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299&local_id=10019892
일본상대문학에 나타난 「天」觀念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본상대문학에 나타난 「天」觀念 | 2007 년 | 강미나(동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0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일본에서 거의 死語化된 ‘天’이란 표현은 일본인 사고형성 및 그 문화의 일단을 엿볼 수 있는 주요한 키워드라는 것에 착안, 상대시대의 문헌 『萬葉集』과 『古事記』․『日本書紀』․『風土記』 속에서 양상과 원류를 찾아보고 결과의 전개를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天이 신화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고지키』는 ‘高天原’ ‘葦原中國’ ‘黃泉國’의 3개의 세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天地가 처음 나누어진 후 여러 신들이 탄생하고 활동하는 주거지가 바로 ‘다카마노하라’ 천계다. 이어서 伊邪那岐神과 伊邪那美神이 하늘다리에서 바다를 저어 창끝에서 떨어진 소금에 의해서 생겨난 섬이 일본의 현 국토 ‘아시하라나카츠쿠니’다. 이후 수많은 신을 창조하나 마침내, 불신을 출산한 이자나미는 죽음을 맞고 요미노쿠니로 간다. 이곳을 방문한 이자나기는 결재를 통해서 3신, 즉 天照大御神, 月讀命, 建速須佐之男命를 낳는다. 이자나기에 의해서 쓰키요미는 밤의 나라, 스사노오는 海原, 아마테라스는 天上國인 다카마노하라를 다스리게 된다.

    한편, 『니혼쇼키』는 고지키와 그 내용을 달리한다. 근래의 연구로 니혼쇼키의 세계관으로 일괄 인식되었던 ‘다카마노하라’는 고지키의 세계관일 뿐이고 니혼쇼키의 세계관이 아니라는 것이 논증되었다. 곧 니혼쇼키는 아시하라나카츠쿠니와 根國를 타계로 그리고 있다. 그러나 니혼쇼키의 모두에 나타나 있는 신화의 세계는 고사기와 같은 성격을 띄고 있으며 天이란, 기키의 천상신들이 활동하는 공간을 의미하고, 이는 중국고대 한족신화의 세계 곧 천지를 지탱했던 반고신화의 세계와 같다.

    사서로서 취급되는 기키와는 색다른 시가집 『만요슈』의 ‘천’용례를 보면, 기키후도키 등의 문헌과 공통된 어휘, 만요독자적인 가어, 만요 초출 가어로 그 특징을 분류할 수 있고 의미는 ①신화의 세계 ②하늘에 속한사물의 수식 ③천황 및 왕족 찬미의 뜻이다. 나아가 ‘天’표현은 만요슈에서는 한정된 작가 즉, 人麻呂․赤人․福麿 등의 궁정가인과 히토마로의 공적표현을 답습한 憶良와 家持 등, 히토마로를 근간으로 하는 궁정찬가 또는 이에 준하는 장가에 등장하며 이들 작가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天’표현은 만요 궁정찬가에서 현저하게 발달한 표현이다. 궁정찬가는 기키가요에도 있어 그 표현형식이나 용어가 만요歌에 계승되었지만, ‘천’표현으로 읊어지는 궁정찬가는 기키가요에서 그 양상을 볼 수 없는 미발달된 상태를 보여준다.

    나아가 지방지리서의 후도키의 특징은, 기키에서는 천신들의 활동무대가 천상계인 것과는 달리 후도키의 천신들은 대부분이 하강하여 아시하라나카츠쿠니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주요 천신들이 대부분 산이나 바다로 강림하여 지상에 정착한 모습으로서 인간과 교류한다. 그래서 천지, 일월이란 天은 영구히 변하지 않는 불변함을 나타낼 뿐이고, 天에 대한 숭경 따위는 그려져 있지 않았다. 기키의 이상향인 도코요조차 히타치지방이라는 구체적인 이름으로 비유되어 있다. 이렇듯이 후도키 사람들은 하늘을 우러러 기도하는 모습이 아니라 하강한 신들이 사는 산이나 바다를 대상으로 기도하거나 점을 치는 모습이 만요슈와 공통된다.

    이상 ‘천’관념을 쫓아 상대문헌을 살펴본 결과, 일본의 天하 이미 상대시대에 하강해 버린 대상으로 사람들의 기원의 대상이 아니었다. 즉 일본인들은 멀리 떨어진 하늘의 관념적인 신보다는 보다 더 현실적이고 시각적인 가까운 곳에서 신을 찾고자 한 것이 잘 드러나 있다. 궁극적으로 관념적인 사고가 발달하지 않은 그 원인, 즉 다카마노하라 및 天界를 배제하게 된 원인은 섬나라라는 지형적 특성이 작용하였고 더불어서 다발한 천재지변으로 인해 형성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天’권능을 천황이 이어받았기 때문으로 이후 이에 대한 연구는 천황제와 맞물려 금기시 되게 된다. 이러한 일본인의 특성은, 이후 중고시대의 신불습합의 발상과 타국의 부처․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일본의 신으로 나타났다고 하는 神佛同體說의 本地垂迹說과 같은 종교현상을 초래하게 되어 일본문화의 한 특성으로 자리하게 되었다고 본다.
