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33&local_id=10019960
‘음직하’ 구성의 형태,통사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음직하’ 구성의 형태,통사적 연구 | 2007 년 | 시정곤(한국과학기술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7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의 ‘음직하’ 구성에 대해 그 문법적 실체와 기능을 밝히고, 이 구성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의 접근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자료적 측면에서 공시, 통시 자료를 모두 망라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있디. 공시 자료의 경우, 이미 선행연구에서 정리된 자료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언어자료까지도 연구 대상에 포함할 것이며, 주요 국어사전 및 국어정보화를 위해 구축된 국어말뭉치 자료도 총체적으로 접근했다. 둘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형태단위와 통사단위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기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여 소화하고자 했다.
    연구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음직하’ 구성에 대해 대표적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밝혔다. 최현배(1937/1971)에서는 ‘음직하’를 명사형어미 ‘-음’과 보조형용사 ‘직하-’로 분석하였고, 권재일(1985)와 송철의(1992)에서는 최현배(1937/1971)과 달리 ‘-음직하-’를 연결어미 ‘-음직’과 보조용언 ‘하-’로 분석한 바 있다. 또한 최근 임동훈(2006)에서는 ‘음직하’를 어미 ‘음’과 형용사 ‘직하’로 분석했고, 김창섭(2007)에서는 ‘직’을 부접명사로 간주하고, ‘음직’을 부접명사구로 상정한 바 있다. 이러한 주장이 갖는 장점도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논란이 되는 ‘음직하’ 구성을 하나의 형태 단위로 상정하고 이를 위한 근거를 제시했다. ‘음직하’의 기원이 설령 ‘음+직하’일지라도 공시적 문법에서 ‘음직하’는 하나의 굳어진 형태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시적으로 ‘음직하’는 하나의 어미(통사적 접사)와 같은 지위를 갖는다고 가정했다.
    ‘음직하’를 하나의 굳어진 형태로 간주했을 때 이전 주장보다 더 설득력 있는 점으로는 첫째, 최현배(1971)처럼 ‘음직하’를 명사형어미 ‘-음’과 보조형용사 ‘직하-’로 분석할 때 생기는 둘 간의 조응관계 문제(명사형이 보조형용사를 수식해야 하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둘째, ‘음’을 연결어미나, 부사형어미로 볼 필요가 없고, 셋째, ‘직하다’를 보조용언으로 볼 때, 일반적인 보조용언 구문과 차이점이 생기는데, 이러한 문제도 해결이 된다. 넷째, ‘음직’을 부접명사구라는 특이한 명사구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며, 다섯째, ‘음직하’를 하나의 형태로 본다면 ‘--ㄹ 만하다’, ‘--ㄹ 법하다’ 등과의 유사관계가 더 잘 포착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파생접사’로 간주되던 ‘음직하’와 통사적 구성으로 불리던 ‘음직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같은 형태로 간주했다. 파생접사로서 ‘음직하’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예들이 통사적 구성에서 하나의 형태적 구성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았다. ‘음직하’가 만들어낸다는 파생어가 극히 제한적이고, 중세국어에서도 ‘음직하’ 구성이 하나의 형태로 행동하는 모습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음직하’ 구성의 통시적 변천 과정의 경우, 장윤희(2001)에서는 16세기에 오면 ‘암/엄 직’가 ‘암/엄 즉’로 변한다고 했으나, 여전히 16세기에도 ‘암/엄 직’의 형태는 공존해 나타나며, 장윤희(2001)에서는 ‘암/엄 즉’가 계속 사용되다가 18세기말에 ‘음 즉’로 변한다고 했는데, 이 부분도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비록 후대로 내려오면서 ‘암/엄 즉’가 많이 사용되기는 했지만, 17세기에도 ‘암/엄 직’의 형태는 여전히 나타난다는 사실을 주장했다. 또한 18세기에 와서는 ‘암/엄 직’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다가 적은 수지만 19세기부터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밝혔다. 따라서 ‘음직하’는 특정 시기에 특정한 형태만이 사용되었다기보다는 두 형이 공존하면서 시기별로 사용 빈도를 달리하면서 변천해 왔다고 보았다.
  • 영문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analyze the structure of 'eumcikha' in Korean. We have several important previous works for it. This paper argues against previous works and suggests their problems. I approach the works with following two perspectives; literatural & theoretical approaches. In this paper I proposed the new structure of 'eumcikha'. 1) The structure of 'eumcikha' is just morphological one unit, not a syntactic construction, 2) We have some empirical evidences for it. 3) Our new proposal has some merits for previous works. 4) This paper does not distinguish a derivational affix 'eumcikha1' from a syntactic construction 'eumcikha2' and proposed that two types came from a syntactic construction by grammaticalization. 5) I argued against previous work in the diachronical process of 'eumcikha'. This paper proposed that two variants of 'eumcikha' such as 'em/amcik ha' and 'em/amceuk ha' lived together in middle Korean, and modern form 'eumcikha' came from th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의 ‘음직하’ 구성에 대해 그 문법적 실체와 기능을 밝히고, 이 구성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전자를 위해 본 연구는 형태론적 접근과 통사론적 접근을 통해 ‘음직하’가 갖고 있는 이중적 속성을 고찰하고자 하며, 후자를 위해서는 통시적 접근을 통해 ‘음직하’가 15세기부터 현대에까지 어떻게 그 구조와 의미가 변해 왔는가를 고찰하였다.
