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11&local_id=10026634
가정폭력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의 장기효과 분석: 피해자 패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가정폭력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의 장기효과 분석: 피해자 패널 연구 | 2007 년 | 김재엽(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3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행위자 치료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서의 장기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총 3회의 배우자 추적조사를 통하여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성을 측정하고 행위자의 변화와 아내 재폭력 발생여부, 가족 기능 변화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50여명의 가정폭력피해자의 명단을 확보하였다. 이들은 남편이 가정폭력가해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피해자 여성들로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1, 2, 3차 추적조사를 통해 재폭력발생 여부 및 심리, 사회적 변인 등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연구 진행 결과 1차 년도에는 150명 중 110명이 본 설문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으며 이들에 대한 설문이 완료되었다. 2차년도에는 2, 3차 추적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2차 설문에서는 95명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3차 추적조사에서는 87명의 응답이 완료되어 1차 조사 대비 21%의 탈락률을 보였다. 이들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아래의 주제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의 장기적 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본 연구는 조사의 신뢰성과 장기연구의 용이성을 위해 가정폭력의 일차 대상자인 배우자를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본 연구는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의 장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이를 저해하는 요인 등을 통합적으로 살핀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domestic violence batterers program in South Korea given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little efforts to examine long-term research about domestic violence batterers program. so far,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have usually focused on the pre-post test rather than follow-up research.
    this study was designed to follow up partners of batterers who had attended and finished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For this, well-organized questionnire about re-victimization experience including physical, emotional and verbal violence, social 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Moreover, in order to succeed a long-term follow up research, well-trained interviewees are crucial. interviewees who had experienced on interview with respondent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at least once more were recruited. They were trained more than twice for this research. Each partners(respondents) interviewed three times by the trained interviewer through telephone. At the first time, interviewers tried to contact 150 partners in order to drive respondents' participartion. Aomong them, a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110 at the first interview. it was 95 at the second trial and was decreased to 87 at the final interview. Each interview had 6-month interval. Data about re-victimization experience and women's lives was coded and was analyzed for the basic and descriptive inform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999년 가정폭력관련 법률이 제정되면서 가정폭력 관련 연구 및 가정폭력 방지에 관한 다양한 노력이 전개되어 왔다. 그 중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은 가정폭력 예방 및 치료에 주요 방법으로 인식되면서 전국적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아 폭 넓게 행해지고 있다.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은 가족의 건강성을 높이고 가족구성원의 행복을 증진시키며 궁극적으로는 행위자의 아내 재폭력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연구들에서 행위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프로그램 전후 분석 수준에 머물러 한국의 행위자 프로그램이 장기적인 효과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충분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행위자 치료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서의 장기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19개월 동안 총 3회의 추적조사를 통하여 행위자 치료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성을 측정하고 행위자의 변화와 아내 재폭력 발생여부, 가족 기능 변화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50여명의 가정폭력피해자의 명단을 확보하였다. 이들은 남편이 가정폭력가해자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피해자 여성들로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1, 2, 3차 추적조사를 통해 재폭력발생 여부 및 심리, 사회적 변인 등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피해자 여성이 연구대상이 된 이유는 가해자의 경우 본인의 정보를 가장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연구에서 가해자의 축소보고 및 응답 회피를 지적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해 여성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1차 년도에는 150명 중 110명이 본 설문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으며 이들에 대한 설문이 완료되었다. 2차년도에는 2, 3차 추적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2차 설문에서는 95명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3차 추적조사에서는 87명의 응답이 완료되어 1차 조사 대비 21%의 탈락률을 보였다. 이들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아래의 주제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 년도의 1차 설문 및 2차 년도의 2, 3차 설문 완료를 통한 연구 결과를 살펴본 결과 총 150명의 대상군 중 110명이 1차 설문에 응답 하였으며 2차, 3차 설문 시 각각 95명, 87명이 응답하여 총 21%의 탈락률을 보였다. 이들은 신체폭력 뿐 아니라 언어 및 정서폭력을 포괄하는 폭력의 반복 여부를 묻는 질문 뿐 아니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심리, 사회적 특성을 함께 응답하였다. 다수의 피해 여성이 정서 및 언어, 그리고 신체 폭력을 재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재폭력의 특성과 관련있는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연구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문적으로는 첫째, 가정폭력 행위자 치료프로그램 연구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한다. 둘째, 행위자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아내 재폭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한다. 넷째, 학문과 실천의 교량역할을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가해자 장기효과 연구 데이터를 통해 국 내외적으로 유명한 학술지 및 학회에 가해자프로그램 효과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여 발표할 수 있다. 이 밖에 사회적 기여 내용으로는 첫째, 본 행위자 치료프로그램 행위자 효과성 평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질 향상과 효과성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 계획이 가능하다. 둘째, 행위자 및 피해자에게 책임성 있는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학문분야와의 체계적인 연계가 가능하게 된다.
  • 색인어
  • 가정폭력, 가정폭력가해자프로그램, 가정폭려 피해 여성, 가정폭력가해자프로그램 효과성, 장기 연구, 효과성 검증, 패널 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