  • 영문
  •  The Japanese Heaven is converted to obsolete language almost. But, one side of thought formation and culture of the Japanese can be inferred with this phenomenon. Thereupon, I tried to search the appearance with Man'yōshū, Kojiki, Nihon Shoki and Fudoki of the ancient documents as the center.
    First, Kojiki is formed with three Weltanschauung of Takamagahara, Ashihara no Nakatsukuni and Yominokuni. Takamagahara is the dwelling place of the Kami of heaven were born and their field of activity. The continuously, Ashihara no Nakatsukuni were made the present Japanese by the Izanagi and Izanami. But, Nihon Shoki has differ content with Kojiki. Recent research insist that `Takamagahara' is only the world of Kojiki. Therefore, Nihon Shoki's other world is Ashihara no Nakatsukuni and Ne noKuni. But, God of the mythical world of Kiki(記紀:Kojiki and Nihon Shoki) commonly have the heaven as field of activity. Namely, the heaven of kiki is a dwelling site of heavens God. This is the world of Han Chinese myth of China's ancient times. Namely, it is the same as the world of the Bango myth which lifted up heaven and earth.
    Poetry collection Man'yōshū differs whit kiki which is the history book. I will show the example of the Heaven use. It is classified into three. In addition, heaven's expression became the poem by only some writer who is limited. Namely, it is the poet in the shrine garden of person Hitomaro, Akahito and Sakimaro etc. Then, there is Okura and Yakamochi which imitated the public expression of Hitomaro. It is the characteristic thing that the shrine garden praise poem which designates Hitomaro as foundation or concentrating on Choka which corresponds to this. Namely, It will be able to call Heaven expression which appears considerably with the poem that the shrine garden of Man'yō praise. In Kiki poems, shrine garden praise poem was succeed forms of expression or words to Man'yō. But, the poems of shrine garden praises show that it is not completed yet in Kiki poems.
    Next is Fudoki's special feature of local geography. In Kiki, the Tenzin's activity place is heavens. But, many Tenzin of Fudoki falls unlike this. And, their work on the Ashihara no Nakatsukuni which is the world of mortals. Most of them came down in the mountain and the ocean and exchanged with human as a settle down feature in the human place. And, heaven and earth and day month and the heaven are only displayed just the meaning of not changing permanently. Then, there isn't any appear of veneration about heaven. Even Tokoyo no kuni where is a Utopia of Kiki, it was compared to Hitachi no kuni as concrete mane. This way, the people of Fudoki prayed or were told their fortune in the mountain and the ocean where God's descent place not about heaven. This is the same thing with Man'yōshū.
    As examined ancient documents above. Japanese heaven was already fell in ancient, was stopped to being target of praying the people. Japanese wanted to search the God in more realistic and visual thing than the ideal God. This way, the cause of God or its thought was not being advanced seems the following way. First, the topographical quality that called island country was operated. Second, that was became realistic and visual by natural disaster occur frequently. Third, because the Emperor of Japan succeed to power of the Heaven. Then the after time, the investigation put under taboo with Emperor of Japan system. This quality of Japanese can be connected into the age from now on quality of this kind of Japanese. Namely, that is the Middle Ages's thinking of Shinbutsu shūgō and cult phenomenon like honji suijaku theory. Moreover, because this kind of recognition have taken one place as one thing of Japanese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일본의 ‘天’은 거의 死語化되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반대로 일본인 사고형성 및 문화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이에 상대시대의 문헌 『萬葉集』과 『古事記』․『日本書紀』․『風土記』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고지키』는 ‘高天原’ ‘葦原中國’ ‘黃泉國’의 3개의 세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天地의 여러 신들이 탄생하고 활동하는 주거지가 바로 ‘다카마노하라’ 천계다. 이어서 伊邪那岐神과 伊邪那美神에 의해 일본의 현 국토 ‘아시하라나카츠쿠니’가 만들어진다. 이후 불신을 출산한 이자나미는 사망하여 죽음의 나라 요미노쿠니로 간다. 이곳을 다녀간 이자나기는 결국 그 더러움을 덜기 위해 결재한다. 이를 통해서 3신, 天照大御神, 月讀命, 建速須佐之男命가 태어난다. 이자나기는 쓰키요미를 밤의 나라, 스사노오를 海原, 아마테라스는 天上國인 다카마노하라를 다스리게 한다. 이처럼 고지키의 天 은 신들의 주거지로서의 모습이다.
