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19&local_id=10018719
개화기 신문, 잡지에 기록된 외래어 복식명칭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개화기 신문, 잡지에 기록된 외래어 복식명칭에 관한 연구 | 2007 년 | 김은정(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4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개화기(1876-1945) 우리나라의 복식은 이전 시기부터 문화적 교류가 많았던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 국가 외에도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서구 문화가 유입되면서 전통복식과 새로운 외래복식이 공존하게 되었고, 이러한 복식문화의 변화는 개화기에 발간된 신문, 잡지에 기록된 새로운 복식 명칭들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개화기 복식명칭은 고유어, 신조어, 외래어로 구분되는데, 이 중 외래어 복식명칭은 전통복식이 서구화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화기에 발간된 신문, 잡지에 기록된 복식명칭 중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입된 외래어 복식명칭을 중심으로 유입 된 나라별, 품목별로 분류하여 개화기 복식에 영향을 준 나라와 복식의 품목을 확인하고, 개개의 명칭들의 유입 시기, 당시의 형태, 용도, 유입된 이후의 변화상을 연구하여 외래어 명칭을 통해 본 개화기 복식의 특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개화기 외래어 명칭들을 시기별로 보면, 제1기(1873-1910)는 남성복식과 관련된 품목에 한해서 외래어 명칭이 유입되어 사용되었으나 그 수가 적었다. 2기(1910-1919)는 서구어계, 일본어계,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서구어계 명칭 등 일제강점기라는 시기와 함께 외래어 명칭이 가장 많이 유입된 시기이며, 남성의 복식품목과 관련된 명칭이 주를 이루었다. 3기(1919-1937)는 여성복식과 관련된 명칭이 이전보다 많이 유입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4기(1937-1945)는 전쟁이라는 암흑기 속에서 일본의 복식이 우리복식에 그대로 침투된 시기로 국민복, 몸뻬 등이 유입되어 입혀졌다.
    개화기 외래어 명칭들을 어원별로 분류해보면 일본어계, 서구어계, 일본을 거쳐 유입된 서구어계 외래어로 구분된다. 일본어계 외래어는 기모노, 시루시반덴, 쓰메에리, 에비자 하가마, 히가마, 네마기, 소후도모, 소후도, 시야겟스, 도리아치, 구두(구쓰), 가방, 몸뻬 등으로 일본 전통복식과 관련된 명칭들이 많았다. 서구어계 외래어는 팬츠, 쟈켓, 샤쓰, 넥타이, 레쓰, 리본, 모닝커우트, 본넷트, 사포, 스카트, 씰쿠해트, 파나마, 포켓트, 한케치프, 후루코트(후록코투, 푸로코트, 프록코트), 핸드빽, 파쟈마, 에푸론, 카우스, 콤비네슌-원피스, 레인코트, 바바리 등이 있다. 일본을 거쳐 유입되어 일본식 외래어 명칭에는 라사(らしゃ, rasa), 만토(マント, manteau), 세비로(せびろ, civil clothes), 죡긔(jaqueta, 화란말; jack→영어; jaket→일본어 チョッキ), 메리야스샤쓰(メリヤスシャス, medias; 스페인어+shirt), 메리야스, 오-바(オ―バ, overcoat), 빤스(パンツ, pants), 쉐터(セ―タ― , sweater), 샤쓰(シャス, shirt), 와이샤쓰, 레-스(レ―ス, lace), 비로드(ビロード, velvet)가 있다. 이상을 통해 개화기 외래어 명칭은 일제 강점 시기라는 특수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하여 일본어계나 일본을 통해 유입된 명칭과 서구어계로 크게 양분됨을 알 수 있다.
