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365&local_id=10014670
여성국극의 대중극적 특징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여성국극의 대중극적 특징 연구 | 2007 년 | 김유미(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6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1950년대 여성국극을 통해 이 당시 대중 역사극의 구체적 특징을 살핌으로써 여성국극의 대중극적 특성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1950년대 대중역사극의 지형도를 살핌으로써 연구의 바탕을 삼고자 하였다. 1940년대 초중반부터 인기를 끌었던 악극에서도 대중 역사극의 레퍼토리를 발견할 수 있다. 그 친연성의 정도를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역사 소재 작품의 대중적 연원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친숙한 측면이 분명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이어졌을 것으로 본다. 여성국극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이유들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서동과 공주>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이중의 역할전도로 남성에게 여성의 목소리를 부여함으로써 남성이 부재했던 1950년대 전후 상황의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눈위에 피는 꽃>에서는 적극적이며 현명한 긍정적 여성상을 제시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과시한다. 그 이면에는 자기희생이라는 계몽이 도사리고 있지만 이 역시 시대가 여성에게 부과했던 덕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백호와 여장부>에서는 강하고 남자 같은 여자와 매우 부드러운 남자를 등장시켜 강한 여성을 감싸는 남성상을 제시함으로써 여성판타지를 극대화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여성국극만의 역할전략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당시 여성국극 작품을 단순하게 폄하할 수 없는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이 1950년대 전후 상황과의 관련 속에서 이해할 때 그 의미가 더욱 구체화됨은 물론이다. 또한 작가론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여성국극의 대중극적 특성을 거시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화랑의 <백년초>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앞에서 여성국극과 악극과의 친연성을 이야기했듯이 김화랑은 악극 뿐만 아니라 신파극, 영화 모두와 관련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행보를 추적하는 것만으로도 여성국극 이해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그의 여성국극 <백년초>를 중심으로 하고 그밖에 그의 등단 시나리오, 각색 시나리오, 군국주의 영화 등을 참고해 그의 작품세계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작품에 나타난 계몽성과 대중성, 그리고 모성의 문제를 통해 대중극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 영문
  • In 1950s, female Guggeuk meant popular drama especially focused on historical contents. But it was newly-composed historical drama. At that time Akggeuk was also popular. We can find the similar repertory related with this kind of historical drama in Akggeuk. So we can guess that they influenced each other. The point is that this kind of new historical drama was very popular from the late of 1940s to the middle of 1950s.
    This paper examined these popular drama in Female Guggeuk with three scripts of 1950s including the newly founded one. They show the narrative featur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roles. It can expla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ircumstances of post war.
    <Sudong & Princess> shows double change of role, which means that a female actress takes a male role and has a voice of female at the same time. Female Guggeuk has a character of all female troops. So female actress has to take a male role, and strong masculine features sh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male role. But the male character in <Sudong & Princess> doesn't represent this feature as it exchanges the role once more. It means that dutiful virtue of fidelity is not limited to women. On the other hand, it's a good strategy that double persona tell the message. It's not certain which one is stronger to audience. Anyway it can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1950s which were the times of no existence of father with the Korean War. In 1950s many women had to take a burden to manage to live. So it was times enforcing her to do something for family.
    <The Flower in the snow> shows well the positive female ability. The problem is it requires to sacrifice herself. <Baekho & Female Warrior> shows well the positive male character. He is very nice so many female audience have a fantasy about the ideal image of man as he is very tender. It shows the perfect man whom the tough girl can rely on. In three scripts we can found the strong and virtual women which was required by times of 1950s, not by feminism.
    It's useful to study on the writer in order to understand Female Guggeuk as a popular drama. The reason to choose Kim Hwa-rang's works in this study is that he has the wide variety of careers in many popular genre such as korean melodrama shinpa, korean musical drama ak-geuk and films. He was a writer and director of popular drama. As Female Guggeuk has relations with shinpa, ak-geuk and film, the study about the careers of Kim Hwa-rang through them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rise and fall of popular drama. In addition, the meaning of <Bakyeoncho> could be found through this work.