    한편, 『니혼쇼키』는 고지키와 그 내용을 달리한다. 근래의 연구는 ‘다카마노하라’는 고지키만의 세계관이라고 단정한다. 그러므로 니혼쇼키의 타계는 아시하라나카츠쿠니와 根國이다. 그러나 기키 신화 세계의 신들은 공통적으로 天을 그 활동무대로 한다. 이는 중국고대 한족신화의 세계 곧 천지를 지탱했던 반고신화의 세계와 같다.
    사서인 기키와는 색다른 시가집 『만요슈』의 ‘천’용례를 보자. 이에는 기키후도키 문헌과 공통된 어휘, 만요독자적인 가어, 만요 초출 가어로 분류된다. ‘天’표현의 의미는 ①신화의 세계 ②하늘에 속한 사물의 수식 ③천황 및 왕족 찬미의 뜻이다. 나아가 한정된 작가에 한에 노래된다. 즉, 人麻呂․赤人․福麿 등의 궁정가인이다. 이어 히토마로의 공적표현을 답습한 憶良와 家持 등이다. 이처럼 히토마로를 근간으로 하는 궁정찬가 또는 이에 준하는 장가에 집증해서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궁정찬가는 기키가요에도 있어 표현형식이나 용어가 만요歌에 계승된다. 그러나 기키가요에서는 미발달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天’표현은 만요 궁정찬가에서 현저하게 발달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지방지리서인 후도키이다. 기키에서 천신들의 활동무대가 천상계인 것과 달리 후도키의 천신들은 대부분이 하강한다. 그리고는 인간계인 아시하라나카츠쿠니에서 활동한다. 대부분 산이나 바다로 강림하여 지상에 정착한 모습이다. 그리고 인간과 교류한다. 天에 대한 숭경 따위는 그려져 있지 않았다. 기키의 이상향인 도코요조차 히타치지방이라는 구체적인 이름으로 비유되고 있다. 이렇듯 후도키 사람들은 天이 아닌 신들이 하강한 산이나 바다를 대상으로 기도하거나 점을 치는 모습이다. 이는 만요슈와 공통된 모습이다.
    이상 상대문헌을 검토한 결과 일본의 天은 이미 상대시대에 하강해버려 이미 사람들의 기원의 대상이 아니었다. 즉 일본인들은 관념적인 신보다는 보다 더 현실적이고 시각적인 곳에서 신을 찾고자 했다. 이처럼 관념적인 신 및 그 사고가 발달하지 않은 원인은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첫 째는 섬나라라는 지형적 특성에서이다. 둘째는 다발한 천재지변으로 현실적 시각적이 되었다. 세 번째는 ‘天’권능을 천황이 이어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후 天에 대한 연구는 천황제와 맞물려 금기시 된 것이다. 이러한 일본인의 특성은, 뒷시대로 이어진다. 곧 중고시대의 신불습합의 발상과 本地垂迹說과 같은 종교현상이 그러하다. 나아가 이런 인식은 그 뒤 일본문화의 한 특성으로 자리하게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1). 한중일 천관에 대한 사상적 시대 변천사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있다.
    2). 상대 문학에 나타난 일본인들의 천관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3). 중근세 문학 및 근현대 문학 이해의 기초가 된다.
    4). 천관에 대한 한중일의 차이를 알 수 있고 민족성을 유추할 수 있다.
    5). 일본천황제의 역할고찰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된다.
    5). 일본인의 천지인에 대한 의식의 근저를 알 수 있다.
    6), 철학 및 종교, 문학 연구의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7). 일본문화연구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8). 최종적으로는 ‘일본문화에서의 천관’이라는 제목 하에 서적으로 출판, 일본문화의
    교재로 사용할 수 있다.
    9). 한중일비교문학, 혹은 비교문화 연구의 토대가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 활용은, 학부 수업 및 대학원 수업의 교재로서 활용된다.
  • 색인어
  • 하늘, 천, 일본인의 영혼, 일본문학, 신화, 천사상, 동아시아의 인식, 운문문학, 산문문학, 아메, 아마, 이자나기 이자나미, 다카마노하라, 아시하라나카츠쿠니,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 스사노오, 천상, 만엽집, 고사기, 일본서기, 풍토기, 만요슈, 고지키, 니혼쇼키, 천황, 현신사상, 히토마로, 상대문화, 주재천, 천관념, 천손사상, 동중서, 궁정찬가, 신앙체계, 유불도, 제천행사, 본지수적설, 일본문화, 일본인의 사고, 주재천, 일본인의 특성, 신불습합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