    품목을 중심으로 본 개화기 외래어 명칭은 남자의 양복과 관련된 복식명칭이 많았고, 여자의 복식과 관련된 소품 및 장식품이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남자복식은 복식전반에 걸쳐 서구화가 진행된 반면 여자는 복식의 일부 품목에서부터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개화기 외래어 명칭은 유입된 시기와 품목은 다르지만 일본 전통복식을 지칭하는 몇몇의 명칭을 제외하고는 이들 명칭의 대부분이 국어에 동화되어 현재 사용되는 복식명칭의 기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화기 복식은 서구화복식의 기반을 이루었고, 이는 일본에 의한 서구화 정책과 우리의 자발적인 서구화 움직임이 만들어낸 결과였던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The age of enlightenment (1876-1945), Korea’s dress and its ornament were influenced by the cultural exchange with Asia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from America, England and France, traditional and new dress and ornament existed at the same time and it is being assumed by the new names found out on the newspaper and magazines published in those periods.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names and words used in dress and its ornament area a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one, new one and naturalized word. They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which confirm the westernization of traditional dress and its ornament specifically.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identify the country which influenced Korea’s dress and its ornament in that period and specific items using naturalized words used and printed on newspapers and magazines published in that period. And, by studying the time of introduction, the form, usage and its changes, I’d like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 of dress and its ornament introduced in the age of enlightenment in terms of naturalized words.
    First of all, naturalized word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are classified into words originated in Japanese, words originated in western countries and borrowed words came from Japan. Borrowed words which came from Japan are almost related to Japan’s traditional dress like Kimono, Sirusibanden, Dakkabosi, sseumeeri, Hagama Nemaki, Sohudo, Siyaegts, Doriachi, Mombbe, gudu, and Gabang, etc. Borrowed words originated in western countries are like pants, jacket, shirts, necktie, lace, ribbon, skirt, silk hat, panama hat, handbag, pocket, handkerchief, morning coat, rain coat, and frock coat, etc. Borrowed words came from Japan is Lasa, jokki(jaket), Les(lace), Veludo(velvet), Bbanss(pants), Oba(overcoat), Meliyas(medias), Shass(shirt), Manto(manteau), and Sebiro(civil clothes). As we can see from the result of research, borrowed word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was because of its special social situation, Japanese imperialism, they are divided into real western words and words came from Japan or Japanese. In terms of items, a lot of words related to men’s suit and women’s dress, accessory, etc. It confirms that men’s dress was westernized in the whole part compared to partially westernized women’s one.
    A lot of words used at that period are now adapted to Korean language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words used in the current dress and its ornament a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age of enlightenment (1876-1945), Korea’s dress and its ornament were influenced by the cultural exchange with Asia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from America, England and France, traditional and new dress and ornament existed at the same time and it is being assumed by the new names found out on the newspaper and magazines published in those periods.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names and words used in dress and its ornament area a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one, new one and naturalized word. They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which confirm the westernization of traditional dress and its ornament specifically.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identify the country which influenced Korea’s dress and its ornament in that period and specific items using naturalized words used and printed on newspapers and magazines published in that period. And, by studying the time of introduction, the form, usage and its changes, I’d like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 of dress and its ornament introduced in the age of enlightenment in terms of naturalized words.
    First of all, naturalized word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are classified into words originated in Japanese, words originated in western countries and borrowed words came from Japan. Borrowed words which came from Japan are almost related to Japan’s traditional dress like Kimono, Sirusibanden, Dakkabosi, sseumeeri, Hagama Nemaki, Sohudo, Siyaegts, Doriachi, Mombbe, gudu, and Gabang, etc. Borrowed words originated in western countries are like pants, jacket, shirts, necktie, lace, ribbon, skirt, silk hat, panama hat, handbag, pocket, handkerchief, morning coat, rain coat, and frock coat, etc. Borrowed words came from Japan is Lasa, jokki(jaket), Les(lace), Veludo(velvet), Bbanss(pants), Oba(overcoat), Meliyas(medias), Shass(shirt), Manto(manteau), and Sebiro(civil clothes). As we can see from the result of research, borrowed word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was because of its special social situation, Japanese imperialism, they are divided into real western words and words came from Japan or Japanese. In terms of items, a lot of words related to men’s suit and women’s dress, accessory, etc. It confirms that men’s dress was westernized in the whole part compared to partially westernized women’s one.
