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52&local_id=10020421
조직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의사소통 시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202 |
선정년도 |
2007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9년 05월 28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9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정보화 사회에서 경쟁적인 이점을 획득하기 위해 정보통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
이션 도구들이 급격한 기술 혁신을 이뤄 나가고 있다. 그 가운데 편리하고 다양한 기
능을 앞세워 ...
정보화 사회에서 경쟁적인 이점을 획득하기 위해 정보통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
이션 도구들이 급격한 기술 혁신을 이뤄 나가고 있다. 그 가운데 편리하고 다양한 기
능을 앞세워 네티즌들 사이에서 전천후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
로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이다.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대화를 나누
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인스턴트 메신저는 초기 비공식 조직에서 사람
간 관계 형성을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기업과 정부 등 공식 조직에서 업무
용도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조직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저해하거나 혹
은 촉진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양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 매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과 매체 이용자를 비롯한 사회 ․ 문화적 요인들이 첨단 정보통신을 매
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봄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인스
턴트 메신저가 모든 조직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는 도구로 자리 잡
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조직 내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로부터 총 103개의 표본을 표집하였
다.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 두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몇 가지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먼저 연구문제 1을 통해 세대간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업무활용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서 과연 인스턴트 메신저가 세대를 넘어 누구에
게나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자리잡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유교주의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의
업무 활용도나 메신저에 대한 인식 정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 라는 연구
- 2 -
문제를 제기했고, 메신저 이용자를 베이비 붐 세대와 X세대, N 세대로 구분한 후 이들
이 메신저를 업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여부와 메신저의 효율성, 편리성, 공
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메신저의 적합성,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메
신저의 적합성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
스턴트 메신저가 공식 조직에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의 역량을 상당 부분 인정받고
있으나, 이는 유교주의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로운 세대들의 특징이며, 반면 베이비붐
세대처럼 유교주의적 가치관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세대로부터는 인스턴트 메신저가
조직 내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특히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는 부적
합하다는 반응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여기서도 세대 차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는 메신저를 통한 조직 구성원간 커뮤니케이션의 양태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인스턴트 메신저의 매체 풍부성과 이용자의 디지털 리
터러시 역량, 유교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은 한국 기업 특유의 조직 문화적 특성이 인스
턴트 메신저를 통한 조직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빈도 및 형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상대방과의 권력관계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양태로 나타내고 있는가
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상사와 부하사원의 관계처럼 권력관계가
강하게 나타날수록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권력
관계가 낮은 동료집단에서는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빈번하게 이뤄지
고 있어 메신저를 통한 조직 구성원간 커뮤니케이션이 상대방과의 권력관계에 따
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스턴트 메신저의 매체 특성
과 상대방의 메신저 활용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유교주의적 가치관이 반영
된 조직 문화적 특성이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빈도와 대화 형식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정보통신 매체
를 통해 조직 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전략 수립에
유의미한 단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trategic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o gain advantag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Many communication tools such as Internet Messenger (IM) are causing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way people work ...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trategic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o gain advantag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Many communication tools such as Internet Messenger (IM) are causing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way people work and communicate. Instant
messenger, once thought of as only for personal use or forming relationships
within unofficial organizations, has recently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f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It is designed
to easily receive and transmit data and communicate anywhere, anytime. As a
result, the concept of IT has broadened from Data Management to includ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o examine the role IM plays,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ors that
promote or hinder communication within a Korean organization when instant
messenger is used. Internet Messenger can be a tool that breaks down
hierarchies and promotes communication for all members within any group.
To extract the factors, we studied closely how communication formations are
composed within organizations through the use of the instant messenger,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how socio-cultural factors
affect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These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e established the perception and actual
work-related use of instant messenger to see if the instant messenger is
actually a useful communication channel for all generations. To show this we
posed a question: How is Instant messenger view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by groups that have strong Confucian values and those that do not
- 4 -
Through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communication within group members when using Instant Messenger
including channel vastness and users' digital-literacy. How the uniqueness of
Korean organizational traits affecting instant messenger communication
within group members, and how this communication is formed depending on
authority relationships was also examined.
To understand these issues, a survey consisting of 33 categories
wasgiven to government and corporate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 Atotal
of 103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Instant messenger users were
then classified into baby-boom, X-generation, and N-generation groups.
