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94&local_id=10009975
범언어적 문법화 관점에서 본 도구격 표지의 인지의미적 표상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범언어적 문법화 관점에서 본 도구격 표지의 인지의미적 표상 | 2007 년 | 이성하(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49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2월 1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교착, 고립, 굴절의 세 가지 언어유형군에 속하는 6개 언어에서 도구격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문법화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따르면 도구격 개념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문법화의 근원개념으로 사용되는 어휘소들은 4가지 스키마, 즉 행위스키마 (action schema), 이동스키마 (movement schema), 경로스키마 (path schema), 결합스키마 (association schema)임이 밝혀졌다. 도구격의 문법화와 관련한 유형론적 일반화로서는, 교착어의 경우 이미 문법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으므로 어휘적 불투명성 (lexical opacity)가 매우 높으며, 굴절어의 경우 문법화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어휘적 투명성이 아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아직도 근원어와 동일한 형태로 남아 있어 때로는 문법소와 근원어휘가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를 보이는 고립어의 경우와 잘 대조된다. 즉, 어휘적 불투명성의 측면에서 보면 교착어가 가장 덜 보수적인 언어유형에 속하며, 고립어가 가장 보수적인 언어유형에 속하고, 굴절어가 이 두 가지 언어유형의 중간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유형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 6개 언어는 문법화의 어원 및 발달 경로 등에서 공통점들이 있으며 이러한 공통점들이 가지는 언어학적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 영문
  • This research looks at six languages in three typologically-different language groups: agglutinating, isolating, and inflectional language group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rammaticalization patterns of their grammatical devices marking the notion of instrumentality. A survey shows that the most frequently exploited known sources of instrumentals comprise four major semantic schemata: the action schema, the motion schema, the path schema, the association schema. In terms of typological generalization as to the grammaticalization patterns of instrumentals, the subject languages in agglutinating languages have the markers whose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have already proceeded considerably and thu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lexical opacity, whereas the two languages in the inflectional languages have highly grammaticalized instrumentals that nonetheless have a high level of lexical transparency. This state of affairs contrasts with the isolating languages where the instrumentals still bear similarities with, and sometimes are even indistinguishable from, their lexical counterparts. The differing degrees of lexical opacity have to do with the typological differences in that isolating languages are most conservative in formal changes (and thus in semantic transparency); agglutinating languages are least conservative; and the inflectional languages are in between these two polar extremes forming a continuum. This paper identifies the roles of typological characteristics in producing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grammaticalization of instrumental marker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research looks at six languages in three typologically-different language groups: agglutinating, isolating, and inflectional language group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rammaticalization patterns of their grammatical devices marking the notion of instrumentality. A survey shows that the most frequently exploited known sources of instrumentals comprise four major semantic schemata: the action schema, the motion schema, the path schema, the association schema. In terms of typological generalization as to the grammaticalization patterns of instrumentals, the subject languages in agglutinating languages have the markers whose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have already proceeded considerably and thu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lexical opacity, whereas the two languages in the inflectional languages have highly grammaticalized instrumentals that nonetheless have a high level of lexical transparency. This state of affairs contrasts with the isolating languages where the instrumentals still bear similarities with, and sometimes are even indistinguishable from, their lexical counterparts. The differing degrees of lexical opacity have to do with the typological differences in that isolating languages are most conservative in formal changes (and thus in semantic transparency); agglutinating languages are least conservative; and the inflectional languages are in between these two polar extremes forming a continuum. This paper identifies the roles of typological characteristics in producing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grammaticalization of instrumental marker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3 가지의 언어유형 (고립, 굴절, 교착)에 속하는 6개 언어를 대상으로 문법적인 개념으로서의 '도구격'이 어떻게 실현되며 인지의미적으로 어떻게 동기화되어 있는지를 탐색한 논문으로서, 이 연구에서 파악된 언어현상이 다른 언어들에도 적용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분석대상 언어를 확대하고, 분석대상 형태소들을 추가하여 도구격의 성격을 규명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색인어
  • instrumental, cognitive-semantic representation, language typology, grammaticaliz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