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54&local_id=10015111
『東語初階』의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東語初階』의 연구 | 2007 년 | 이강민(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8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1905년에 일본에서 제작된 한국어 중역『東語初階』의 성립 배경과 언어자료로서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준비된 것이다.
    조사의 결과, 본서는 1902년에 타이완 주민의 일본어학습을 위해 제작된 초간본『東語初階』를 한국어로 중역하여 이것을 한국인의 일본어학습에 활용함과 동시에 일본인의 한국어 학습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간행한 책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서의 간행에는 일본근대교육의 개척자로서 알려진 이자와 슈지(伊澤修二)가 깊이 관련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타이완의 일본어 교육에 힘을 쏟은 것으로 알려진 그가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도 관계하고 있었음을 본서를 통해 밝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과 관련하여 본서의 체재는 당시의 한국어 학습서류나 소학독본류에서는 볼 수 없는 문형 중심이 본문 구성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로서는 시대를 앞서가는 선견적인 일본어 학습방법이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본서의 일본어에는 2단활용의 1단화나 ハ行5단동사의 促音便化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 당시의 한국어 학습서에 비해서는 비교적 일본어의 규범성이 지켜지고 있었던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체로서는 메이지(明治) 후기의 언어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근대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서의 한국어에는 일본어에 대한 대역이나 주석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한국고유의 한자어가 散見되어 나름대로의 근대 어휘사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paper was written unde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as linguistic data, of the main edition of Togoshokai(東語初階), published in Japan, 1905.
    It was found out that the first edition of Togoshokai(東語初階) was originally printed in 1902 for Taiwanese inhabitant Japanese language study, and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published for Japanese study of Korean people. Shuji Izawa(伊澤修二), appeared as a pioneer of Japanese modern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which explicates that he emerged as deeply involv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facts, it is noticeable that the system of this book focuses on sentence patterns based textual structures unlike other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time, and this is thought to represent a Japanese language pedagogy that was very advanced in time.
    Japanese language in this book is highly normative, compared to other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time. However, it is valued as having very precious datum for modern Japanese language research as it reflects the linguistic reality f the late 19th century.
    We may thus conclude that the Korean language in this book also provides very valuable information for modern linguistic history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논문은 1905년에 일본에서 제작된 한국어 중역『東語初階』의 성립 배경과 언어자료로서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준비된 것이다.
    조사의 결과, 본서는 1902년에 타이완 주민의 일본어학습을 위해 제작된 초간본『東語初階』를 한국어로 중역하여 이것을 한국인의 일본어학습에 활용함과 동시에 일본인의 한국어 학습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간행한 책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서의 간행에는 일본근대교육의 개척자로서 알려진 이자와 슈지(伊澤修二)가 깊이 관련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타이완의 일본어 교육에 힘을 쏟은 것으로 알려진 그가 한국의 일본어 교육에도 관계하고 있었음을 본서를 통해 밝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과 관련하여 본서의 체재는 당시의 한국어 학습서류나 소학독본류에서는 볼 수 없는 문형 중심이 본문 구성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로서는 시대를 앞서가는 선견적인 일본어 학습방법이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본서의 일본어에는 2단활용의 1단화나 ハ行5단동사의 促音便化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 당시의 한국어 학습서에 비해서는 비교적 일본어의 규범성이 지켜지고 있었던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체로서는 메이지(明治) 후기의 언어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근대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서의 한국어에는 일본어에 대한 대역이나 주석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한국고유의 한자어가 散見되어 나름대로의 근대 어휘사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근대 초기의 한국과 관련된 일본어 문헌자료를 새롭게 발굴하여 근대 일본어 연구자료로 정위시킴으로써 일본어 연구에 한국관련 문헌자료의 위상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근대 초기의 한국과 관련된 일본어 문헌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작업은 근대 한국어 연구자료의 발굴과 정리 작업에도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한일 양국의 언어사 분야뿐만 아니라 근대사 연구에도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타이완의 일본어 교육이 한국에도 이식되게 된 시대적 배경의 존재는 언어 연구와 근대사 연구를 접목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학제적 연구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동어초계, 개화기, 일본어학습서, 한국어학습서, 근대일본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