The survey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IM as a
communication tool with supervisors in the work environment based on
factors of efficiency, convenience, and formality.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stant Messenger is recognized as a powerful communication tool in
official organizations, but is only used effectively within groups or
generations that do not follow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onfucian values. Groups that have strong Confucian values such as the
baby-boom generation respondant felt that Instant Messenger was an
inadequate communication channel for official communi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groups composed of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ere was
minimal use of IM, while groups with peer relationships showed frequent use
of Instant Messenger as a communication too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communication, the user's digital
literacy, and the extent of Confucian values close affect the frequency and
format of Instant Messenger use as a communication chan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fill a gap in ou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role of IM use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ay prove useful when developing tools and
strategies to help promote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medi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등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농업혁명, 산업혁명에 이어 인류 역사상 세 번째 대 변혁인 정보통신 혁명을 촉진하고 있다. 정보통신 혁명은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디지털 경제와 지식정보 사회의 패러다임을 창출함으로써 정치・ ...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등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농업혁명, 산업혁명에 이어 인류 역사상 세 번째 대 변혁인 정보통신 혁명을 촉진하고 있다. 정보통신 혁명은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디지털 경제와 지식정보 사회의 패러다임을 창출함으로써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부문에 혁신적인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인류의 커뮤니케이션도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은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기회를 더욱 폭넓게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이동 전화 등 새로운 매체의 급속한 확산과 유 무선의 결합, 방송 통신의 융합 등 매체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기존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지형을 근저부터 변모시키고 있다.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메시지와 관련된 상황적 맥락과 상징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직접대면(face-to-face)방식은 정보기기를 통한 면대면(face -to-screen)방식으로 상당부분 보완 대체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이미 우리 사회에서는 휴대폰이나 전자 메일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교환의 도구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 같은 사회적 요구의 팽배와 기술혁신의 소용돌이 속에서 최근 막강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등장한 것이 바로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이다.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스턴트 메신저는 누구나 사용하는 범용화 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타인과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소속감을 고취하며, 여러가지 놀이적 요소를 통해 즐거움과 재미를 느낀다. 이처럼 초기 비공식 조직에서 사람 간 관계 형성을 목적으로 활용되었던 인스턴트 메신저는 그 활용이 기업의 업무지원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수많은 조직 구성원들이 공식적 비공식적 용도로 메신저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부 조직에서는 자체적으로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저의 조직내에서의 이용 현상에 관해 실증적 연구를 하여 어떠한 요소들이 인스턴트 메신저의 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기술의 테스트 베드이자 최고의 인프라를 자랑하는 정보통신 강국으로서의 혁신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는 동시에 유교주의적 가치관이 사회 곳곳에 남아 있어 정보통신 사용 환경에 있어 혁신성(innovation)과 보수성(conservation)을 함께 지니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오랜 시간 동안 유교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온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통신 기기나 첨단 매체의 도입 및 활용에 있어 독특한 양상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이에따라 인트턴트 메신저를 사용하는 조직의 구성원에 대한 서베이를 통하여 유교적영향이 미치는 정도를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구체적 결과로 첫째, 세대 간 가치관의 차이가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선호도와 실제 활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조직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빈도와 형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교주의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의 업무 활용도나 메신저에 대한 인식 정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 유교주의적 가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교주의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의 업무 활용도나 메신저에 대한 인식 정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 유교주의적 가치관이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실제 활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유교주의에 영향을 받은 세대인 베이비 붐 세대와 유교주의적 가치관과 서양의 합리주의 로부터 동시에 영향을 받은 X세대, 그리고 유교주의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로운 N 세대가 메신저의 업무 활용도와 메신저 이용에 대한 인식(메신저의 효율성, 메신저의 편리성,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메신저의 적합성,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메신저의 적합성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세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문제 2 인스턴트 메신저의 매체 풍부성과 이용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그리고 한국의 유교주의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은 한국 기업 특유의 조직문화 특성이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조직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빈도 및 형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양태로 나타나는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과 동료 및 후배사원과의 커뮤니케이션 양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인스턴트 메신저 고유의 매체 특성(매체 풍부성)과 커뮤니케이션 대상자의 메신저 활용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유교주의적 가치관이 반영된 조직 문화적 특성, 이 세 가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후 이들 중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양태라는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참고로 메신저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대부분 인터넷을 통해 무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PC의 보급 확대로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며, 기술 발전이 이미 상당 수준 이루어진 관계로 기술 인프라적 측면은 독립변인에서 제외하였다. 연구문제 1의 가설 설정 H1. 유교주의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은 정도에 따라 세대별로 인스턴트 메신저의 업무 활용도나 메신저에 대한 인식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한다.(채택) 연구문제 2의 가설 설정 H2-1.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빈도(채택) H2-2.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동료 및 후배사원과의 커뮤니케이션 빈도(채택). 본 논문에서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특성과 매체 이용자를 비롯한 사회 문화적 요인들이 첨단 정보통신을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았다. 발견사항은 첫째, 세대 간 가치관의 차이가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선호도와 실제 활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조직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빈도와 형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되었다. 화용방안으로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이루어지는 조직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제언을 제시한다.
-
색인어
-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 조직 문화, 유교문화,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