    Though Kim Hwa-rang had worked much on popular drama, there's a few remained pieces such as script of Female Guggeuk <Bakyeoncho> and scenario <Demae>. Motherhood is important in both of them. But <Bakyeoncho> has more popular characters making it be related with enlightenment after Korean War. So motherhood of <Bakyeoncho> means his country. The main conflict of <Bakyeoncho> is a choice between the main character's mother and his country. This question is very hard to be accepted in Female Guggeuk because it means the way of solving the problem directly. Therefore, it was also difficult for Kim Hwa-rang who knew how to survive in ups and downs of popular genre. At that time the people engaged in popular drama related with anti-communism activity, Kim Hwa-rang was not exceptional. So there was a good question in <Bakyeoncho> while it did not show proper way of solving the problem. Nonetheless, it can be evaluated as a feature of popular drama to survive between public favor and permission of author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국극 대본 분석을 통해 1950년대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여성국극의 대중극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당시에 어떤 대중극 장르가 있었으며 여성국극 전후로 대중의 인기를 얻었던 대중극의 변화가 어떠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파극, 악극, 영화, 연극, 라디오 등의 대중예술의 흐름 속에서 여성국극을 비교해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부분에서 김화랑이란 인물을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대중예술을 모두 거쳐간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가 남긴 여성국극 작품이 있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면 여성국극의 대중극적 특성의 또 한축이 자연스럽게 드러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자료의 발굴과 정리이다. 이 연구를 위해 발굴한 자료를 정리하여 첨부하였다. 구체적 연구내용에 대해 말하자면 여성국극이 대중극으로서 가치를 지니는 지점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발굴된 대본을 통해 서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여성만으로 이루어진 극단인만큼 그러한 성역할에 대한 특성이 작품에 반영되었을 것인데 대표적으로 세 작품만을 잘 따져보아도 그것이 드러난다. 남성 역할을 하는 배우는 특히 역할의 전도를 가장 강하게 표현하게 되는데 그 전도된 역할 속에서 남성의 기능이 다시 전략적으로 여성화되어 관객들의 감수성을 자극한다. 반대로 남성화된 여성을 표현하여 진정한 여성성과 남성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해 주기도 한다. 한편 문제해결력이 강한 여성인물을 보여줌으로써 전후 여성의 역할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이렇게 여성국극에 나타난 대중극적 특성은 성역할과 관련되고 전후 상황과 관련된다. 또한 역사극의 외피를 빌려온 점도 대중극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부분을 제시해 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여성국극의 서사적 특징을 1950년대 대중 역사극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미시적 고찰과 거시적 안목을 겸비해야 하는 작업인데 1950년대의 다른 대중예술에 대한 논의가 보다 깊이 있게 진행되어야 이러한 연구가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여성국극 작품 중에서 대표적으로 세 작품만을 다룸으로써 미시적 시각을 중요하게 작동시켰다고 말할 수 있다. 그동안 여성국극 작품에 대한 개별 연구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기도 하지만 이 세 작품의 서사적 특징에서 여성국극만의 특성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것은 주로 여성인물과 남성 인물의 관계 속에서 잘 표현되는데 이중의 역할전도 속에서 드러나는 성 역할의 도치, 여성인물의 미덕과 책무의 균열, 강한 여성과 부드러운 남성의 조합이 빚어내는 멋진 남성에 대한 판타지가 1950년대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대중적 요구와 부응하면서 빛을 발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대중예술을 너무 고정된 것으로 파악하고 그것이 지닌 한계만을 지적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의 대중예술이 전해줄 수 있는 것들을 포착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당시 여성국극이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었던 것을 단지 시대를 망각한 비생산적인 행위로 치부한다면 이에 대한 논의는 모두 무의미할 뿐이다. 무비판적 대중주의를 옹호하자는 것이 아니라 대중주의를 항상 비판적으로만 보고 한 가지 잣대만을 들이댈 때 그것이 오히려 체제 수호적인 수동성을 지닐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으로 여성국극에 대한 논의는 확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 당시 스타로 군림했던 여성국극 배우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품과 사회와 관객이 맺었던 관계들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면 여성국극 연구에 큰 보탬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내용적 측면에서 크게 분석할 것이 없어 보이는 대본을 살펴보았지만 대중극으로서의 작동 원리가 충분히 드러난다. 이는 대중극으로서의 여성국극의 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김화랑 같은 대중예술인의 삶과 작품을 이해하는 것도 여성국극을 거시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유용한 방편이 된다. 대중예술인들의 삶과 작품이 문서로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지만 김화랑은 영화, 악극, 여성국극, 연극 등 다양한 활동을 했던 인물이었던 만큼 그 연관관계 속에서 여성국극을 바라볼 때 다른 곳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부분이 드러나게 된다. 여성국극 한 작품에 대한 해석을 하더라도 이러한 시각에서 이루어진다면 여성국극 작품이 지니고 있는 작품성을 문제 삼지 않으면서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 된다.
  • 색인어
  • 여성국극, 김화랑, 대중극, 대중역사극, 계몽성, 국가주의, <서동과 공주>, <백호와 여장부>, <눈우에 피는 꽃>, <백년초>, 시나리오 <드메>, 1950년대, 임춘앵, 반공 이데올로기, 여성역할, 남성역할, 역할전도, 서사적 특징, 영화<국기 앞에서 나는 죽으리>, 영화 <성황당>, 영화 <수선화>, 악극, 신파극, 연극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