    A lot of words used at that period are now adapted to Korean language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words used in the current dress and its ornament area.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개화기 외래어 복식 명칭들을 시기별로 보면, 제1기(1873-1910)는 남성복식과 관련된 품목에 한해서 외래어 명칭이 유입되어 사용되었으나 그 수가 적었다. 2기(1910-1919)는 서구어계, 일본어계,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서구어계 명칭 등 일제강점기라는 시기와 함께 외래어 명칭이 가장 많이 유입된 시기로 남성의 복식품목과 관련된 명칭이 주를 이루었다. 3기(1919-1937)는 여성복식과 관련된 명칭이 이전보다 많이 유입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4기(1937-1945)는 일본의 새로운 복식이 우리복식에 침투된 시기로 국민복, 몸뻬 등이 유입되어 입혀졌다.
    개화기 외래어 명칭들을 어원별로 분류해보면 일본어계, 서구어계, 일본을 거쳐 유입된 서구어계 외래어로 구분된다. 일본어계 외래어는 기모노, 시루시반덴, 쓰메에리, 에비자 하가마, 히가마, 네마기, 소후도모, 소후도, 시야겟스, 도리아치, 구두(구쓰), 가방, 몸뻬 등으로 일본 전통복식과 관련된 명칭들이 많았다. 서구어계 외래어는 팬츠, 쟈켓, 샤쓰, 넥타이, 레쓰, 리본, 모닝커우트, 본넷트, 사포, 스카트, 씰쿠해트, 파나마, 포켓트, 한케치프, 후루코트(후록코투, 푸로코트, 프록코트), 핸드빽, 파쟈마, 에푸론, 카우스, 콤비네슌-원피스, 레인코트, 바바리 등이 있다. 일본을 거쳐 유입되어 일본식 외래어 명칭에는 라사(らしゃ, rasa), 만토(マント, manteau), 세비로(せびろ, civil clothes), 죡긔(jaqueta, 화란말; jack→영어; jaket→일본어 チョッキ), 메리야스샤쓰(メリヤスシャス, medias; 스페인어+shirt), 메리야스, 오-바(オ―バ, overcoat), 빤스(パンツ, pants), 쉐터(セ―タ― , sweater), 샤쓰(シャス, shirt), 와이샤쓰, 레-스(レ―ス, lace), 비로드(ビロード, velvet)가 있다. 이상을 통해 개화기 외래어 명칭은 일제 강점시기라는 특수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하여 일본어계나 일본을 통해 유입된 명칭과 서구어계로 크게 양분됨을 알 수 있다.
    품목을 중심으로 본 개화기 외래어 명칭은 남자의 양복과 관련된 복식명칭이 많았고, 여자의 복식과 관련된 소품 및 장식품이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남자복식은 복식전반에 걸쳐 서구화가 진행된 반면 여자는 복식의 일부 품목에서부터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개화기 외래어 명칭은 유입된 시기와 품목은 다르지만 일본 전통복식을 지칭하는 몇몇의 명칭을 제외하고는 이들 명칭의 대부분이 국어에 동화되어 현재 사용되는 복식명칭의 기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화기 복식은 서구화복식의 기반을 이루었고, 이는 일본에 의한 서구화 정책과 우리의 자발적인 서구화 움직임이 만들어낸 결과였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연구의 내용을 관련 학회지에 투고하여 논문으로 간행될 예정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논문으로 간행되면 복식사, 국어학, 사회, 문화사 분야에 있어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복식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개화기에 유입된 외래어 복식명칭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지금까지 개화기 관련 복식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당시에 어떠한 명칭들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각 시기별 변화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 자료들은 우리 복식의 서구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발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국어학 분야에서는 언어적 측면, 즉 표기나 발음뿐만 아니라 그 명칭의 실체인 복식의 형태, 용도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명칭이 지니는 총체적인 면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발음 및 표기를 중심으로 외래어를 연구하고 있는 국어학 분야에 충분한 자료 및 연구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사회․문화사 연구에 있어 개화기에 유입된 복식 명칭 등을 통해 문화적 교류 현황과 사회의 변화상을 유추하는데 자료를 제공하여 다른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결과를 낳게 할 것이다.
  • 색인어
  • age of enlightenment (개화기), naturalized word(외래어), clothing term(복식명칭), newspaper(신문), magazine(잡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