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32&local_id=10020057
문화콘텐츠로서 남북역사소설 활용방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문화콘텐츠로서 남북역사소설 활용방안 연구 | 2007 년 | 임옥규(아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7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감을 회복하고 대중성과 예술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실천적 의미로서 남북한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모색을 하고자 한다.
    남북 역사소설은 남북의 공동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역사관련 협력연구 산업, 역사문화의 이야기 발굴과 미디어 문화 산업으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로서 남북 역사소설의 창의적 활용방안은 미디어 산업화의 방향, 학술적 효과, 남북 상호문화에 대한 민족적 동질감 회복, 국제적 인식의 제고 등의 파생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남북 역사소설에서 문화적 요소로는 이야기 원천, 문화원형 탐구, 남북 작가와 작품, 남북 역사관, 역사와 문학의 관계, 문화이미지 등이 있다. 표출과 상징으로는 스토리텔링, 체감형 문화콘텐츠 기획, 엔터네인먼트 산업, 학술대회, 문학제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산업적 관점에서 창의적인 활용방안을 발견할 수 있으며, 국제 경쟁력의 원천이 될 수 있고, 한민족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1단계는 남북 역사소설의 문화콘텐츠적 요소 발굴이다. 이러한 요소는 문화산업형 콘텐츠, 학술정보형 콘텐츠, 통일문화형 콘텐츠의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2단계는 합작, 상호 교류의 단계로 남북교류 현황에 달려 있다. 3단계는 상품화의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의 비전은 자본과 마케팅시스템, 창의 기술, 시장, 자원의 구축에 달려 있다. 무엇보다 전략적으로 볼 때 문화산업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고 정책적 노력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남북 상호 간에 공존공영의 정신을 살려 아시아적 가치 창출을 위해 보편적 문화요소를 찾아내야 한다.
  • 영문
  • This study of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s looking for content. This research to meet the popularity and artistry as a practical means to want to study the cultural content of the two Koreas.
    North and South Korea to recover the cultural difference also have practical significance. Formed during the 5000 years history, as nations such as North and South Korea share the sentiment, and despite national identity has been expanded to difference For this reason, a different ideology and political system in exchange for each other is the lack of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our case, we accept the unique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 times required to develop a new cultural content, the time required. For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changing content to live up to the sentiments of the people should be able to form a consensus to the history of inter-Korean cultural content of these stories are relevant.
    This study a novel inter-Korean history, culture, industry, content, academic information, content, cultural content in terms of unification, will want to use.
    Cultural elements in the story as a novel source of inter-Korean history, culture and explore the circular, the inter-Korean authors and their works, the inter-Korean histor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and culture is the image.
    Symbolic expression of a historical novel of the Civil and storytelling, and content in the form of experience planning, entertainment, industry, academic events, literary festivals, and you can expect.
    Take advantage of the creative content of the historical novel as a North-South direction of industrialization in the media, academic work, the inter-Korean cross-cultural chemistry for national recovery,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and the derived effect of the increase can be expected.
    You want to promote this research project is a step-by-step. Step 1 of the Civil History of the novel is finding the content element. Step 2, the joint venture, the state of interaction depends on the stage is the inter-Korean exchanges. Step 3 is the phase of commercialization.
    The vision of these steps, the capital and marketing systems, creative technologies, markets, resources will depend on the building. Above all, the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strategic and policy role to focus on working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Alive the spirit of coexistence between North and South Asia of the universal values to find the elements to create a universal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감을 회복하고 대중성과 예술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실천적 의미로서 남북한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모색을 하고자 한다. 남북한은 상호의 체제에 대한 이해와 문화에 대한 교류가 미미한 상황에서 적대적 경쟁 상황이 지속되면서 왜곡이 심화되었다.
    21세기 들어 대중성과 예술성이 결합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우리의 경우 우리만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과 시대적 요구에 수렴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때이다. 남북한 문화콘텐츠의 시작은 북한 역사소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근래 들어 북한 역사소설은 문화콘텐츠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남북 역사소설을 문화산업콘텐츠, 학술정보콘텐츠, 통일문화콘텐츠의 측면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로서 남북 역사소설의 창의적 활용방안은 미디어 산업화의 방향, 학술적 효과, 남북 상호문화에 대한 민족적 동질감 회복, 국제적 인식의 제고 등의 파생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남북 역사소설에서 문화적 요소로는 이야기 원천, 문화원형 탐구, 남북 작가와 작품, 남북 역사관, 역사와 문학의 관계, 문화이미지 등이 있다. 표출과 상징으로는 스토리텔링, 체감형 문화콘텐츠 기획, 엔터네인먼트 산업, 학술대회, 문학제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남북의 공동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역사관련 협력연구 산업, 역사문화의 이야기 발굴과 미디어 문화 산업으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산업적 관점에서 창의적인 활용방안을 발견할 수 있으며, 국제 경쟁력의 원천이 될 수 있고, 한민족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1단계는 남북 역사소설의 문화콘텐츠적 요소 발굴이다. 이러한 요소는 문화산업형 콘텐츠, 학술정보형 콘텐츠, 통일문화형 콘텐츠의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2단계는 합작, 상호 교류의 단계로 남북교류 현황에 달려 있다. 3단계는 상품화의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의 비전은 자본과 마케팅시스템, 창의 기술, 시장, 자원의 구축에 달려 있다. 무엇보다 전략적으로 볼 때 문화산업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고 정책적 노력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향후 남북 상호 간에 공존공영의 정신을 살려 아시아적 가치 창출을 위해 보편적 문화요소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남북 역사소설을 문화콘텐츠로 활용하여 새로운 문화산업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문학과 예술이 창의력을 발휘하고 매체를 활용하고 기술을 가미할 때 새로운 문화산업의 진화를 보일 수 있다.
    남북 역사소설의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 산업화를 통해 개발, 제공되는 문화원형 창작소재는 애니메이션, 음악, 출판만화, 전자책, 캐릭터, 영화, 게임, 방송, 영상, 모바일, 인터넷 등 문화콘텐츠 창작의 자원으로 활용되어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학관을 건립하여 다채로운 문학 체험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작가에 대한 입체적 조명이 가능하다. 작품에 담긴 문학정신과 역사의식에 대한 공유를 할 수 있으며 문학관이 건립된 지역의 정체성 확립된다. 무엇보다 작 품과 작가정신에 대한 생생한 만남을 선사하는 문화체험의 현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학관은 한국의 정서문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낸다. 문학과 역사적 공간의 만남을 통해 과거의 재현을 경험할 수 있다. 디지털 시스템 구현의 방법도 있다. 역사소설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가상 문화탐험을 할 수 있도록 체감형 문화콘텐츠 기획할 수 있다. 남북 역사소설은 스토리텔링의 원천소스로 응용할 수 있다. 역사적 사실을 중심에 두고 현재성을 강화하여 원천소스에서 콘텐츠로의 효과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다.
    학술정보형 콘텐츠 측면에서 볼 때 남북 역사소설 속에 축적되어 있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 배경 등을 정보유형의 콘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학습 문화지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지명정보나 인명정보를 활용한 DB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통일문화콘텐츠 측면에서 한민족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한류 문화자본 형성의 기본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남북 역사소설의 문화원형을 활용하여 문화산업의 가능성을 열 수 있으며, 역사소설에서의 시간과 장소를 관광자원화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은 국제 경쟁력의 원척이 되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남북 역사소설, 스토리텔링, 체감형 문화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산업, 역사와 문학의 형상화, 디지털콘텐츠 산업화, 통일문화콘텐츠, 학술정보콘텐츠, 문화산업형 콘텐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