는 증거가 될 뿐만 아니라 전체 어순 연구에서 논항의 길이와 정보 구조가 하나로 설명될 수 없는 독립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다. 생물성과 대명사성은 영어 어순에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나 한국어 어순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격 논항 보다는 목적격 논항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판단은 추후 통계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언어 전반의 어순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앞으로의 어순 연구 및 심리언어학 이론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말뭉치 데이터의 활용 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고 생각한다. 계량적 어휘 분석이나 연어 연구에 주로 사용되었던 말뭉치 데이터를 논항의 길이, 구/신 정보, 생물성, 대명사성 등 다양한 통사적/의미적/화용적 자질에 대한 코딩을 시도하여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고 평가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도 말뭉치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용으로 언어학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information structure, grammatical weight, length, dative construction, word order, corpus, givenness (given), newness (new), dative construc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