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48&local_id=10015041
사용자 제작 콘텐츠 (UCC)의 제작 및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및 보상 체계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용자 제작 콘텐츠 & #40;UCC& #41;의 제작 및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및 보상 체계에 대한 연구 | 2007 년 | 김진우(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9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용자 제작 콘텐츠 (UCC, User Created Contents)란 일반 사용자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이러한 UCC의 증가는 사용자 측면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통로가 확대되었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컨텐츠를 보다 풍부하게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양적 성장과는 달리, 무단 복제 콘텐츠와 단순 편집 콘텐츠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들이 제작하고 있는 콘텐츠의 질적인 측면은 기대에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텐츠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보상과 동기 요인을 지목하고, 사용자들의 지각된 보상과 동기 요인을 바탕으로 창의적 산물이 제작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에서 UCC 서비스의 보상과 동기 요인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개인별 창의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서 연구 대상자들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모델링되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보상과 동기에 관한 요인들이 UCC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효과를 매개하는 요인으로서 서비스 몰입의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감정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몰입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User created content (UCC) is defined as content that is made and shared by common users.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increase of UCCs has led to an expansion of alternative means of communications, while from the business perspective, UCCs have formed an environment that guarantees an abundant amount of contents. However, despite outward quantitative growth, many aspects of UCCs do not meet expectations in terms of quality, as can be observed through pirated contents and user-copied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int out how two core elements, namely, reward and motivation, enhance content creativity and reveal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of creative items with regards to users’ perceived rewards and motivations.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will take an in-depth look into constructing the dimensions of reward and motivation in UCC services. Blog users were subject to surveys and creativity evaluations (TTCT), and contents created by thes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through expert evaluations. Data gather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es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elements of reward and motivation do indeed influence UCC creativity, while service commitment appeared to be a mediating facto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ffective, continuous commitment towards service provider greatly increases its mediating effects on creativ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사용자 제작 콘텐츠 (UCC, User Created Contents)란 일반 사용자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공유되고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이러한 UCC의 증가는 사용자 측면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통로가 확대되었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컨텐츠를 보다 풍부하게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양적 성장과는 달리, 무단 복제 콘텐츠와 단순 편집 콘텐츠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들이 제작하고 있는 콘텐츠의 질적인 측면은 기대에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텐츠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보상과 동기 요인을 지목하고, 사용자들의 지각된 보상과 동기 요인을 바탕으로 창의적 산물이 제작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에서 UCC 서비스의 보상과 동기 요인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개인별 창의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서 연구 대상자들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모델링되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보상과 동기에 관한 요인들이 UCC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효과를 매개하는 요인으로서 서비스 몰입의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감정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몰입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UCC 서비스를 이용해서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와 보상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오는 서비스 몰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모형을 제시, 검증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면접을 진행하였고, 설문 조사와 FGI, 콘텐츠의 창의성 평가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UCC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차원의 보상은 사람들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다양성, 작업 중요성, 작업 정체성, 자율성, 운영자와의 관계, 사용자간의 관계 요인이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간의 관계, 명성 획득 기회 요인이 외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블로그를 사용하는 과업 자체, 즉 UCC 서비스 사용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형태의 심리적인 보상은 대부분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과업 차원 보상 중에서 피드백 요인의 경우에는 내재적 동기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인터뷰에서 나타난 언급에 의하면, 참가자들은 블로그에서의 피드백 정보라고 할 수 있는 통계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통계를 확인하는 기능이 부족하거나, 혹은 통계 기능이 관리자 메뉴 깊숙히 위치해 있어서 쉽게 클릭을 하지 않는 데에 기인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통계 기능이 가지는 영향력 자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궁금해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한 후,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화면에서 이를 제시해 줄 수 있도록 블로그 통계 기능을 개선한다면 이러한 요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외재적 동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간의 관계와 명성 획득 기회 요인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 않았다. FGI를 통해서도 유사한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UCC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정책이나 운영 방향에 따라 제약을 받는 것을 대체로 싫어하고 있었으며,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회사가 관여하여 드러나도록 도움을 주는 것 보다는 오히려 자유롭게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UCC 서비스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사용 환경과 관련된 질문에서도, 특별히 추가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기보다는 자유로운 UCC 제작 활동 그 자체를 방해 하지 않는 수준 정도의 ‘소극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으로 인해 운영자와의 관계 요인이나 작업 환경 요인, 부가적 혜택 요인이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인터뷰 과정에서 많은 사용자들은 UCC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얻는 금전적인 혜택이 주어질 경우 많은 사용자들이 왜곡된 정보나 무의미한 자료 등을 지나치게 생산함으로써 무리하게 트래픽을 확보하는 사용 행태가 나타날 수도 있음을 지적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금전적 보상 요인이 가지는 영향력 또한 미미하게 나타났음을 추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상으로 인해 촉발된 내재적이거나, 외재적인 동기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동기의 경우 사용자들이 특정 서비스에 대해서 감정적으로 몰입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재적 동기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특정 서비스에 대해서 규범적, 그리고 지속적으로 몰입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몰입 가운데서, 특히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의 경우 사용자들이 그러한 서비스 내에서 보다 창조적이고 수준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통제 변수로 설정한 개인의 창의성도 마찬가지로 산출물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설에서 제시한 것과는 다르게, 규범적 몰입의 경우에는 콘텐츠의 창의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이 특정 서비스에 대해서 도의적인 차원에서 몰입을 느끼는 경우에는 자발적이기 보다는 도덕적 의무감에 의해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콘텐츠의 질 보다는 콘텐츠의 양, 즉 개인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어떠한 콘텐츠를 제작했다는 것 자체가 더 중요했으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콘텐츠를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 제작에 참여했다는 것 자체가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 색인어
  • 사용자 제작 콘텐츠 (UCC), 창의성, 보상, 동기, 조직 몰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