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13&local_id=10018961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2007 년 | 김민경(세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38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1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남성과 결혼한 지 3년 이상된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rbin, 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개방코딩에서는 149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의 경우 패러다임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의 중심현상은 ‘한계를 극복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준비되지 않은 결혼’, ‘문제인식’, ‘혼란스러움’이며 맥락적 조건은 ‘주도적으로 밀어붙임’, ‘긍정적 상황인식’, ‘좌절함’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여성이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해내려고 애씀’과 ‘지지받음’조건에 의해 중재받았으며, ‘신명나게 됨’, 인정받음‘, ’한국인으로 살아가기‘의 상호작용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결과로 결혼이민여성은 ’성취감을 느낌‘, ’한국생활에 적응함‘, ’희망을 가짐‘의 모습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핵심범주는 ’결혼이민여성으로서 한계를 극복하고 당당히 홀로서기하며 살아가기‘로 구체화되었고 이는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의 3가지 유형 즉 ’적극적 성취형‘, ’중도주의적 노력형‘, ’소극적 안주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는 ’혼란단계‘, ’시도와 노력의 단계‘, ’안정을 찾는 단계‘, ’홀로서기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은 현재에 머물지 않고 미래지향적이며 성취감과 만족감,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을 보여줌과 동시에 더 발전적인 도전을 꿈꾸고 있어 이들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종합적이고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됨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론구축과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의 기초방향을 제시하는데 함의가 있다.

    주제어 : 임파워먼트, 결혼이민여성, 근거이론, 질적 연구
  • 영문
  • A Study on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 Focused on Grounded Theor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for more than 3 years. This study employ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Data analysis generated 149 concepts, 36 sub categories, and 15 categories. In the axi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entral phenomenon of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was 'Overcoming the Limits'. The causal conditions were 'Unprepared Marriage', 'Perceiving the Problems', 'Confus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Driving intiatively', 'Positively Perceiving the Situations', 'Frustrating'.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rying to Achievement', 'Taking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Becoming Exciting', 'Taking Approval', 'Living as a Korean'. The consequences were 'Feeling a Achievement', 'Adapting Korean Life', 'Having a Hope'.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To Live Independantly through Overcoming the Limits as a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core category, three types and four stages of the empowerment process of the immigrant women were founded. The types were 'Actively Achieved Type', 'Moderately Tried Type', 'Passively Living Type', and 'Confusing Stage', 'Trying Stage', 'Stable Stage', and 'Independant Stage'. Immigrant women's empowerment process had promising in the future, showed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dapting the Korean Life, and dreamed the more developing adventure. It perceived synthetic and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individual's characte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empowerment process of the immigrant women ,and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and theories about the immigrant women.

    Key Words : Empowerment, Immigrant Women, Grounded theory, Qualatativ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남성과 결혼한 지 3년 이상된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rbin, 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개방코딩에서는 149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의 경우 패러다임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의 중심현상은 ‘한계를 극복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준비되지 않은 결혼’, ‘문제인식’, ‘혼란스러움’이며 맥락적 조건은 ‘주도적으로 밀어붙임’, ‘긍정적 상황인식’, ‘좌절함’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여성이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해내려고 애씀’과 ‘지지받음’조건에 의해 중재받았으며, ‘신명나게 됨’, 인정받음‘, ’한국인으로 살아가기‘의 상호작용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결과로 