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49&local_id=10018608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2007 년 | 오광진(한경국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9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1차 조사에서 신체장애대학생 311명을 설문조사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신체장애대학생 243명을 설문조사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신체장애대학생 50명과 일반대학생 50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집단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김병준과 오수학(2002), 그리고 Benson(1998)이 제안한 3단계 타당화 과정을 수정․보완하여 SPSS 16.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그리고 집단차이 검증을 위한 다변량분석(MANOVA)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항분석을 통하여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예비판 척도는 8요인(지도자전문성, 보조기구, 운동기구, 운동프로그램, 운동시설, 간접지원, 보조자, 장애이해) 57문항을 추출하였다. 둘째, 1차 설문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8요인 43문항을 추출하였다. 셋째, 2차 설문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6요인(보조기구, 운동기구, 운동시설, 지도자전문성, 운동프로그램, 간접지원) 29문항을 추출하였다. 넷째,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의 6요인 29문항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6요인 24문항을 추출 및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6요인 24문항을 가지고 집단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척도는 하위 요인별로 개념 및 내용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support services questionnaire (IPESSQ) for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were 311 and 243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respectively. Participants of the third survey were 50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re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ANOVA analysis, (which used SPSS 16.0 and AMOS 7.0 programs) were modified using the three step validation processing of Kim Byeong-Jun and Oh Su-Hak (2002), and Benson (1998). Data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is study composed of 8-factor and 57-item on the pilot scale of IPESSQ. Secon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the first surveyset extracted 6-factor and 43-item. Thir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the second surveyset extracted 6-factor and 29-item. Fourth,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ed 6-factor (orthotic instrument, exercise instrument, exercise facility, instructor profession, exercise program, and indirect support) and 24-item, and the result of group differentiation with fixed 6-factor and 24-item was identified to reflect independent subordinate concept and content of IPESSQ scale for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1차 조사에서 신체장애대학생 311명을 설문조사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신체장애대학생 243명을 설문조사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신체장애대학생 50명과 일반대학생 50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집단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김병준과 오수학(2002), 그리고 Benson(1998)이 제안한 3단계 타당화 과정을 수정․보완하여 SPSS 16.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그리고 집단차이 검증을 위한 다변량분석(MANOVA)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항분석을 통하여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예비판 척도는 8요인(지도자전문성, 보조기구, 운동기구, 운동프로그램, 운동시설, 간접지원, 보조자, 장애이해) 57문항을 추출하였다. 둘째, 1차 설문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8요인 43문항을 추출하였다. 셋째, 2차 설문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6요인(보조기구, 운동기구, 운동시설, 지도자전문성, 운동프로그램, 간접지원) 29문항을 추출하였다. 넷째,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의 6요인 29문항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6요인 24문항을 추출 및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6요인 24문항을 가지고 집단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척도는 하위 요인별로 개념 및 내용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본 연구는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예비판 척도는 8요인 57문항(보조자 4문항, 간접지원 5문항, 운동시설 12문항, 운동기구 8문항, 운동프로그램 9문항, 보조기구 8문항, 장애이해 4문항, 지도자전문성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1차 설문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8요인 43문항(지도자전문성 7문항, 보조기구 7문항, 운동기구 7문항, 운동프로그램 8문항, 운동시설 5문항, 간접지원 4문항, 보조자 2문항, 장애이해 5문항)을 추출하였다.
    셋째, 2차 설문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는 6요인 29문항(보조기구 7문항, 운동기구 6문항, 운동시설 5문항, 지도자전문성 4문항, 운동프로그램 4문항, 간접지원 3문항)을 추출하였다.
    넷째, 6요인 29문항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6요인 24문항(보조기구 4문항, 운동기구 4문항, 운동시설 5문항, 지도자전문성 4문항, 운동프로그램 4문항, 간접지원 3문항)을 추출 및 확정하였다. 그리고 확정된 6요인 24문항을 가지고 신체장애대학생 50명과 일반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집단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장애대학생의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요구 척도는 하위 요인별로 개념 및 내용을 잘 구성하고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2. 활용방안
    1) 지원서비스 개념의 일반화를 위한 논쟁의 시발점 제공: 현재 한국 특수체육학에서는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지원서비스 문제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미래에는 장애학생 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용어의 정립 및 개념의 정의가 활발하게 논의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지원서비스 개념의 일반화를 위한 논쟁의 시발점 제공: 현재 한국 특수체육학에서는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지원서비스 문제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미래에는 장애학생 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용어의 정립 및 개념의 정의가 활발하게 논의될 것으로 생각된다.
    3) 장애학생 지원서비스의 방향 설정에 기여: 시․군․구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시․군․구 공공체육시설 기관은 장애인들에게 어떤 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 설정 및 지원방안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장애학생 체육수업의 문제점과 시사점 제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현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신체장애대학생의 체육수업(혹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일반 초․중․고등학교 체육수업에도 적용해 본 다음, 미래에 신체장애학생 통합체육수업에서 바람직한 지원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알게 하는 대안 및 시사점을 바르게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신체장애대학생의 체육학습권 보장에 기여: 신체장애대학생들의 질 높은 체육학습권을 보장해 주기 위해 대학(초․중․고 포함)이 신체장애학생들에게 어떤 준비를 하고, 어떤 체육지도자를 양성 및 배치하고, 어떤 체육활동 프로그램과 용기구 등을 제공해야 할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신체장애, 통합체육, 지원서비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