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08&local_id=10018656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 분석 | 2007 년 | 김애랑(동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8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매장벽을, 지도자의 정기적 지도가 포함되어 있는 스포츠 프로그램에 주 1회 이상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전환장벽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매장벽 분석을 위하여 총 422부, 전환장벽 분석을 위하여 총 549부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하여 활용된 통계분석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문항의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 및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성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업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배우자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거주유형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지역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성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 직업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0)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1) 재구매의도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chasing and switching barriers of the aged sport consumers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eople who are over 60 years living in Seoul, Gyeonggi, Busan, Daegu or Kyongbuk area were defined a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mong them, the people who do not participate in any sporting activitie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for the analysis of purchasing barriers and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sporting activities at least once a week were selected as the sample for the analysis of switching barriers. A total of 422 and 54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ing barriers based on residential district, gender, employment status, existence of spous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of the aged sport consumers.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witching barriers based on living location, gender, employment status,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the aged sport consum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매장벽을, 지도자의 정기적 지도가 포함되어 있는 스포츠 프로그램에 주 1회 이상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전환장벽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매장벽 분석을 위하여 총 422부, 전환장벽 분석을 위하여 총 549부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하여 활용된 통계분석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문항의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개인적 특성에 따른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 및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성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업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배우자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거주유형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지역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성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 직업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0)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1) 재구매의도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 및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성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업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배우자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거주유형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구매장벽과 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지역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성별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 직업 유무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0)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1) 재구매의도에 따라 노인 스포츠 소비자가 인지하는 전환장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활용방안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 스포츠 소비자 집단의 스포츠 참여를 방해하는 구매장벽을 분석하고 소비자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는 전환장벽을 분석했다는 것은 향후 노인 인구 증가로 점차 확대 되어질 노인관련 스포츠 산업이 요구하는 유의미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노인 스포츠 소비자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세분화 한 후 분석한 본 연구의 자료는 각각의 세분 시장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인 스포츠 소비자의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을 측정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적인 요인구조를 제시했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3)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뿐 아니라 스포츠 소비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있어서 구매장벽과 전환장벽이라는 측면의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마케팅 분야의 학술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노인 스포츠 소비자/ 구매장벽/상품관련 장벽/홍보관련 장벽/심리적 장벽/ 인적장벽/가격관련 장벽/전환장벽/서비스만족/전환비용/대안매력/인간관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