    ‘음직하’ 구성에 대해 대표적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밝혔다. 최현배(1937/1971)에서는 ‘음직하’를 명사형어미 ‘-음’과 보조형용사 ‘직하-’로 분석하였고, 권재일(1985)와 송철의(1992)에서는 최현배(1937/1971)과 달리 ‘-음직하-’를 연결어미 ‘-음직’과 보조용언 ‘하-’로 분석한 바 있다. 또한 최근 임동훈(2006)에서는 ‘음직하’를 어미 ‘음’과 형용사 ‘직하’로 분석했고, 김창섭(2007)에서는 ‘직’을 부접명사로 간주하고, ‘음직’을 부접명사구로 상정한 바 있다. 이러한 주장이 갖는 장점도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논란이 되는 ‘음직하’ 구성을 하나의 형태 단위로 상정하고 이를 위한 근거를 제시했다. ‘음직하’의 기원이 설령 ‘음+직하’일지라도 공시적 문법에서 ‘음직하’는 하나의 굳어진 형태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시적으로 ‘음직하’는 하나의 어미(통사적 접사)와 같은 지위를 갖는다고 가정했다.
    ‘음직하’를 하나의 굳어진 형태로 간주했을 때 이전 주장보다 더 설득력 있는 점으로는 첫째, 최현배(1971)처럼 ‘음직하’를 명사형어미 ‘-음’과 보조형용사 ‘직하-’로 분석할 때 생기는 둘 간의 조응관계 문제(명사형이 보조형용사를 수식해야 하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둘째, ‘음’을 연결어미나, 부사형어미로 볼 필요가 없고, 셋째, ‘직하다’를 보조용언으로 볼 때, 일반적인 보조용언 구문과 차이점이 생기는데, 이러한 문제도 해결이 된다. 넷째, ‘음직’을 부접명사구라는 특이한 명사구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며, 다섯째, ‘음직하’를 하나의 형태로 본다면 ‘--ㄹ 만하다’, ‘--ㄹ 법하다’ 등과의 유사관계가 더 잘 포착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파생접사’로 간주되던 ‘음직하’와 통사적 구성으로 불리던 ‘음직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같은 형태로 간주했다. 파생접사로서 ‘음직하’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예들이 통사적 구성에서 하나의 형태적 구성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았다. ‘음직하’가 만들어낸다는 파생어가 극히 제한적이고, 중세국어에서도 ‘음직하’ 구성이 하나의 형태로 행동하는 모습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음직하’ 구성의 통시적 변천 과정의 경우, 장윤희(2001)에서는 16세기에 오면 ‘암/엄 직’가 ‘암/엄 즉’로 변한다고 했으나, 여전히 16세기에도 ‘암/엄 직’의 형태는 공존해 나타나며, 장윤희(2001)에서는 ‘암/엄 즉’가 계속 사용되다가 18세기말에 ‘음 즉’로 변한다고 했는데, 이 부분도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비록 후대로 내려오면서 ‘암/엄 즉’가 많이 사용되기는 했지만, 17세기에도 ‘암/엄 직’의 형태는 여전히 나타난다는 사실을 주장했다. 또한 18세기에 와서는 ‘암/엄 직’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다가 적은 수지만 19세기부터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밝혔다. 따라서 ‘음직하’는 특정 시기에 특정한 형태만이 사용되었다기보다는 두 형이 공존하면서 시기별로 사용 빈도를 달리하면서 변천해 왔다고 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읙 ㅕㄹ과는 다음과 같다. 논란이 되는 ‘음직하’ 구성을 하나의 형태 단위로 상정하고 이를 위한 근거를 제시했다. 공시적 문법에서 ‘음직하’는 하나의 굳어진 형태이다. ‘음직하’를 하나의 굳어진 형태로 간주했을 때 이전 주장보다 더 설득력 있는 점으로는 첫째, 최현배(1971)처럼 ‘음직하’를 명사형어미 ‘-음’과 보조형용사 ‘직하-’로 분석할 때 생기는 둘 간의 조응관계 문제(명사형이 보조형용사를 수식해야 하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둘째, ‘음’을 연결어미나, 부사형어미로 볼 필요가 없고, 셋째, ‘직하다’를 보조용언으로 볼 때, 일반적인 보조용언 구문과 차이점이 생기는데, 이러한 문제도 해결이 된다. 넷째, ‘음직’을 부접명사구라는 특이한 명사구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며, 다섯째, ‘음직하’를 하나의 형태로 본다면 ‘--ㄹ 만하다’, ‘--ㄹ 법하다’ 등과의 유사관계가 더 잘 포착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파생접사’로 간주되던 ‘음직하’와 통사적 구성으로 불리던 ‘음직하’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같은 형태로 간주했다. ‘음직하’ 구성의 통시적 변천 과정의 경우, 장윤희(2001)의 주장과 달리 ‘음직하’는 특정 시기에 특정한 형태만이 사용되었다기보다는 ‘암/엄 직’가 ‘암/엄 즉’ 두 형이 공존하면서 시기별로 사용 빈도를 달리하면서 변천해 왔다고 보았다.
    이 연구결과는 국어연구에서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다.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순수국어학적인 측면에서는 무엇보다도 국어 문법 체계를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법 단위와 문법 부문에 대한 제 검토를 통해 새로운 문법 체계를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자료적 측면과 이론적 측면을 통해 타당한 문법 단위의 개념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단위 설정과 분석 문제 등이 체계적으로 밝혀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형태론과 통사론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형태론과 통사론의 인접영역에 대한 탐구를 통해 기존의 조어론 연구와 통사 구성에 대한 연구에도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통시적 고찰을 통해 문법화 현상을 체계화 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물론, 공시태와 통시태의 상관성 문제에도 영향을 미쳐,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의 체계정립에도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밖에 응용분야에서도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종이사전이나 전자사전과 같은 사전 편찬학에도 표제어 설정과 관련하여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자연언어처리와 같은 국어정보학에서도 문법 단위 설정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문법에서도 문법 단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음직하, 직하, 명사형어미, 보조형용사, 통시적 변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