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51&local_id=10020447
통시적 언어변화와 화자의 선택 -불가리아어 vrâx-vârxove형태의 불투명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통시적 언어변화와 화자의 선택 -불가리아어 vrâx-vârxove형태의 불투명성 분석을 중심으로- | 2007 년 | 김원회(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4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불가리아어에서 "정상, 꼭대기"를 의미하는 남성형 명사는 връх(vrâx)이다. 단음절 명사로서 음절 구조는 CCVC(여기에서 C는 자음을, V는 모음을 지칭한다)를 띠고 있다. 그런데 이 단어가 복수형이 되면 върхове(vârxove)가 된다. 단음절 남성 명사에 붙는 복수형 어미 -ове가 붙으면 단어의 음절 구조가 CVCC-VCV로 변하는 것이다. 형태적 동질성을 유지하면서 화행과정에서 청자에게 올바른 의미전달이 되어야 하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이것은 매우 주목해야 하는 변화임에 틀림이 없다. 본 논문은 불가리아어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현상을 공시적 그리고 통시적 변화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 연구 논문이다.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위 현상은 두 가지 음운적 현상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첫 번째로 음절 내 위치 전이(Metathesis)로 볼 수 있다. връх - върхове 사이에 변화를 보면 유음과 모음의 음절 구조가 모음과 유음의 음절 구조로 바뀌었다. 두 번째 해석은 모음 삽입(Epenthesis)으로 보는 경우이다. 이러한 해석은 역사언어학적으로 슬라브어에 존재하였던 성음절적 유음을 근거로 후설 중위모음인 [ъ]가 유음 전후에 삽입된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의견이 대립되고 있는 불가리아어의 връх - върхове 현상은 과연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 번째 목적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връх - върхове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음성-음운적 동인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본론의 전반부에서는 기존의 서구와 불가리아에서의 연구를 섭렵하고, 그 대안적 연구 방법을 모색하였다. 결론부터 먼저 밝히면, 본 연구자가 찾은 그 대안적 해석 모델은 Clements(1990)가 제안한 공명도 분산원리(Sonority Dispersion Principle)와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의 기저형 탐색이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 위의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 위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실제적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낸 학술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불가리아어에서 나타나는 връх - върхове 현상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장-단점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고, 그 위에서 위 현상에 대한 언어학적 재해석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음성-음운적 동인으로 위의 현상이 발현된다면 필자의 선행연구(2007)와 합쳐져 불가리아어가 형태적 동인보다는 음성-음운적 동인이 더 중요시 되는 언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언어적 모태를 갖는 다른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연구는 논문의 학술적 가치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본론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루어 지고 있다.
  • 영문
  • Diachronic phonological change and their speaker

    Kim, Wonhoi (HUFS)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word forms "връх - върхове", which mean the peak in Bulgarian language. As we can see above, връх(singular form) changes his own syllabic structure in върхове(plural form). To explain this phenomenon, the author surveys the already researched data in the chapter 2. In the chapter 3, 4, the author uses the Clements' theory "Sonority Dispersion Principle", Bulgarian dialect situation and historical linguistic methods for research. The change "връх - върхове" is not for the speaker's convenience from the phonetic view point. Because the syllabic structure OLV is more easy to pronounce than VLO structure. Second,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syllabic liquid 'r, l' in the old slavic language and it's syllabic restructur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Diachronic phonological change and their speaker

    Kim, Wonhoi (HUFS)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word forms "връх - върхове", which mean the peak in Bulgarian language. As we can see above, връх(singular form) changes his own syllabic structure in върхове(plural form). To explain this phenomenon, the author surveys the already researched data in the chapter 2. In the chapter 3, 4, the author uses the Clements' theory "Sonority Dispersion Principle", Bulgarian dialect situation and historical linguistic methods for research. The change "връх - върхове" is not for the speaker's convenience from the phonetic view point. Because the syllabic structure OLV is more easy to pronounce than VLO structure. Second,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syllabic liquid 'r, l' in the old slavic language and it's syllabic restructuring.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희귀 학문분야이며 소외된 학문분야에 해당한다. 우선 불가리아어 음운론은 불가리아어 자체에 대한 연구가 일천한 국내에서 희귀분야임이 자명하다. 슬라브어 중에서 유일하게 분석적 언어구조를 가지면서 발칸언어적인 속성을 보이는 불가리아어는 그 언어적 가치가 매우 큼이 이미 세계 언어학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의 일천한 연구 역사와 제약으로 그동안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남슬라브 언어나 발칸언어 연구의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며, 향후 이 분야의 지속적 연구에 기반이 될 것이다.

    1.1 학문적 기대 효과
    ▸ 불가리아어의 음성, 음운적 특성을 심도 있게 연구한 학술연구로서 개별 언어의 분절음의 특성, 음절 구조, 공명도와의 상호 관계, 역사적 연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언어 내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분법적인 관점으로 언어 일반에 대한 연구와 기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연구 기반 조성도 포함).
    ▸ 불가리아어 음절 구조에서 나타나는 음성,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을 불투명성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한 학술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에 존재하던 단일 음절 내 위치전이와 음 삽입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1.2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기대 효과

    ▸ 불가리아어 학습과 슬라브어 비교 언어학적 측면의 외국어 학습 자료 및 방법 제시
    슬라브어 학습 시에 가장 중요시되는 측면이 역사적 슬라브어 변화를 학습하는 것이고 다음으로 인접 슬라브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학습모형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불가리아어라는 동일 슬라브어 계열 내에서의 비교 연구이므로 연구의 결과물을 슬라브어 비교 학습 모델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한국어와 불가리아어의 비교 학습 모델 제공
    한국어 화자들이 불가리아어를 읽고 들을 때, 혹은 불가리아어를 발음하고 학습할 때 어떠한 점을 어려워하고 그 어려움은 어디에서 기인하는 가라는 문제를 본 연구는 해결해 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와 불가리아어의 비교 학습 모델로 응용될 수 있으며 외국어 학습의 효율성을 상당부분 증대시킬 수 있다.
    ▸ 대학원 강의에서 활용
    본 연구와 관련된 교과목이 대학원에서 지속적으로 개설되고 있음을 직시할 때 본 연구의 효과는 자명하다. 유사한 과목으로는 슬라브어 음성-음운론, 역사비교언어학, 공통슬라브어, 고대교회슬라브어들이다. 위 연구 결과는 이들 교과목에서 주요한 연구 의제가 될 것이며, 관련 논문과 서적 출판에도 학문적 근간이 될 것이다.

    1.3 사회적 기대 효과

    ▸ 언어학(인문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역설
    본 연구는 이론적 설명과 실질적 응용 가능성을 담보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연구가 될 것이다. 언어라는 특히 음성, 음운 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인간 본질에 대해 연구하고(인문학) 그것을 바탕으로 인문학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할 것이다.
  • 색인어
  • 역사언어학, 언어변화, 불가리아어, 위치전이, 음삽입, 성음절적 공명음, 공명도 Keyword: Historical Linguistics, Language Change, Bulgarian, Metathesis, Epenthesis, Syllabic Sonorant, Sonori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