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07&local_id=10014513
횡단면시계열 가계지출자료의 분석에 의한 도시가구의 식품 소비구조의 변화 요인 및 전망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횡단면시계열 가계지출자료의 분석에 의한 도시가구의 식품 소비구조의 변화 요인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2007 년 | 김성용(경상국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7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3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에서는 핵가족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인구고령화 등 과거 우리 사회가 경험한 인구사회구조적인 변화가 식품 수요구조의 변화에 준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득변화, 상품가격의 변화 외에 인구사회구조의 변화가 식품소비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식품소비구조의 변화 요인을 규명하고, 소득 증가 및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향후 식품소비구조의 변화를 전망하였다.
    1990년부터 2007년까지 도시가계조사 원자료를 사용한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시스템모형인 LAIDS모형을 사용하여 지출 및 가격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가격탄력성은 외식, 어패류, 육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출탄력성은 과일류와 외식이 1이상으로 나타났다. 식품소비의 변화 요인을 경제적인 요인과 인구사회적인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적인 요인의 변화(가구원수 감소, 고령화율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 증가)가 경제적 요인의 변화(소득 증가 또는 식품가격의 변화) 보다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점은 식품의 소비패턴이나 특징을 분석하거나 소비구조를 전망할 때 소득과 가격변수 이외에 인구사회적인 구조나 특징을 분석모형에 감안하지 않을 경우 그 결과가 상당히 왜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식품 소비의 다양성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감소 요인을 파악해보기 위해 엔트로피 지수를 식품간의 엔트로피 지수와 식품 내에서의 엔트로피 지수로 분해한 결과 식품 소비 다양성의 감소요인은 식품 내 엔트로피 지수의 감소가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때 곡류, 육류, 낙농품, 어개류, 채소, 과일, 유지 및 조미료 내에서의 감소가 있었다.
    넷??, 식품비 지출에 대한 변화 요인을 연령효과, 세대효과, 연도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여 본 결과 세대효과 또는 연령효과가 연도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대별로 지출액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젊은 세대는 이전 세대들의 식품비 지출패턴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도시가구의 식품비에 대한 지출액의 변화에는 가구소득과 식품가격 등과 같은 경제적인 변수 이외에도 "세대 간 선호의 차이"라는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식품비 전체에 대한 지출의 연령별 패턴은 소득의 연령별 패턴처럼 역 U자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목별로 지출액을 세분한 후에 세대효과가 제거된 순수한 연령별 변화패턴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외식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역 U자형 패턴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히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지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육류, 과일류, 채소류)과 증가하는 품목(차와 음료, 주류)도 있었고, 연령대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패턴을 동시에 보이는 품목(곡류, 곡물가공품, 낙농품)도 있었다. 식품비 지출의 세대효과를 품목별로 구분하여 보면 젊은 세대일수록 지출액이 대체로 증가한 품목은 곡물가공품, 낙농품, 차와 음료, 주류, 외식이었고, 젊은 세대일수록 지출이 감소한 품목은 곡류, 육류, 어개류, 과일 및 채소류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식품소비 구조를 품목별 지출비중과 지출액 측면에서 전망한 결과, 지출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 품목은 곡물류, 육류, 낙농품, 과실류, 채소/해조류로 나타난 반면, 어패류, 빵/과자류, 차/음료/주류, 외식 및 기타식품류에 대한 지출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지출비중의 감소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유지류, 그 다음이 낙농품, 곡물, 채소, 과일, 육류의 순서였다. 지출비중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기타식품류를 제외하면 차/음료/주류였고, 그 다음이 외식, 빵/과자류, 어패류 순서였다. 품목별 지출액 전망에 따르면 지출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품목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큰 품목은 차/음료/주류였고, 그 다음이 외식, 빵/과자류, 어패류, 육류, 과실류 순서였다. 반면, 지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 품목 중에 유지류의 감소폭이 가장 컸고, 그 다음이 낙농품, 곡물류의 순서였다.
    식품에 대한 공급이 상당히 탄력적이라면 수요구조의 변화는 상품시장에 대부분 반영될 것이다. 따라서 수요구조의 변화요인이나 품목별 전망치는 향후 식품산업의 구조나 식품산업의 부문별 성장전망을 가늠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Korea society has experienced dramatic changes in the socio-demographics. These changes include decrease in household size, increase in the number of female workers, aging population, and so on. This study developed the econometric model which explain the impact of the socio-demographic changes as well as income and price changes on food consumption patter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which has changed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projected the future food consumption with the developed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sing quarterly food price and expenditure share data, estimated the Linearized AIDS model for food expenditure shares, and decomposed changes in Marshallian expenditure shares function over time into economic effects and demographic effect. Economic effects are decomposed into a total substitution effect, an income effects and a habit effect. The analyis is based on the Linearized AIDS model.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i) demographic effect rather than economic effects was the main driving force in explaining changes in expenditure shares, for all food items except dairy products and fruits, and (ii) economic effects explaining changes in expenditure shares vary across food items.
    Second, this study separated generational or cohort effects from aging effects by analyzing the food expenditure patterns of nine cohort groups from 1995 to 2006. For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o construct the cohort data set over a 12-year period and to decompose food expenditures into age, time and cohort effects. This study found that all food categori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erational effects; younger cohorts spent less than older cohorts on cereals, meats, fruits and vegetables, but more on processed cereal products, dairy products, teas and beverage as well as food away from home.
