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66&local_id=10019911
구전설화의 막내 캐릭터와 그 문화적 의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구전설화의 막내 캐릭터와 그 문화적 의의 | 2007 년 | 박상란(동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2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설화 중 막내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를 막내딸, 막내아들, 막내사위, 막내며느리 유형으로 나누어 서사 구조를 분석한 후 막내캐릭터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첫째, 서사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막내딸은 가장 유약한 자식이 아버지에게 도전하여 시련을 겪다가 가족 간 화합을 이루고 온전한 가정을 회복하는 존재이다. 이를 사회적 의미로 일반화시키면 막내딸은 사회적 약자가 지배 권력에 도전하여 시련을 겪다가 왜곡된 권력의 문제를 해결하여 소속 집단을 재건하는 존재이다.
    막내아들의 경우 첫번째 유형은 재치와 담대함으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이다. 이를 사회적 의미로 일반화시키면 순수한 열정과 탁월한 능력으로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이다. 두 번째 박대 받는 막내아들은 무능하다는 이유로 형들로부터 천대 받다가 부자가 되어 천대를 극복하는 존재이다. 이를 사회적 의미로 일반화시키면 무능하다는 이유로 천대 받다가 자기 능력을 입증하여 세상의 괄시를 벗어나는 존재이다.
    막내 사위의 경우 가장 어린 신참자로서 처가에 편입되기 위해 시련을 겪고 이미 편입된 동서들의 시기를 받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성공은 사위로서 능력을 인정 받고 왜곡된 가정을 재건하는 데로 귀결된다. 이를 사회적 의미로 일반화시키면 신참자로서 기존의 권력 구조에 편입되기 위해 시련을 겪는 한편 이미 편입된 선임들의 시기를 받다가 자신의 능력을 인정 받고 집단을 재건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막내며느리의 경우 외부에서 편입되는 신참자로서의 문제 내지 성공의 의의는 사위와 같은데 특히, 남녀에게 기대하는 덕목이 다른 점에서 차이가 난다. 즉, 사위에게는 경제적인 능력 내지 사회적 지위를 기대를 하는 반면 며느리에게는 부덕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둘째, 논의된 결과를 형제, 가족, 인간(개인) 관념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의의와 관련시켰다. 그리고 우리 막내캐릭터의 특수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영국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막내가 소신껏 자신의 삶을 이루어나가는 것은 가장 어리다는 점 때문에 책임감 내지 기존의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박대 받다가 성공하는 막내상은 막내는 가장 유약하면서도 부모의 비호를 받는 탓에 가장 힘 있는 존재라는 관념이 투영된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막내의 성공이 가정을 재건하는 데로 귀결되는 것은 가족 중심적인 우리 전통 사회.문화적 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영국 설화의 막내 캐릭터는 모험심 때문에 집을 나서면서 시련을 겪게 되고 그 결과 다른 형제들과 구분되는, 특출한 개성과 개인의 성공 내지 영화를 드러낸다. 이는 형제나 가족보다 개인의 행복한 삶을 강조하는, 영국을 비롯한 서양의 사회.문화적 특징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설화 캐릭터의 경우 그 속성은 많은 부분 신화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신화적 의미에서 막내캐릭터의 형성 배경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바리공주>와 <문전본풀이>에서 막내의 활약이 가정의 재건으로 귀결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화에서 막내아들의 성공이 가정의 재건으로 귀결되는 것은 이러한 신화적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막내 캐릭터의 현대.문화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막내가 캐릭터로 등장하는 근현대소설과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현대소설과 드라마에서 막내는 순수하고 밝은 존재로 가족에게 위안을 주고 미래의 희망을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자 우대 관념이 여전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장르적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I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ies that the last born figures as a hero or a heroine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and discussed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as the last born overall in this essay.
    First, feature in the narrative structure is as follows. The last born is tried in the furnace because of strife with family as the last born and comes through. In result home is itself again. And generally it means that the weak in social meaning solves the problems of group and reconstructs it.
    The second, social-cultural meaning is as follows. The courage of his or her convictions of the last born is attributed to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 that the last born is free from a sense of the responsibility for family and established values. And the image of the last born who meets with harsh usage and comes through reflects the concept that the last born is the weak and the best on account of the protection of parents. In the last place, the achievement of the last born that boils down to the reconstruction of home in the end reflects the feature of our traditional socity as family-centered.
    The third, mythical context is as follows. In Princess Bari and Front of a gate myth, the action of the last born boils down to the reconstruction of home in the end. Accordingly the achievement of the last born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the reconstruction of home is attributed to mythical context.
