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06&local_id=10018598
韓民族 활쏘기의 고대적 原流와 발달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韓民族 활쏘기의 고대적 原流와 발달에 관한 연구 | 2007 년 | 옥광(충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73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민족의 원류인 북부여시대로부터 초기국가형태로 발전한 고조선과 삼국시대 그리고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시기에 이르기까지 활쏘기의 고대적 원류와 발달에 관한 고찰로써 첫째, 대륙인들의 주관적 관점에 의한 고대 문헌들의 내용을 중심으로 그 진위를 탐구하고, 저술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저자의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한민족활쏘기의 원류를 규명하고; 둘째, 북부여시대로부터 통일신라시기에 이르기까지 궁시의 변천과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효용성을 고찰하고; 마지막으로 한민족의 궁시변천과 발달이 한민족의 정통성계승과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글로벌화해가는 현대사회에서의 민족주체성과 국가관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교육적 도구로써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재고하기위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대국가시대에서의 활쏘기는 수렵생활의 도구로써 개발되었으나 차츰 부족을 수호하고 국가를 방위하는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효용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한민족 궁시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고대문헌의 기록들에 대한 고찰과 이에 대한 진위탐구는 한민족 고대역사의 재조명과도 그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둘째, 한민족의 궁시발달은 산악지형을 이용한 축성식 전쟁형태에서 비롯된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효과적인 공격과 방어를 위한 기능향상의 필요성증대에 의한 것이었다. 이는 삼국시대로부터 현재까지 보존, 계승되고 있는 단궁이면서도 최대 사거리를 보유한 각궁의 성능에서 유추될 수 있으며 아울러 몽골과 일본 그리고 터키를 비롯한 북유럽과 중앙아시아민족전통 활들의 사거리에서 비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민족 고대국가들의 활쏘기 변천과 궁시발달을 고찰해본 결과 한민족 활쏘기의 고대적 원류는 한민족의 본거지였던 산악지형을 이용한 축성식전쟁형태에서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으며, 궁시발달은 적의 접근을 최대한 저지하기 위한 효용성 증대에 그 목적이 있었음이 탐구되었다. 고로 한민족 활쏘기의 고대적 원류와 발달은 결국, 한민족국가가 형성된 지정학적 위치와 관련한 전쟁도구로써의 목적을 위해 그 효용성이 증대되었으며, 한민족 거주지역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궁시제작의 우수성은 한민족특유의 기술력을 증거 할 수 있는 산물로 대륙의 고대국가들에 있어 경외의 대상이었다.
  • 영문
  • This study has an intention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from the North Buyeo period to the Unified Shila Dynasty. The focu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aimed to explore subjective and objective ancient sources to clarify the origin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considering the ancient writers' views as well as the social circumstance; secondly,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of the archery and the efficiency as a long range weapon between Buyeo and Shila periods; lastly, to clarify the impact of the traditional archery on national identity and inheritance for a 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archery's socio-cultural function as an educational tool.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rchery was developed as a tool of hunting during the ancient tribal period and later it was promoted to be a long range weapon for protecting the nations from their enemies;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was advanced to be utilized to offense and defense the enemies considering the warfare type which often was taken place around castle; lastly, through the research outcomes, it is the final research aim to prove the reason of why the external ancient nations were afraid of Korean traditional tribal nation such as Buyeo and Shil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민족의 원류인 북부여시대로부터 초기국가형태로 발전한 고조선과 삼국시대 그리고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시기에 이르기까지 활쏘기의 고대적 원류와 발달에 관한 고찰로써 첫째, 대륙인들의 주관적 관점에 의한 고대 문헌들의 내용을 중심으로 그 진위를 탐구하고, 저술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저자의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한민족활쏘기의 원류를 규명하고; 둘째, 북부여시대로부터 통일신라시기에 이르기까지 궁시의 변천과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효용성을 고찰하고; 마지막으로 한민족의 궁시변천과 발달이 한민족의 정통성계승과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글로벌화해가는 현대사회에서의 민족주체성과 국가관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교육적 도구로써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재고하기위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대국가시대에서의 활쏘기는 수렵생활의 도구로써 개발되었으나 차츰 부족을 수호하고 국가를 방위하는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효용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한민족 궁시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고대문헌의 기록들에 대한 고찰과 이에 대한 진위탐구는 한민족 고대역사의 재조명과도 그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둘째, 한민족의 궁시발달은 산악지형을 이용한 축성식 전쟁형태에서 비롯된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효과적인 공격과 방어를 위한 기능향상의 필요성증대에 의한 것이었다. 이는 삼국시대로부터 현재까지 보존, 계승되고 있는 단궁이면서도 최대 사거리를 보유한 각궁의 성능에서 유추될 수 있으며 아울러 몽골과 일본 그리고 터키를 비롯한 북유럽과 중앙아시아민족전통 활들의 사거리에서 비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민족 고대국가들의 활쏘기 변천과 궁시발달을 고찰해본 결과 한민족 활쏘기의 고대적 원류는 한민족의 본거지였던 산악지형을 이용한 축성식전쟁형태에서 원사전쟁무기로써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으며, 궁시발달은 적의 접근을 최대한 저지하기 위한 효용성 증대에 그 목적이 있었음이 탐구되었다. 고로 한민족 활쏘기의 고대적 원류와 발달은 결국, 한민족국가가 형성된 지정학적 위치와 관련한 전쟁도구로써의 목적을 위해 그 효용성이 증대되었으며, 한민족 거주지역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궁시제작의 우수성은 한민족특유의 기술력을 증거 할 수 있는 산물로 대륙의 고대국가들에 있어 경외의 대상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러한 주제연구는 한민족의 고대역사에 관한 새로운 시각의 접근으로써, 한민족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증거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대문헌의 진위 고찰을 통해 종래의 민족사관의 재정립과 한민족 고유의 전통문화유산인 궁시의 보존과 계승을 위한 당위성을 재고하고, 아울러 활쏘기를 통한 심신단련과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한 교육적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관련논문을 투고할 것이며 학술대회나 세미나에 참가하여 본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개진해 나갈 계획이다.
  • 색인어
  • 한민족, 활쏘기, 원사전쟁무기, 정통성, 정체성, 궁시, 단궁, 심신단련, 호연지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