    Third, this paper analyses changes in the diversity in consumers' food demand over time and the factors to affect the level of food demand diversity across households. The number of food item purchased, Berry index and entropy index were used as the index to measure food expenditure divers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i) the level of food expenditure diversity has been decreased over time, and (ii) the food expenditure diversity increases with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whereas it has been increased until the age of household head is 49 years old, but after that it has been decreased.
    Finally, we projected the expenditure and their shares for individual 11 food items. The items of which expenditure shares are projected to increase include fishery and shellfish products, bread & cookies, tea, non-alcoholic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food away from home. The expenditure share of other food items such as grain products, meats, fruits, and vegetables are projected to increase. For most of items, their expenditure are projected to increase, while the expenditures for fat & oil products, dairy products and grains are projected to decrease.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on the food consumption analysi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government decision makers a use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food industry and the growth of the individual sectors in the future and thus establish more appropriate policy for the food indus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한국사회가 경험한 인구구조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①과거 10여년 동안 도시가구의 식품비지출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고, ②그 변화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③인구노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식품소비지출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④ 향후 소비구조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식품비의 구성항목별 지출자료와 가구의 경제적인 특성 뿐 만 아니라 인구사회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가계조사 자료를 사용하되, 1990년부터 2006년까지 17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목적을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논문에서는 핵가족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인구고령화 등 과거 우리 사회가 경험한 인구사회구조적인 변화가 식품 수요구조의 변화에 준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득변화, 상품가격의 변화 외에 인구사회구조의 변화가 식품소비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식품소비구조의 변화 요인을 규명하고, 소득 증가 및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향후 식품소비구조의 변화를 전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시스템모형인 LAIDS모형을 사용하여 지출 및 가격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가격탄력성은 외식, 어패류, 육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출탄력성은 과일류와 외식이 1이상으로 나타났다. 식품소비의 변화 요인을 경제적인 요인과 인구사회적인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적인 요인의 변화(가구원수 감소, 고령화율 증가,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 증가)가 경제적 요인의 변화(소득 증가 또는 식품가격의 변화) 보다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점은 식품의 소비패턴이나 특징을 분석하거나 소비구조를 전망할 때 소득과 가격변수 이외에 인구사회적인 구조나 특징을 분석모형에 감안하지 않을 경우 그 결과가 상당히 왜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식품 소비의 다양성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감소 요인을 파악해보기 위해 엔트로피 지수를 식품간의 엔트로피 지수와 식품 내에서의 엔트로피 지수로 분해한 결과 식품 소비 다양성의 감소요인은 식품 내 엔트로피 지수의 감소가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때 곡류, 육류, 낙농품, 어개류, 채소, 과일, 유지 및 조미료 내에서의 감소가 있었다.
    넷??, 식품비 지출에 대한 변화 요인을 연령효과, 세대효과, 연도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여 본 결과 세대효과 또는 연령효과가 연도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대별로 지출액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젊은 세대는 이전 세대들의 식품비 지출패턴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도시가구의 식품비에 대한 지출액의 변화에는 가구소득과 식품가격 등과 같은 경제적인 변수 이외에도 "세대 간 선호의 차이"라는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식품비 전체에 대한 지출의 연령별 패턴은 소득의 연령별 패턴처럼 역 U자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목별로 지출액을 세분한 후에 세대효과가 제거된 순수한 연령별 변화패턴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외식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역 U자형 패턴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히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지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육류, 과일류, 채소류)과 증가하는 품목(차와 음료, 주류)도 있었고, 연령대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패턴을 동시에 보이는 품목(곡류, 곡물가공품, 낙농품)도 있었다. 식품비 지출의 세대효과를 품목별로 구분하여 보면 젊은 세대일수록 지출액이 대체로 증가한 품목은 곡물가공품, 낙농품, 차와 음료, 주류, 외식이었고, 젊은 세대일수록 지출이 감소한 품목은 곡류, 육류, 어개류, 과일 및 채소류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식품소비 구조를 품목별 지출비중과 지출액 측면에서 전망한 결과, 지출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 품목은 곡물류, 육류, 낙농품, 과실류, 채소/해조류로 나타난 반면, 어패류, 빵/과자류, 차/음료/주류, 외식 및 기타식품류에 대한 지출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지출비중의 감소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유지류, 그 다음이 낙농품, 곡물, 채소, 과일, 육류의 순서였다. 지출비중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기타식품류를 제외하면 차/음료/주류였고, 그 다음이 외식, 빵/과자류, 어패류 순서였다. 품목별 지출액 전망에 따르면 지출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품목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큰 품목은 차/음료/주류였고, 그 다음이 외식, 빵/과자류, 어패류, 육류, 과실류 순서였다. 반면, 지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 품목 중에 유지류의 감소폭이 가장 컸고, 그 다음이 낙농품, 곡물류의 순서였다.
    식품산업에 대한 성장전망의 정확성을 높이거나 정부의 식품관련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식품수요패턴의 변화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식품비 지출구조의 변화 전망 결과는 농업생산자 또는 식품기업이 생산계획이나 장기투자계획을 수립하는데 이전 연구결과물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색인어
  • 수요시스템분석, LAIDS모형, 인구사회적 변수, 가계, 수요탄력성, 식품비지출, 도시가계조사자료, 코호트분석, 수요변화의 요인 분해, 연령효과, 세대효과, 연도효과, 토빗모형, 식품소비지출의 다양성, 엔트로피지수, 식품소비전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