    The last, modern cultural meaning is as follows. In modern novel and drama, the last born carries off the act that give comfort to family as pure and bright being and suggests the hope of future. It reflects reality in favor of the eldest as before and is related to the features of drama as gen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많은 설화의 주인공이 막내이며 이들이 온갖 시련을 극복하고 작중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막내캐릭터의 특징은 각 사회의 형제 내지 가족 관계 관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멀리는 신화적 배경을 가지면서 가까이는 현대 대중문화에 그 잔재를 남기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막내 캐릭터의 특징을 사회.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이해하고 특히, 막내의 시련 내지 성공의 과정에 스며있는, 가족에 대한 관념을 고찰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설화 중 막내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 47편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들 자료들을 막내딸, 막내아들, 막내사위, 막내며느리 유형으로 나누어 서사 구조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유형의 이야기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막내 캐릭터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막내의, ‘시련의 계기’와 ‘성공의 의의’, 그리고 시련을 극복하여 성공에 이르는 데 작용한 ‘성공의 자질’과 관련하여 그 서사 구조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특히, 모든 유형의 이야기에서 막내는 대체로 가장 유약한 자로서 시련을 겪다가 성공에 이르는데 그 의의가 가정의 재건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논의된 결과를 형제, 가족, 인간(개인) 관념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의의와 관련시켰다. 그리고 우리 막내캐릭터의 특수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영국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막내가 소신껏 자신의 삶을 이루어나가는 것은 가장 어리다는 점 때문에 책임감 내지 기존의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박대 받다가 성공하는 막내상은 막내는 가장 유약하면서도 부모의 비호를 받는 탓에 가장 힘 있는 존재라는 관념이 투영된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막내의 성공이 가정을 재건하는 데로 귀결되는 것은 가족 중심적인 우리 전통 사회.문화적 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영국 설화의 막내 캐릭터는 모험심 때문에 집을 나서면서 시련을 겪게 되고 그 결과 다른 형제들과 구분되는, 특출한 개성과 개인의 성공 내지 영화를 드러낸다. 이는 형제나 가족보다 개인의 행복한 삶을 강조하는, 영국을 비롯한 서양의 사회.문화적 특징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설화 캐릭터의 경우 그 속성은 많은 부분 신화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신화적 의미에서 막내캐릭터의 형성 배경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바리공주>와 <문전본풀이>에서 막내의 활약이 가정의 재건으로 귀결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화에서 막내아들의 성공이 가정의 재건으로 귀결되는 것은 이러한 신화적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막내 캐릭터의 현대.문화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막내가 캐릭터로 등장하는 근현대소설과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현대소설과 드라마에서 막내는 순수하고 밝은 존재로 가족에게 위안을 주고 미래의 희망을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자 우대 관념이 여전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장르적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막내캐릭터는 동서양 민담에 두루 보여서 그에 대한 연구는 일견 식상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시련의 계기, 성공의 의의, 성공의 자질로 나누어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같은 막내라도 이야기 유형마다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의 모험심과 성공을 드러낸 다른 나라의 경우와 달리 우리 막내캐릭터는 가족의 문제로부터 시련을 겪다가 성공하여 가정을 재건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막내캐릭터의 특징들은 해당 설화 향유층의 가족, 형제, 인간(개인) 관념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막내캐릭터의 시원은 신화에서 비롯되며 그 잔영이 현대의 드라마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화에는 아직 조명 받지 못한 많은 캐릭터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막내캐릭터를 다룬 것은 설화 캐릭터 연구의 한 사례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캐릭터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의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화 캐릭터에 대한 후속 연구에 방법론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점을 주리라 본다. 이를 기점으로 설화를 대상으로 다양한 캐릭터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동시에 그 방법론에 대한 다각적인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고전 자료에 사장되어 있는 캐릭터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이를 사회문화적인 컨텍스트 속에서 논의한 것이다. 이로써 고전 캐릭터를 현대 문화적 배경 속에서 재해석, 재창조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밝혀진 막내캐릭터의 여러 특징들은 장차 드라마 등 대중문화산업에서 막내캐릭터를 다룰 때 직접적으로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막내 캐릭터가 어떤 속성을 갖고 있을 수 있는지, 그 사회문화적 배경과 의의는 무엇인지, 현대문화적 배경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분장될 수 있는지 하는 점에 대해 중요한 자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캐릭터의 형성과 유통 문제를 바르게 이해할 뿐만 아니라 고전 캐릭터를 비롯한 전통문화의 전승에 적절히 대처하게 될 것이다. 또한 캐릭터와 문화, 문화와 캐릭터의 관계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 학생들이 현대 문화산업의 다양한 캐릭터를 이해하고 비평하는 안목을 기르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막내캐릭터를 통해 환기되는 형제 내지 가족 관계, 그리고 약자의 모험과 도전은 여전히 중요한 가치이다. 막내캐릭터라는 존재는 형제 내지 가족의 정과 의미를 모르고 사는 현대인에게 가족의 가치를 환기시킬 것이며 그의 기지, 모험, 도전, 의지, 담대함은 사회적 약자로서 소외감과 박탈감에 시달리며 현실에 안주하는 이들에게 삶의 원동력이 되어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막내캐릭터의 주요 특징들은 이와 관련된 문화적 기획에서 중요한 키워드 역할을 할 것이다.
  • 색인어
  • 구전설화, 막내캐릭터, 형제 관념, 가족 관념, 서사구조적 의미, 시련의 계기, 성공의 의의, 성공의 자질, 가정의 재건, 집단의 재건, 사회문화적 의미, 책임감, 가치관, 부모의 비호, 가족 중심적, 모험심, 개성, 개인의 성공, 개인의 행복한 삶, 신화적 의미, 현대문화적 의미, 근현대소설, 드라마, 순수, 위안, 미래의 희망, 장자 우대 관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