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10&local_id=10019981
한국형 운동중독 척도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형 운동중독 척도 개발 | 2007 년 | 강신욱(단국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83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그 동안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된 운동중독 척도들과 이를 근거로 한국에서 개발된 운동중독 척도들이 나름대로 가치 있는 것은 사실이나 각각의 타당도에 다소의 문제가 발견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인의 운동중독 현상을 좀 더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3단계에 걸친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제 1단계에서는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200명을 10개 종목에서 표집하여 685개의 문항으로부터 총 34개의 예비문항을 확정하였다. 제 2단계에서는 동일한 10개 종목에서 생활체육 참가자 400명을 표집하여 예비문항의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5개 요인의 총 20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제 3단계에서도 생활체육 참가자 400명을 새롭게 표집하여 본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400명중 100명을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척도를 재검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금단증세, 갈등, 애착, 내성, 강박증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는 총 18개 문항의 운동중독 척도를 개발하였다. 향후 이 척도를 이용하여 운동중독 검사를 수행할 경우 63점 이상은 운동중독, 36-62점은 과다운동 증세, 35점 이하는 정상으로 평가하기를 권장한다.
  • 영문
  •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exercise addiction scale(EAS). And many researchers observed exercise addiction phenomenon systematically by using these instruments. EAS developed in America and Europe and Korean previous EAS based on these scales are all valuable in their own way, however some problems are discove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validity. So,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Korean scale to measure exercise addiction more validly.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hrough 3-stage survey. 20 years over 200 adul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regularly and consistently from 10 items(eg. marathon, badminton, snow board) were collected as interviewees from March to April, 2008 in the first stage. 34 preliminary items were confirmed from 685 items through content analysis method in this stage. 400 leisure sports participants were sampled as subjects in May, 2008 in the second stage. 20 items composed 5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testing goodnes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34 preliminary items in this stage. 400 new participants were sampled as subjects in July in the third stage, and 100 participants were re-sampled among them at intervals of two weeks to re-test scal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for 20 items were performed.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new Korean EAS of 18 items composed 5 factors, that is, withdrawal, conflict, attachment, tolerance, and compulsiveness through this proced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그 동안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된 운동중독 척도들과 이를 근거로 한국에서 개발된 운동중독 척도들이 나름대로 가치 있는 것은 사실이나 각각의 타당도에 다소의 문제가 발견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인의 운동중독 현상을 좀 더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3단계에 걸친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제 1단계에서는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200명을 10개 종목에서 표집하여 685개의 문항으로부터 총 34개의 예비문항을 확정하였다. 제 2단계에서는 동일한 10개 종목에서 생활체육 참가자 400명을 표집하여 예비문항의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5개 요인의 총 20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제 3단계에서도 생활체육 참가자 400명을 새롭게 표집하여 본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400명중 100명을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척도를 재검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금단증세, 갈등, 애착, 내성, 강박증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는 총 18개 문항의 운동중독 척도를 개발하였다. 향후 이 척도를 이용하여 운동중독 검사를 수행할 경우 63점 이상은 운동중독, 36-62점은 과다운동 증세, 35점 이하는 정상으로 평가하기를 권장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의 운동문화에 적합한 운동중독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생활체육에 규칙적으로 참가하는 성인 1,100명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친 조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 구성을 위해 2단계에 걸쳐 내용 분석을 실시한 결과 685개의 문항으로부터 총 34문항의 예비조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둘째, 예비 문항의 양호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반분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5개 범주로 구성되는 20문항이 추출되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기존척도와의 상관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본 문항의 양호한 구성 타당도와 수렴/변별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70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넷째, 이상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개발된 한국형 운동중독 척도는 금단증세, 갈등, 애착, 내성, 강박증으로 구성되는 5요인의 총 18문항이다. 그동안 학계에서 개발된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 측정 도구들은 나름대로 일맥상통하고 공집합이 분명 존재한다. 운동중독을 측정함에 있어 기존 척도들의 예측력과 신뢰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한국형 운동중독 측정 도구는 기존 척도가 지니고 있는 한계와 제한점, 예를 들어 하위 요인의 명칭, 단일 종목에 국한된 측정 척도, 강박증이나 내성과 같은 특정 현상만을 측정하는 한계, 그리고 한국의 정서에 적합한 설문 문항의 부실 등을 극복․보완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도구의 타당도 계수와 신뢰도 계수가 높은 결과는 이를 반증한다. 따라서 이 척도를 이용하여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 검사를 수행할 경우 63점 이상은 운동중독, 36-62점은 과다운동 증세, 35점 이하는 정상으로 평가하기를 권장하는데, 이 척도는 근래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운동중독 현상을 좀 더 타당하고 체계적으로 관찰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exercise addiction, goodness, validity, reliability, withdrawal, conflict, attachment, tolerance, compulsivenes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