결혼이민여성은 ’성취감을 느낌‘, ’한국생활에 적응함‘, ’희망을 가짐‘의 모습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핵심범주는 ’결혼이민여성으로서 한계를 극복하고 당당히 홀로서기하며 살아가기‘로 구체화되었고 이는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의 3가지 유형 즉 ’적극적 성취형‘, ’중도주의적 노력형‘, ’소극적 안주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는 ’혼란단계‘, ’시도와 노력의 단계‘, ’안정을 찾는 단계‘, ’홀로서기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은 현재에 머물지 않고 미래지향적이며 성취감과 만족감,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을 보여줌과 동시에 더 발전적인 도전을 꿈꾸고 있어 이들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종합적이고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됨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론구축과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의 기초방향을 제시하는데 함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의 중심현상은 ‘한계를 극복함’임을 알 수 있었다.이와 같은 결과는 결혼이민여성이 ‘가족’을 지향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 누구보다도 가족을 유지하고 책임감을 수행하고자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자녀에 대한 강한 모성애 또한 한국사회에서 임파워먼트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결혼이민여성에게만 일방적인 인내가 강요되는 한국사회의 문화가 이면에 존재하지는 않는지 점검해보아야 하겠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결혼이민여성이 행복한 가족공동체에 동참할 수 있는 동기부여와 남편, 시부모, 자녀를 포함한 가족원의 이해와 이들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겠다.둘째, 결혼이민여성은 ‘준비되지 않은 결혼’, ‘문제인식’, ‘혼란스러움’ 등을 인과적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구차순, 2007)논의와 일맥상통하고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를 위해 다소의 시사성을 갖는다.이상과 같은 요인은 역으로 결혼이민여성이 임파워먼트되어야 하는 동기를 제공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결혼이민여성의 맥락적 조건으로 제시된 ‘주도적으로 밀어붙임’, ‘긍정적 상황인식’, ‘좌절감’이 제시되었는데결혼이민여성도 자신의 삶을 찾아 도전하고 자발적인 의지를 보이지만 현실적으로 좌절을 경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좌절이 무기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좌절이 좌절과 무기력으로 끝났다면 임파워먼트과정에 진입되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임파워먼트과정에 더 큰 안착을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넷째, 결혼이민여성의 중재조건으로 ‘해내려고 애씀’, ‘지지받음’이었는데 이러한 요인이 한계를 극복하는 추동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민여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내려고 애쓰는 자신의 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함을 의미한다.결혼이민여성에게 가족, 지역사회수준에서의 지지체계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 가족관계향상 및 사회참여측면의 지지체계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다섯째, 임파워먼트결과는 성취감을 느낌, 희망을 가짐, 한국생활에 적응으로 나타났다. 개인내적 측면의 성취감느낌, 한국생활에 적응, 희망을 가짐이 제시되고 있는데 특히 희망을 가짐 이면에 사회참여와 신분상승의 욕구가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여섯째,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모두 강한 경제적 욕구가 있고 직업생활을 하고 있으며 직업을 통한 소득의 차는 다소 폭이 넓다.따라서 결혼이민여성이 한국사회에서 주변화된 계층에서 벗어나 보다 전문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또한 차후 결혼이민여성들에게 전문 직업상담을 통한 취업진로와 취업교육 및 훈련, 취업연계작업이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기존의 일자리를 비롯하여 결혼이민여성의 자원활용에 적합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인적 자원개발 및 활용방안이 시급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여성의 병리, 결핍, 비정상 등의 문제자체에 관심을 두는 문제중심적인 시각과 피해자관점에서 벗어나 결혼이민여성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발견하고 강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그들의 잠재력을 지지하며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그들이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역량을 실현해 나가는데 촛점을 둠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주도적인 삶의 주체로서 건강하게 살아가는 결혼이민여성을 보여주고 유도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또한 결혼이민여성이 한국에 와 적응하기까지 임파워먼트과정 및 결과를 밝혀냄으로써 근거이론의 장점인 이론 구축(theory-building)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며 결혼이민여성의 발달과정에서 적응 혹은 부적응에 대한 사후대처 차원의 개입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며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의 기초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강점발견과 성공적인 삶의 과정을 통해 다른 결혼이민여성들에게 임파워먼트될 수 있는 모델링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고 나아가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정책과 함께 교육, 노동, 문화, 법적 체계구축 등 다양한 관련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혼이민여성교육과 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실천가들과 정책가들에게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계획, 과정, 조직 등 사회복지실천 분야와 정책지원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문화적 역량을 갖춘 실천가와 정책가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임파워먼트, 결혼이민여성, 근거이론, 질적 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